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쿳따까 니까야

法句經 2. 교학품敎學品

空空 2024. 8. 28. 15:09

2. 교학품敎學品

교학품자敎學品者 교학품은

도이소행導以所行 사람을 행行으로 인도하고

석이우암釋己愚闇 어리석고 어두움을 깨뜨려

득견도명得見道明 도의 밝음을 보게 하는 것이다.

 

1

돌재하위매咄哉何爲寐 아아, 어찌 저리 몽매하단 말인가,

옹나방두류螉螺蚌蠹類 벌, 소라, 고동, 조개, 좀 벌레 따위는

은폐이부정隱弊以不淨 저의 더러움을 덮어 숨기고서

미혹계위신迷惑計爲身 미혹한 그것을 제 몸이라 생각한다.

 

►돌咄 꾸짖다. 놀라 지르는 소리. 어이!

►나나니벌 옹螉. 소라 라螺. 펄조개 방蚌. 좀 두蠹.

 

2

언유피작창焉有被斫創 누구의 해침을 받지 않건만(斫 베다, 치다)

심여영질통心如嬰疾痛 마음이 큰 병에 걸린 듯하여(갓난아이 영嬰 (병에) 걸리다)

구우중액난遘于眾厄難 갖가지 재앙과 어려움 만나도(만날 구遘)

이밥위용면而反爲用眠 그래도 도리어 자고 있구나.

 

3

사이불방일思而不放逸 깊이 생각해 함부로 놀지 않고

위인학인적爲仁學仁迹 인仁을 행하고 인의 자취 배우며

종시무유우從是無有憂 그로 말미암아 근심이 없이

상념자멸의常念自滅意 항상 생각하여 제 욕심 없앤다.

 

4

정견학무증正見學務增 바른 소견 공부를 힘써 더하면

시위세간명是爲世間明 이것을 이 세상의 밝음이라 하나니

소생복천배所生福千倍 거기서 복은 천 곱이 생기어

종불타악도終不墮惡道 마침내 나쁜 길에 떨어지지 않는다.

 

5

막역소도莫學小道 조그마한 도를 배워서

이신사견以信邪見 그로써 삿된 소견 믿지 말고

막습방탕莫習放蕩 방탕하기를 즐기어 익혀

영증욕의令增欲意 탐욕을 늘어나게 하지 말라.

 

6

선수법행善修法行 법의 행을 잘 닦아 행하고

학송막범學誦莫犯 배우고 외워 어기지 말라.

행도무우行道無憂 도를 행하면 근심이 없어

세세상안世世常安 세상, 세상에 늘 편안하리라.

 

7

민학섭신敏學攝身 정성스레 공부하여 몸을 잘 단속하고

상신사언常愼思言 항상 조심해 생각하고 말하면

시도불사是到不死 그것은 열반에 이르는 길이어니

행멸득안行滅得安 행이 멸하여 편안하게 되느니라.

 

8

비무물학非務勿學 힘쓰지 않을 것을 배우지 말고

시무의행是務宜行 힘써야 할 것 부디 행하라.

이지가념已知可念 이미 생각해야 할 것을 알면

즉루득멸則漏得滅 모든 번뇌 사라지게 되리라.

 

9

견법이신見法利身 법을 보아 내 몸을 이롭게 하면

부도선방夫到善方 그것은 좋은 곳에 이르게 되며

지리건행知利健行 이로움 알아 씩씩하게 행하면

시위현명是謂賢明 그것을 일러 현명이라 하느니라.

 

10

기각의자起覺義者 깨달은 이치를 행하면

학멸이고學滅以固 배울 것 없어져 단단해지고

착멸자자着滅自恣 집착 사라졌다고 스스로 방자하면

손이불흥損而不興 손해만 있고 일어나지 못하리라.

 

11

시향이강是向以强 그리고 나아가되 굳세게 나아가고

시학득중是學得中 그것을 공부하되 중도를 얻으면

종시해의從是解義 그로부터 이치를 알게 되나니

의억념행宜憶念行 부디 잘 기억하여 행해야 한다.

 

12

학선단멸學先斷母 공부는 먼저 어머니를 끊고

솔군이신率君二臣 임금으로서 두 신하를 거느려

폐제영종廢諸營從 여러 종자從者를 모두 없애버리면

시상도인是上道人 그야말로 제일가는 도인이니라.

 

13

학무붕류學無朋類 공부할 때에 많은 벗 두지 말라.

부득선우不得善友 착한 그 벗을 얻지 못하거든

영독수선寧獨守善 차라리 혼자서 선을 지켜

불여우해不與愚偕 어리석은 이와는 짝하지 말라.

 

14

낙계학행樂戒學行 계율을 즐겨 하고 행을 배울 때

해용반위奚用伴爲 구태여 많은 짝을 필요로 하라.

독선무우獨善無憂 혼자서 선하면 근심 없나니

여공야상如空野象 저 빈들의 코끼리 같네.

