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 5칙 垂示
碧巖錄 제5칙 설봉속립雪峰粟粒
【垂示】
수시운垂示云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대법부수종교大凡扶豎宗教 무릇 근본적인 가르침(종교)을 확고히 붙들어 일으키려면
수시영령저한須是英靈底漢 모름지기 영특한 놈이어야 한다.
유살인부잡안저수각有殺人不眨眼底手腳
사람을 죽이고서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수완(방편. 솜씨)이 있어야만
방가립지성불方可立地成佛
비로소 그 자리에서 부처를 이룰 수 있다.
소이조용동시所以照用同時
이 때문에 마음으로 지혜의 관조觀照와 육체적인 활용活用(작용)이 같으며
권서제창卷舒齊唱
일신一身을 나투어 거두고[卷] 다신多身을 나투어 펼침[舒]이 같으며
이사불이理事不二 이치[理]와 현상[事]이 둘이 아니며
권실병행權實並行 방편[權]과 진실[實]이 동시에 행하여지는 것이다.
방과일착放過一著 건립제이의문建立第二義門
그러나 第一義(一着 진실)에서 물러나 억지로 第二義門(방편)을 세운다.
직하절단갈등直下截斷葛藤 후학초기난위주박後學初機難為湊泊
단번에 언어문자를 끊어버리면 처음 배우는 후학들이 (이 경지에) 이르기가 어렵다.
작일임마昨日恁麼 그러나 지난날 이렇게 했던 것은
사불획이事不獲已 어쩔 수 없는 일이라 하지만
금일우임마今日又恁麼 오늘도 이렇게 하니
죄과미천罪過彌天 그 죄가 하늘에 가득하다.
약시명안한若是明眼漢 눈 밝은 사람이라면
일점만타부득一點謾他不得 조금도 속아 넘어가지 않겠지만
기혹미연其或未然 혹 그렇지 못하다면
호구리횡신虎口裏橫身 범[虎]의 입안에 몸을 가로 눕혀
불만상신실명不免喪身失命 몸을 잃고 목숨을 버리게 될 것이다.
시거간試舉看 시험 삼아 들어보아라.
►대범大凡 부사로써 문장 앞에 놓인다. 굳이 번역할 필요는 없다.
►부수扶豎 선禪의 가르침을 확립하고 부연하는 것.
►종교宗敎 선禪의 근본적인 가르침
1. 종문지교의宗門之敎意 종문宗門의 교의敎意
2. 선종여교종禪宗與敎宗 선종과 교종(여기에선 1을 가리킴)
►조용照用 검증을 하기 위하여 맞추어 보는 데 씀.
‘照’ 상대방의 인물 정도를 직관적으로 아는 것
‘用’ 상대방의 정도에 알맞게 가르침을 펴는 것
►권서卷舒 말았다 폈다 함.
선승禪僧이 학인學人을 지도할 때의 자유 자재함을 나타내는 말로
‘卷’은 적극적으로 바싹 다그치는 것, 파주把住
‘舒’는 느긋하게 내버려 두는 것. 방행放行
►제창齊唱 여러 사람이 다 같이 소리를 질러 부름. 독창獨唱과 다름이 없음.
►리사理事
① 깨달음의 진리와 차별 현상.
② 본체와 차별 현상.
도리여사상야道理與事相也 시배어진속是配於眞俗
도리와 사상事相이니 이를 진속眞俗에 짝함.
리위진제理爲眞諦 사위속제事爲俗諦
이理는 진제眞諦가 되고 사事는 속제俗諦가 됨.
►권실權實 권權은 일시적인 방편을 말하고 실實은 불변의 진실을 말한다.
선악善惡·장단長短처럼 서로 상대되는 개념을 묶은 용어이다.
권은 본래 불교에서 포괄적으로 쓰던 말이었으나
천태종에서 실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쓰기 시작하였다.
권은 선권善權·권방편權方便·선권방편·가假·권가權假라고도 하고 실은 眞·眞實이라고도 한다.
이 두 개념을 합친 것이 권실인데 달리 진가眞假라고도 하며
권교權敎와 실교實敎, 권인權人과 실인實人 등 한쪽만 해당되는 용어와 상대적인 의미를 갖는다.
권교는 사물을 분명하게 아는 지혜를 이르는 말이며
실교는 스스로의 깨우침 그대로를 터놓은 궁극적인 가르침을 뜻한다.
곧 권교는 실교로 인도하는 수단이다.
천태종에서는 <묘법연화경>의 가르침을 실교라 하고 다른 경전의 교설,
곧 장藏·통通·별別 3가지를 권교라 하며 이를 합쳐 삼권일실三權一實이라고 부른다.
한편 실인은 변하지 않는 주체적인 인격 즉 불성이나 법성·자성·여래성·법신을 뜻하고
권인은 부처나 보살 등이 남을 인도하기 위해 임시로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부처가 깨달은 것 자체로 말하면 권교와 실교는 평등하므로 권실동체權實同體이지만
부처가 중생을 교화하는 입장에서 보면
수행의 정도나 깨닫는 바가 다를 수 있으므로 권실이체權實異體이다.
적어일시기의지법명위권適於一時機宜之法名爲權 구경불변지법명위실究竟不變之法名爲實
일시의 기의機宜의 법에 적합함을 이름 해 권權이며 구경에 변하지 않는 법을 이름 해 실實임.
►방과일착放過一著 한 수를 허락하다. 한 수가 늦었다. 한걸음 물러서다
►제이의문第二義門 방편문. 언어, 사고의 차원.
우칭건화문방편문又稱建化門方便門(향하문向下門)
또 명칭이 건화문建化門, 방편문方便門(向下門)이니
상대제일의相對第一義(향상문向上門)이언而言
제1의第一義(向上門)에 상대해 말함이다.
지현묘선의지외적의리指玄妙禪義之外的義理 현묘한 선의禪義의 밖의 의리를 가리킴.
시불계합선법적是不契合禪法的 이는 선법에 계합하지 못한 것임.
혹수순세정이교화중생지보살행或隨順世情以敎化衆生之菩薩行 즉속제이의문則屬第二義門
혹 세정世情에 수순隨順하여 중생을 교화하는 보살행이 곧 제2의문에 속함.
►초기初機
기즉기근機卽機根 우칭초학又稱初學 초심初心 초발심初發心
기機는 곧 기근機根. 또 명칭이 초학ㆍ초심ㆍ초발심이니
유시야지초학선의적승도有時也指初學禪義的僧徒
어떤 때엔 또 처음으로 선의禪義를 배우는 승도僧徒를 가리킴.
►주박湊泊 집취集聚.
주湊 수회야水會也 우애근야又挨近也
주湊는 물이 모임이며 또 애근挨近(접근)함.
박泊 선고안야船靠岸也 지야止也 전의투합轉義投合 계오契悟
박泊은 배가 언덕에 기댐이며 머묾임. 전의轉義하여 투합ㆍ계오契悟.
►부득不得 동사 뒤에 붙어 ‘~하는 것이 불가능함’
~할 수가 없다. ~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