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 42칙 本則과 着語
【本則과 着語】
거擧 거론하다.
방거사사약산龐居士辭藥山 방거사龐居士가 약산藥山스님을 하직하자
저로한작괴야這老漢作怪也 이 늙은이가 이상한 짓을 하는구나.
산명십인선객山命十人禪客 상송지문수相送至門首
약산이 열 명의 선객禪客에게 문 앞까지 전송하도록 하였다.
야불경타也不輕他 그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되지.
시십마경계是什麼境界 이것은 무슨 경계일까.
야수시식단예저납승시득也須是識端倪底衲僧始得
모름지기 근원을 아는 납승이어야 할 수 있을 것이다.
거사지공중설운居士指空中雪云 거사는 허공에 날리는 눈[雪]을 가리키며 말하였다.
호설편편好雪片片 불락별처不落別處 “멋진 눈! 송이송이 딴 곳으로 떨어지지 않는구나.”
무풍기랑無風起浪 바람도 없는데 괜히 풍랑을 일으키는구나.
지두유안指頭有眼 손가락 끝에 눈동자가 있다.
저로한언중유향這老漢言中有響 이 늙은이 말 속에 공감할만한 게 있구나.
시유전선객운時有全禪客云 이때 선객 모두가 곁에 있다가 말하였다.
락재십마처落在什麼處 “어느 곳으로 떨어집니까?”
중야中也 맞혔군.
상수래야相隨來也 말에 끌려오는구나.
과연果然 그럼 그렇지.
상조래上釣來 낚시에 걸려들었군.
사타일장士打一掌 거사가 따귀를 한 차례 치자
착著 제대로 한 수 놨다.
과연果然 그럼 그렇지,
구적파가勾賊破家 도적이 집안을 망쳤군.
전운全云 선객 모두가 말하였다.
거사야부득초초居士也不得草草 “거사는 거칠게 굴지 마시오.”
관목리당안棺木裏瞠眼 널 속에서 눈알을 부릅뜨는군.
사운士云 여임마칭선객汝恁麼稱禪客 염로자미방여재閻老子未放汝在
“그대가 그래 가지고서도 선객이라 한다면 염라대왕이 용서해 주지 않으리라.”
제이표악수발료第二杓惡水潑了 두 번째 더러운 물을 끼얹어버렸다.
하지염로자何止閻老子 꼭 염라대왕뿐이겠는가?
산승저리야부방과山僧這裏也不放過 산승이라도 여기에서는 용서해주지 않았을 것이다.
전운全云 거사작마생居士作麼生 “거사라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추심불개麤心不改 우시요끽봉又是要喫棒
거친 마음을 고치지 않은 걸 보니 다시 몽둥이를 맞아야겠구나.
저승종두도미불착편 這僧從頭到尾不著便
이 스님이 처음부터 끝까지 알아채질 못하는군.
사우타일장士又打一掌 거사가 또 다시 따귀를 친 후에 말하였다.
과연果然 설상가상雪上加霜 과연 설상가상이로구나.
끽봉료정관喫棒了呈款 몽둥이를 맞았으니 실토를 하시지.
운云 안견여맹眼見如盲 구설여아口說如啞 “눈은 떴어도 장님 같으며 입을 벌려도 벙어리 같다.”
갱유단화구更有斷和句 다시 둘 사이를 화합시켜 주는 말이 있었구나.
우여타독판어又與他讀判語 그에게 판결문을 읽어주는군.
설두별운雪竇別云 설두스님은 다르게 논평하였다.
초문처단악설단편타初問處但握雪團便打 “처음 물었을 때 눈덩이를 뭉쳐서 바로 쳤어야지.”
시즉시是則是 적과후장궁賊過後張弓 옳기는 옳지만 도적이 떠난 뒤에 활을 당겼구나.
야루두불소也漏逗不少 적잖게 허물이 있구나.
수연여시요견전봉상주雖然如是要見箭鋒相拄
그렇지만 화살 끝이 서로 맞부딪치는 것과 같은 기묘함을 살펴보아야 한다.
쟁나락재귀굴리료야爭奈落在鬼窟裏了也
귀신 굴속에 떨어져버린 것을 어찌하랴.
►방거사龐居士 방온龐蘊(?-808)
당대저명재가선자唐代著名在家禪者 세칭방거사世稱龐居士
방옹龐翁 충주형양현인衝州衡陽縣人 자도현字道玄
세이유위업世以儒爲業 가세家世가 유교로 업을 삼았으며
이거사소오진로而居士少悟塵勞 지구진제志求眞諦
거사가 어릴 적에 진로塵勞를 깨달아 의지意志가 진제眞諦를 구했다.
당정원唐貞元(785-805)초初
알석두희천망언회지謁石頭希遷忘言會旨
석두희천(靑原行思法嗣)을 알현하여 언설을 잊고 지취를 알았으며
부여단하천연위우復與丹霞天然爲友
다시 단하천연(石頭希遷法嗣)과 벗이 되었다.
후지강서참문마조운後之江西參問馬祖云
후에 강서로 가서 마조馬祖를 참알하고 물어 이르되
불여만법위려자不與萬法爲侶者 시십마인是什麽人
만법과 짝하지 않는 자는 이 어떤 사람입니까?