 

15

계문구선戒聞俱善 계행과 학문이 모두 훌륭한 것이나

이자숙현二者孰賢 두 가지 중에 어느 것이 나은가.

방계칭문方戒稱聞 계행과 학문은 모두 기릴만한 것이니

의제학행宜諦學行 반드시 착실히 배우고 행하라(살필 체/제諦)

 

16

학선호계學先護戒 계율 먼저 배워서

개폐필고開閉必固 열고 닫기를 반드시 굳게 하라.

시이무수施而無受 늘 베풀되 받지는 말며

역행물와仂行勿臥 힘써 행하여 눕지 말지니(힘슬 력仂)

 

17

약인수백세若人壽百歲 혹 사람이 백년을 살지라도

사학지불선邪學志不善 삿된 공부하여 뜻이 좋지 못하면

불여생일일不如生一日 그것은 단 하루를 살아도

정진수정법精進受正法 정진하며 바른 법 받느니만 못하니라.

 

18

약인수백세若人壽百歲 혹 사람이 백년을 살지라도

봉화수이술奉火修異術 불[火]을 받들거나 다른 술법術法을 닦으면

불여수유경不如須臾頃 그것은 잠깐 동안이나마

사계자복칭事戒者福稱 계율을 지킨 이의 복보다 못하니라.

 

19

능행설지가能行說之可 행할 수 있는 것을 한다 말하고

불능물공어不能勿空語 행할 수 없는 것에 빈말 하지 말라.

허위무성신虛僞無誠信 거짓을 꾸며 진실이 없으면

지자소병기智者所屛棄 지혜로운 사람에게 버림받는다.

 

20

학당선구해學當先求解 학문은 먼저 깨달음을 구해야 하나니

관찰별시비觀察別是非 잘 관찰해 옳고 그름 분별하고

수제응회피受諦應誨彼 바른 이치 배웠으면 남을 가르치면서

혜연불복혹慧然不復惑 지혜로운 이 다시는 미혹하지 말지니라.

 

21

피발학사도被髮學邪道 머리를 풀어 헤쳐 삿된 도를 배우고

초의내탐탁草衣內貪濁 풀 옷 입고서도 마음으로는 탐하거나

몽몽불식진曚曚不識眞 어둡고 아득하여 참된 이치 알지 못하면

여농청오음如聾聽五音 귀머거리 다섯 소리를 듣는 것 같네

 

22

학능사삼악學能捨三惡 학문은 세 갈래 나쁜 길을 버리되

이약소중독以藥消眾毒 약으로 온갖 독을 녹이는 듯하나니

건부도생사健夫度生死 씩씩한 사내 생사生死를 건너는 것

여사탈고피如蛇脫故皮 마치 뱀이 허물[故皮]을 벗는 것 같다.

 

23

학이다문學而多聞 부지런히 배워 들은 것 많고

지계불실持戒不失 계율을 가져 잃지 않으면

양세견예兩世見譽 이승 저승에서 칭찬을 받고(見 당하다, 뵙다)

소원자득所願自得 원하는 것을 모두 얻는다.

 

24

학이과문學而寡聞 게을리 배워 들은 것 적고

지계불완持戒不完 계율 완전히 가지지 않으면

양세수통兩世受痛 이승 저승에서 고통을 받고

상기본원喪其本願 본래의 원하던 것 잃고 마나니

 

25

부학유이夫學有二 대개 공부에는 두 길 있나니

상친다문常親多聞 언제나 많이 들은 사람을 친근히 하고

안제해의安諦解義 이치를 알아 거기서 안주하고

수곤불사雖困不邪 아무리 곤하여도 삿되지 말라.

 

26

제패해화稊稗害禾 잡초와 피가 벼를 해치는 것처럼(들피 제稊, 피 패稗)

다욕방학多欲妨學 많은 욕심은 공부를 방해하나니

운제중악耘除眾惡 갖가지 악을 베어 없애버리면(김맬 운耘 없애다)

성수필다成收必多 성취하여 거두어들임이 반드시 많으리라.

 

27

여이후언慮而後言 깊이 생각한 뒤에 비로소 말하되

사불강양辭不强梁 그 말은 언제나 거칠지 않고

법설의설法說義說 법을 설명하고 이치를 설명하되

언이막위言而莫違 말한 것은 행하여 어기지 말라.

 

28

선학무범善學無犯 잘 배워서 어기지 않고

외법효기畏法曉忌 법法을 두려워 꺼릴 줄 알며(새벽 효曉 훤히 알다)

견미지자見微知者 기미[微]를 보아 일을 아는 사람은

계무환고誡無後患 언제나 경계하여 뒷걱정이 없다(경계할 계誡 고告하다. 분부하다)

 

29

원사죄복遠捨罪福 죄와 복을 다 멀리 여의고

무성범행務成梵行 부지런히 힘써 범행梵行 이루어

종신자섭終身自攝 몸이 다 할 때까지 스스로 단속하면

시명선학是名善學 그것을 일러 좋은 공부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