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寒山에 관한 것
한산 寒山에 관한 것
►한산비寒山比
한산게왈寒山偈曰 한산게에 가로되
오심사추월吾心似秋月 내 마음이 가을 달과 같나니
벽담청교결碧潭淸皎潔 푸른 못처럼 맑고 교결하다
무물감비륜無物堪比倫 가히 비륜比倫할 물건이 없거늘
교아여하설敎我如何說 나로 하여금 어떻게 설하게 하겠는가.
<렬조제강록列祖提綱錄>41 중봉본中峰本
금소행우중추절今宵幸遇中秋節 오늘 밤은 다행히 중추절을 만났다.
기득령산화記得靈山話 조계지曹溪指 남천완南泉翫 한산비寒山比
영산화ㆍ조계지ㆍ남천완ㆍ한산비寒山比를 기득記得한다.
►한산사寒山寺 강소 오현 서쪽 10리 풍교楓橋에 있다.
상전相傳하기를 한산과 습득이 일찍이 여기에 머문지라 고로 이름 했다.
사중寺中에 한산寒山ㆍ습득拾得ㆍ풍간豐干의 상像이 있다.
/古今圖書集成職方典 제678, 제686. 大明一統志8. 大淸一統志55
►한산사지寒山寺志 3권.
청대엽창치찬淸代葉昌熾撰 위한산사지사지爲寒山寺之寺誌
청대 섭창치葉昌熾가 찬撰했고 한산사의 사지寺誌가 됨.
민국십일년民國十一年(1922)간행刊行
수어중국불사사지휘간제일집收於中國佛寺史志彙刊第一輯
민국 11년(1922) 간행했고 중국불사사지휘간제1집에 수록되었다.
본서어청선통삼년本書於淸宣統三年(1911)수찬修纂 분위십문分爲十門
본서는 청 선통 3년(1911) 수찬修纂했고 10門으로 분류했다.
卷1 포괄지교包括志橋 지사志寺 지상志象 지종志鐘
권1은 지교ㆍ지사ㆍ지상ㆍ지종을 포괄했다.
卷2 포괄지비包括志碑 지승志僧 지산志産 지유志遊 지사志事
권2는 지비ㆍ지승ㆍ지산ㆍ지유ㆍ지사를 포괄했다.
卷三 포괄지시包括志詩 권3은 지사를 포괄했고
병부이한산습득사적竝附以寒山拾得事蹟 아울러 한산과 습득의 사적事蹟
한산시집해제寒山詩集解題 급제가서독시화서발고증及諸家書牘詩話序跋考證
한산시집해제 및 제가서독시화서발고증을 부록했다.
►한산시寒山詩 3권.
당대국청사도교편唐代國淸寺道翹編 당대 국청사 도교道翹가 편編했고
집록한산지시송삼백여수集錄寒山之詩頌三百餘首 한산의 詩頌 300여 수를 집록했으며
부록풍간시附錄豐干詩 습득시拾得詩 삼시합칭삼은집三詩合稱三隱集
풍간시ㆍ습득시를 부록해 3시를 합칭하여 삼은집三隱集이라 함.
권수유대주자사려구윤서卷首有臺州刺史閭丘胤序 권수에 대주자사 여구윤閭丘胤의 서가 있음.
본서지이본유송순희本書之異本有宋淳熙16年(1189)
본서의 이본異本으론 송 순희 16년(1189)
우혈사문지남집본禹穴沙門志南輯本 급명대계익헌각본及明代計益軒刻本
우혈사문禹穴沙門 지남志南의 輯本 및 명대 계익헌計益軒의 刻本이 있음.
►<선원몽구禪苑蒙求>上. 한산가곶寒山茄串(會元2)
천태산한산자인중승자가차天台山寒山子因衆僧炙茄次(꼬챙이 곶(찬)串)
천태산 한산자에게 중승이 가지를 굽던 차로 인해 가곶茄串을 가져다
장가관향일승배상타일하將茄串向一僧背上打一下
한 중의 등 위를 향해 한 번 때렸다.
승회수僧回首 산정기가관운山呈起茄串云
중이 머리를 돌리자 한산이 가곶을 정기呈起하며 이르되
시심마是甚麽 이 뭣고?
승왈僧曰 저풍전한這風顚漢 중이 가로되 이 풍전한風顚漢(미친 놈)아.
산향방승왈山向傍僧曰 니도你道 한산이 옆의 중을 향해 가로되 네가 말하라,
저승비각아다소염초這僧費却我多少鹽醋 이 중이 나의 얼마의 염초鹽醋를 써버렸나.
►한산망각래시로寒山忘却來時路 조심어록祖心語錄
한산도寒山道 한산이 말하되
욕득안신처欲得安身處 안신할 곳을 얻고자 한다면
한산가장보寒山可長保 한산이 가히 길이 보장保障하리라
미풍취유송微風吹幽松 미풍이 유송幽松에 불어
근청성유호近聽聲愈好 가까이 들으매 소리가 더욱 좋다
하유반백인下有斑白人 아래에 반백斑白의 사람이 있어
남남독황로諵諵讀黃老 중얼거리며 황로黃老를 읽는다.
십년귀부득十年歸不得 10년을 돌아감을 얻지 못해
망각래시도忘却來時道 올 때의 길을 망각했다.
<오등전서五燈全書>66
산옹도민山翁道忞 왈曰
여심마인동득입與甚麼人同得入 어떤 사람과 동득입同得入합니까?
사왈師曰 스님이 가로되
한산망각래시로寒山忘却來時路 한산은 올 때의 길을 망각했고
습득상장휴수귀拾得相將攜手歸 습득은 상장相將(함께)하여 손을 마주 잡고 돌아간다.
<운문광록雲門廣錄>中
일일운一日云 어느 날 이르되
금일십오입하야今日十五入夏也 금일은 15일이니 입하入夏다.
한산자작마생寒山子作麽生 한산자寒山子가 어떠한가?
대운代云 대운代云하되
화상문한산和尙問寒山 화상이 한산을 물으시니
학인대습득學人對拾得 학인은 습득으로 상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