조운祖云 마조가 이르되
대여일구흡진서강수待汝一口吸盡西江水 즉향여도卽向汝道
네가 한 입에 西江의 물을 마셔 없앰을 기다렸다가 곧 너를 향해 말하리라.
거사언하돈령현요居士言下頓領玄要
거사가 언하에 현요玄要를 문득 알았다.
내류주참승경섭이재乃留駐參承經涉二載
이에 머물면서 참문參問하고 승수承受하며 두 해를 지냈다.
원화元和(806-820)中
북유양한北遊襄漢 수처이거隨處而居
북쪽 襄漢에 노닐면서 곳을 따라 거처했으니
혹봉령록문或鳳嶺鹿門 혹전사려항或廛肆閭巷
혹은 鳳嶺ㆍ鹿門이며 혹은 전사廛肆(시장의 가게)ㆍ閭巷이었다.
초주동암初住東巖 후거곽서소사後居郭西小舍
처음에 동암東巖에 거주하고 뒤에 곽서郭西의 작은 집이었다.
거사장입멸居士將入滅 거사가 장차 입멸하려 하자
주목우공문질차州牧于公問疾次 주목州牧인 于公(于頔)이 問疾(문병)하던 차에
거사위왈居士謂曰 거사가 일러 가로되
단원공제소유但願空諸所有 단지 모든 있는 것을 공하기를 원하고
신물실제소무愼勿實諸所無 삼가 모든 없는 것을 실답다 하지 말지니
호주세간개여영향好住世間皆如影響 세간에 머물기 좋아함이 다 그림자와 곡향谷響과 같다.
언흘침공슬이화言訖枕公膝而化 말을 마치자 우공의 무릎을 베개로 하여 화거化去했다.
유시게삼백여편전어세有詩偈三百餘篇傳於世
시게詩偈 300여 편이 있어 세상에 전함
/전등록傳燈錄8 불조강목佛祖綱目32 거사전居士傳17
►약산藥山 약산유엄藥山惟儼(751-834)
당대승唐代僧 강주인絳州人(今山西新絳) 속성한俗姓韓
십칠세의조양十七歲依潮陽(광동廣東)서산혜조출가西山慧照出家
17세에 조양(광동) 서산의 혜조慧照에게 의지해 출가했다.
대력팔년大曆八年(773)
취형산희조수구족계就衡山希澡受具足戒
형산衡山의 희조에게 나아가 구족계를 받았으며
박통경론博通經論 엄지계률嚴持戒律
경론을 널리 통달했고 계율을 엄히 가졌다.
후참석두희천後參石頭希遷 밀령현지密領玄旨
후에 석두희천石頭希遷을 참알參謁해 몰래 현지玄旨를 영오領悟했다.
차참마조도일次參馬祖道一 언하계오言下契悟
다음에 마조도일을 참알해 언하에 契合해 깨쳤고
봉시삼년奉侍三年 후부환석두後復還石頭 위기법사爲其法嗣
3년 동안 받들어 모시다가 뒤에 다시 석두로 돌아와 그의 法嗣가 되었다.
불구不久 지례주약산至澧州藥山 광개법연廣開法筵
오래지 않아 예주澧州의 약산藥山에 이르러 법연法筵을 널리 열었다.
당태화팔년唐太和八年(834) 시적示寂 수壽84
당 태화 8년(834)애 시적했으니 나이는 84이며
일설태화이년십이월시적一說太和二年十二月示寂 수壽70
일설엔 태화 2년 12월에 시적했으니 나이가 70이라 함.
칙시홍도대사敕諡弘道大師
칙시敕諡가 홍도대사弘道大師.
/송고승전宋高僧傳17 조당집祖堂集4 전등록傳燈錄14 전법정종기傳法正宗記7
►단예端倪 일의 시초始初와 끝. 맨 끝. 또는 아주 먼 끝.
사물事物이 되어 가는 것을 추측推測하여 앎.
‘단端’ 시작이라는 의미
‘예倪’ 끝•경계란 뜻으로
단예는 일의 본말本末이나 시종始終의 의미.
►호설好雪 아, 눈이 오는구나.
►언중유향言中有響 말이 예사롭지 않다.
‘말 속에 울림이 있다.’는 뜻으로 內容 以上의 깊은 뜻이 있음을 이르는 말.
►상수래相隨來 남의 말에 맞장구를 치다.
►구적파가勾賊破家 도적을 끌어들여 家産을 모두 날려 버리다.
구적勾賊 초대도적招待盜賊 구勾 초야招也
구적勾賊은 도적을 초대함임. 구勾는 초招임.
►염로자閻老子 염라로자閻羅老子. 염라대왕
►정관呈款 도장, 문서를 받치다.
‘관款’ 성간誠懇(정성스럽고 간절함).
정관情款 진실. 정황.
►단화斷和 교제가 끊어진 친구 사이를 중간자가 들어서 다시 화해시키는 것.
►판어判語 판결문
►별운別云
별전선객지락재십마처이운야別全禪客之落在什麽處而云也
전선객의 떨어져 어느 곳에 있는가에 별別(다르게)하여 이름(云)임.
►전봉상주箭鋒相拄 막상막하.
여기에서는 ‘선의 거장과 거장의 불꽃 튀는 만남’
<列子 湯問篇>
활쏘기 名人들이 결투를 했는데 서로를 향해서 쏜 화살 끝이 공중에서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