寒山詩 268
아주재촌향我住在村鄕 나는 시골 마을에서 살고 있는데
무야역무양無爺亦無孃 아버지도 안 계시고 어머니마저 안 계셨네(양孃↔낭娘)
무명무성제無名無姓第 이름도 없고 성姓과 항제行第도 없어서
인환작장왕人喚作張王 사람들은 그저 편한 대로 ‘아무개야!’ 지어 불렀네.
병무인교아並無人敎我 게다가 나를 가르치는 사람도 없어
빈천야심상貧賤也尋常 가난하고 천한 것은 대수롭지 않고 예사로웠네.
자련심적실自憐心的實 그러나 내 마음 참된 것을 스스로 사랑하니
견고등금강堅固等金剛 굳세고 단단하기가 금강석金剛石과도 같네.
我住在村鄉 내 마을 집에 살고 있나니
無爺亦無娘 아비도 없고 또 어미도 없다.
無名無姓第 姓도 없고 또 이름도 없어
人喚作張王 사람들은 그저 張·王이라 부른다.
並無人教我 또 나를 가르치는 사람도 없으매
貧賤也尋常 가난하고 賤한 것 例事로 안다.
自憐心的實 그러나 내 마음 참되고 確實하여
堅固等金剛 金剛처럼 단단한 것 나는 사랑하나니.
나는 시골에서 나고 자랐는데
아버지도 없고 어머니도 안 계셨네
성과 이름 고사하고 집도 없어서
사람들이 장가야 왕가야 마구 불렀네
게다가 아무에게도 배운 것이 없어서
빈천이 내게는 일상적인 것이었네
그렇지만 마음 하나 확실하게 아껴서
그 마음 견고하기 금강석과 같다네
►야爺 아버지.
►양孃 어머니.
‘孃’ 아가씨 양(냥) 아가씨. 여자女子 아이. 어머니.
야양爺孃 부모父母를 속俗되게 이르는 말. 아비와 어미
►성제姓第=항제行第 배항排行.
형제를 나이순으로 일一, 이二, 삼三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일.
형제, 종형제從兄弟, 재종再從형제, 삼종三從형제까지
더 나아가 족형제族兄弟까지 넓혀 붙이기도 한다.
당나라 사람들은 성씨 아래에 항렬을 추가 배치하여
그 사람을 일컫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고적高適은 ‘高35’, 잠참岑參은 ‘岑27’ 등.
►장왕張王
‘장張, 왕王’은 중국에서 가장 흔한 성姓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을 칭할 때
‘장왕이조張王李趙’ 줄여서 ‘장왕張王’이라 한다.
►심상尋常 대수롭지 않고 예사例事로움. 보통. 일반.
►자련自憐 아끼다. 소중히 여기다.
►적실的實 확실確實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