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심명信心銘 ⑭
신심명信心銘 ⑭
<신심에는 언어 끊기고 현재도 없다.>
신심불이信心不二 신(믿음)과 심(마음)은 둘이 아니며
불이신심不二信心 둘이 아닌 신과 심이다.
언어도단言語道斷 (여기에는)언어의 길이 끊어지고
비거래금非去來今 과거 미래 현재도 없다.
심心이 신信을 일으키고 궁극에는 믿는 것과 믿어진 마음이 다른 것이 아닌
‘하나’라고 확신한 깨침이 ‘신심불이信心不二 불이신심不二信心’이다.
이 같은 신심의 자각과 체험이 신심명 한편의 안목이다.
신심일여信心一如의 세계는 절대무의 경계이므로 이를 말이나 문자로 표현할 방법은 없다.
‘언어도단言語道斷 심행처멸心行處滅’이라고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공간적으로 재在·부재不在도 없는 세계는 당연히 시간을 넘어선 것이다.
신信은 심心을 믿는 용用이며 심心은 신信의 체體이다.
이 용用과 체體는 불이不二의 일체一切이며 정혜일체定慧一切이다.
불이不二의 신심信心을
혜능스님은 ‘무상無相의 자기’라고 했고
황벽은 ‘무심無心’이라 했으며
임제는 ‘일무위一無位의 진인’이라고 했다.
이 신심信心은 한없는 영겁의 존재로서
무시무종에도 해당되지 않는 세계임을 나타낸 것이다.
중국 보리달마의 선禪은 마음을 문제로 삼았고 대승불교의 표방대로
일체중생의 마음은 진성이며 이를 불성, 여래장이라고 하였다.
선禪은 다만 이 진심을 직지直指하는 수修이며 오悟이다.
신심명에서의 수행은 첫머리에서 밝힌 것과 같이 ‘유혐간택唯嫌揀擇’이며
‘둘은 하나로 인한 것이며 하나 또한 고집하지 말라’라고 하는 데 있다.
유무有無, 色空색공, 미오迷悟라는 양자는 근원적으로
하나에 의해 존재한다고 이해하기 쉽지만 몸으로 체득하기는 어렵다.
‘일역막수一亦莫守’의 선수행禪修行은 ‘정념상속正念相續’이라야 한다.
정념은 무념이며 무념은 어디에도 구애됨이 없는 경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 수행의 시작은 신심명이 의미하듯 ‘하나가 무엇인가’
결국 ‘마음은 무엇인가’를 모색하는데서 비롯된 것이다.
구속과 결박되어 있는 듯한 죄업의 마음,
승찬스님은 이 마음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것이다.
‘만 가지의 죄가 이 마음에서 비롯되었다면 이 마음은?’ 이라는 화두처럼,
화두타파는 ‘일역막수一亦莫守’에서 그친 것이다.
일역막수一亦莫守의 현전이 ‘지도至道’의 세계이다.
‘지도무난至道無難 유혐간택唯嫌揀擇’의 세계가
‘일역막수一亦莫守’임을 스님은 천명한 것이다.
이는 신심명 전편의 골자가 된다.
일심불생一心不生으로 일체를 포용시키고
유즉무有卽無, 무즉유無卽有,
일즉이체一卽一切, 일체즉일一切卽一의
무애자재한 행실이 신심불이信心不二의 경지다.
중국 선은 여래장이나 불성의 실유를 예상하는 대승경전의 근본정신으로 살아간다고 하는 것이며
소승선관의 형식에 만족하는 습선習禪과는 결코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형식적으로 양자가 상통하는데도 있지만 그 의의 내용에 있어서는 완전히 다르다.
달리하는 하나의 계기는 실로 불성사상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승찬스님은 佛心과 自心이 둘이 아님을 신심불이信心不二라고 일갈한다.
신심불이信心不二의 신信은 중국선의 맥이 된다.
보리달마의 선은 일체중생이 동일한 진성
즉 불성이 내재하는 것을 깊게 믿는 것 즉 깨달음이 기본적인 입장이다.
중국 禪에 있어서 본래의 신信은 이처럼 역사적 인간의 자각을 말한다.
화엄에서 말하는 ‘신信은 道의 근본, 공덕의 어머니’와 같은
신해행증信解行證적인 것이 아니라 본각本覺적인 것이다.
이 같은 자각의 길로서의 신信에는 두 가지 입장이 있다.
증證[깨침]과 수修[닦음]의 신信인데 증證의 신信은 ‘믿음’ ‘진실 心’으로
비역사적인 법의 입장이지만 수修의 신信은 ‘믿는다.’의 역사적 변증의 길이다.
대승기신론에는 대승의 요체인 신信의 의미를 명료히 보이고 있다.
증證의 신信은 본각本覺이며 수修의 신信은 시각始覺이다.
본각本覺은 바로 시각始覺의 역사적 사유이며
시각始覺은 역으로 비역사적인 본각本覺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신信은 가장 넓은 의미에서의 정신이며 중생심이다.
본각本覺과 시각始覺은 본래성과 현실성으로 둘이지만 하나의 경험일 뿐이다.
대승의 모든 교학은 거의 본각本覺적인 신信의 실천에 의미를 둔다.
달마선의 신信은 증證의 신信이다.
달마선이 대승불교의 일파로서 본각本覺 문門에 선 것은 당연하다.
승찬스님의 신심불이信心不二는 이러한 달마선의 계승임을 보인 것이다.
스님의 이러한 신심信心의 세계는 이후,
초당 영가현각의 증도가, 중당 석두희천의 참동계,
만당 동산양개의 보경삼매에 널리 퍼져 나간다.
禪의 대의는 이렇게 전하여져 신심信心으로 살아가고 있는 자가 있는 한
승찬 스님은 계속 살아 갈 것이다.
/혜원스님 동국대 선학과 교수/법보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