法句經 20. 애신품愛身品(기신품己身品)
20. 애신품愛身品(기신품己身品)
자신自身의 장/자기자신(Atta Vagga)
자신을 다스리는 방법에 대한 시구이다.
<자신을 사랑하는 참된 방법>
애신품자愛身品者 애신품은
소이권학所以勸學 학문을 권하는 까닭은
종유익기終有益己 끝내는 자신을 유익하게 하며
멸죄흥복滅罪興福 죄를 없애고 복을 일으키기 위한 것임을 밝힌 것이다.
1
자애신자自愛身者 자신을 정말로 사랑하거든
신호소수愼護所守 삼가 지켜야 할 것을 지켜라.
희망욕해希望欲解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사람은
학정불매學正不寐 바른 것을 배우기 위해 잠들지 않는다.
2
위신제일爲身第一 자신을 이루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어
상자면학常自勉學 항상 스스로 배우기에 힘써라.
이내회인利乃誨人 자신을 이롭게 한 후에 다른 사람을 가르치며
불권즉지不惓則智 싫증내지 않으면 지혜로운 사람이다.
3
학선자정學先自正 먼저 자신을 바르게 하는 것을 배우고
연후정인然後正人 그 다음에 다른 사람을 바르게 하라.
조신입혜調身入慧 자신을 잘 다루어 지혜를 얻으면
필천위상必遷爲上 반드시 모든 사람의 스승이 되리라.
4
신불능리身不能利 자신을 이롭게 하지 못하고
안능리인安能利人 어떻게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할 수 있을까.
심조체정心調體正 마음을 다루고 몸을 바르게 하면
사원부지伺願不至 어떤 소원이든 이루지 못할까.
5
본아소조本我所造 본래 내가 지은 업은
후아자수後我自受 나중에 그 결과도 내가 받는다.
위악자갱爲惡自更 그 악행이 스스로를 뚫고 들어와 해치니
여강찬주如剛鑽珠 마치 금강석金剛石이 구슬을 뚫는 것처럼 예리하도다.
6
인부지계人不持戒 사람이 계율을 받아 지니지 않으면
자만여등滋蔓如藤 등나무처럼 무성하게 엉킨 채
영정극욕逞情極欲 감정대로 날뛰고 욕망을 좇아서
악행일증惡行日增 악행이 날마다 늘어난다.
7
악행위신惡行危身 악한 행동은 자신을 위태롭게 하지만
우이위이愚以爲易 어리석은 사람은 이 행동을 쉽게 여긴다.
선최안신善最安身 착한 행동은 자신을 편안하게 하지만
우이위난愚以爲難 어리석은 사람은 이 행동을 어렵게 여긴다.
8
여진인교如眞人敎 성인의 가르침을 따르고
이도활신以道活身 도리를 좇아 자신을 살려야 하리.
우자질지愚者疾之 어리석은 사람은 이것을 싫어하여
견이위악見而爲惡 그것을 보고도 악행을 일삼는다.
행악득악行惡得惡 악을 행하면 악의 열매를 얻으리니
여종고종如種苦種 이것은 괴로움의 종자를 심는 것과 같다.
9
악자수죄惡自受罪 악행은 스스로 그 죄를 받고
선자수복善自受福 선행은 스스로 그 복을 받는다.
역각수숙亦各須熟 그 열매는 지은 사람에게서 무르익으니
피부자대彼不自代 다른 사람이 자신을 대신할 수 없다.
습선득선習善得善 선행을 하면 선의 열매를 얻으니
역여종첨亦如種甛 또한 달콤한 씨앗을 뿌리는 것과 같다.
10
자리리인自利利人 자신을 이롭게 하고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며
익이불비益而不費 유익한 일을 하고 헛되이 보내지 말라.
욕지리신欲知利身 자신을 이롭게 하는 방법을 알려면
계문위최戒聞爲最 계율을 배워 아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다.
11
여유자애如有自愛 참으로 자신을 사랑하여
욕생천상欲生天上 천상에 태어나고자 한다면
경락문법敬樂聞法 공경하는 마음으로 법을 즐겨 듣고
당념불교當念佛敎 부처님의 가르침을 생각해야 한다.
12
범용필예려凡用必豫慮 무엇을 행하든 미리 생각하여
물이손소무勿以損所務 힘써야 할 것을 놓치지 말라.
여시의일수如是意日修 이와 같이 마음을 나날이 닦아서
사무불실시事務不失時 해야 할 일에 때를 놓치지 말라.
13
부치사지사夫治事之士 자신이 할 일을 바르게 해 나가는 사람은
능지종성리能至終成利 결국에는 이로움을 얻을 수 있다.
진견신응행眞見身應行 자신을 참되게 돌이켜 보고 바르게 행하는 사람은
여시득소욕如是得所欲 이와 같이하여 소망을 성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