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寒山詩

습득시拾得詩 55

空空 2024. 8. 4. 08:05

습득시拾得詩 55

세유다해인世有多解人 세상에 배움 꽤나 있다는 이들

우치학한문愚癡學閑文 어리석게 쓸데없는 것만 배워서

불우당래과不憂當來果 앞으로 다가올 나쁜 과보 걱정 않고

유지조악인唯知造惡因 오로지 안다는 게 악업 짓는 것 뿐이네.

 

견불불해례見佛不解禮 부처를 만나도 예 갖출 줄 모르고

도승배생진睹僧倍生瞋 수행자를 만나면 까닭 없이 화를 내네.

오역십악배五逆十惡輩 이 세상 온갖 악행 다 저지르고

삼독이위린三毒以爲鄰 탐진치 삼독을 이웃 삼아 살다가(이웃 린鄰=隣)

 

사거입지옥死去入地獄 죽어서 지옥에 떨어지고 나면

미유출두진未有出頭辰 그 괴로움 끝날 날 오지 않으리.

 

 

世有多解人 내 보니 세상에 안다는 사람

愚痴學閑文 어리석게도 부질없는 글 배우네.

不憂當來果 닥쳐올 결과 걱정할 줄 모르고

唯知造惡因 다만 악한 인因만을 지을 줄 아네.

 

見佛不解禮 부처님 본들 예 할 줄 아는가(見佛不禮佛)

覩僧倍生瞋 중을 만나면 짜증만 내네.(覩=睹=睹)

五逆十惡輩 오역五逆과 십악十惡을 짓는 무리들

三毒以爲隣 삼독三毒을 친해 벗을 삼는구나.(이웃 린隣)

 

死去人地獄 이 세상 떠나 지옥에 들면

未有出頭辰 어느 때 다시 헤어나기 기약하리.

 

►생진生瞋 성냄.

►한문閑文 별로 쓸모가 없는 문자나 배움

►‘걸 도賭’ 걸다, 승부에 금품을 걸다, 노름, 도박, 내기.

‘볼 도睹’=볼 도覩. 보다, 가리다, 분별하다

 

►오역五逆 불교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 악행.

소승과 대승에서 말하는 게 각각 다르다.

 

소승에서는 아버지를 죽이는 일,

어머니를 죽이는 일,

아라한을 죽이거나 해치는 일,

부처의 몸에 상처를 입히는 일,

승단의 화합을 깨트리는 일을 무간지옥에 떨어질 행위라 하고,

 

대승에서는 절이나 탑을 파괴하고 불경과 불상을 불태우고

삼보를 빼앗거나 그런 짓을 시키는 일,

성문 따위의 법을 비방하는 일,

출가자를 죽이거나 수행을 방해하는 일,

소승의 오역 가운데 한 가지를 범하는 일,

 

업보가 없다고 생각하여 십악을 행하고

다른 이에게 가르치는 일을 오역이라 한다.

 

►십악十惡 사람의 身口意 3가지 業이 만들어 내는 10가지 죄악.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

탐욕貪慾, 진에瞋恚, 사견邪見이 그것이다. 십불선업十不善業이라고도 한다.

 

►삼독三毒 십악의 끝의 3가지 탐貪, 진嗔, 치癡.

►출두出頭 비참한 지경이나 곤경으로부터 헤어나다.

 

 

이 시도 아래 시와 비슷하다.

寒山詩 88

세유다해인世有多解人 세상에는 통달通達한 사람들이 많은데

우치도고신愚癡徒苦辛 어리석고 못나서 헛되이 괴롭게 고생만 하네.

불구당래선不求當來善 다음 세상의 착하고 좋은 것은 구하지 않고

유지조악인唯知造惡因 오직 나쁜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原因을 만들 줄만 아네.

 

오역십악배五逆十惡輩 다섯 가지 악행惡行과 열 가지 죄악罪惡을 저지르는 무리가 되고

삼독이위친三毒以爲親 욕심, 성냄, 어리석음의 세 가지 번뇌煩惱와 친구가 되네.

일사입지옥一死入地獄 한 번 죽으면 지옥地獄에 들어가

장여진고은長如鎭庫銀 오래도록 창고 속 보물처럼 갇혀 지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