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의족경佛說義足經 上卷 第七
7. 미륵난경彌勒難經 第七
문여시聞如是 이와 같이 들었다.
불재왕사국佛在王舍國 다조죽원중多鳥竹園中 부처님께서 왕사국 다조죽원에 계셨다.
시중로년비구時衆老年比丘 재강당좌행내사在講堂坐行內事 전상문법轉相問法
연로한 비구들이 강당에 앉아 내사內事를 행하며 서로 법을 물었다.
채상자采象子 자사리불字舍利弗 역재좌중亦在座中 채상자 사리불도 그 자리에 있다가
문설내사률법난문聞說內事律法難問 내사가 율법을 말하는 것을 듣고 질문을 했는데
문불수률언問不隨律言 역무례경亦無禮敬 율법에 따라 질문하지 않고 예의를 갖추어 공경하지도 않았다.
시시是時 현자대구사賢者大句私 역재좌중亦在座中 편위사리불언便謂舍利弗言
이때 현자 대구사도 그 자리에 있다가 사리불에게 말했다.
무無 제弟 “공손하지 못하구나.
물어로년비구유소의勿於老年比丘有所疑 수소언隨所言 공경선학恭敬先學
연로한 비구들이 계신 곳에서 의심이 든다고 하여 마음대로 말하지 말고 선배를 공경해야 할 것이다.”
광위사리불설정의경廣爲舍利弗說定意經 말을 마친 대구사는 사리불을 위해 <정의경>을 설해 주었다.
여유현자자如有賢者子 발도구재가發道久在家 “어진 이가 발심한 채 오랫동안 집에 살다가 마음을 일으켜
생의부념정법生意復念淨法 편제수발이便除鬚髮已 다시금 깨끗한 법을 생각하고 머리털과 수염을 깎은 다음
신사세사信捨世事 피법의被法衣 작사문作沙門 세상일을 버리고 법의를 걸치고 사문이 되었다 하자.
정진행精進行 부정리사附正離邪 그 후 정진하여 정도를 가까이 하고 사도를 멀리 하여
이증위행已證爲行 자지이도自知已度 이미 진리를 證得하여 수행한다면 스스로 이미 제도된 줄 알게 될 것이다.”
시현자미륵時賢者彌勒 도사리불가到舍利弗家 사리불편위미륵작례舍利弗便爲彌勒作禮 편취좌便就座
이때 현자 미륵이 사리불의 집에 당도하자 사리불이 미륵에게 예배를 올리고 자리에 앉았다.
미륵즉여법률난문彌勒卽如法律難問 사리불명어시사불능대舍利弗冥於是事不能對
이에 미륵이 율법에 맞게 질문을 하였으나 사리불은 이러한 율법에 캄캄하여 대답할 수 없었다.
미륵편기거彌勒便起去 미륵은 자리에서 일어나 그곳을 떠나
입성구식경入城求食竟 성으로 들어가 걸식을 마치고
관조장응기盥澡藏應器 환도불소還到佛所 발우를 깨끗이 씻은 다음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돌아왔다.
작례필취좌作禮畢就座 이게문불언以偈問佛言 그리고 예배를 올리고 자리에 앉아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
음욕저녀형婬欲著女形 음욕은 여인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대도해치근大道解癡根 대도는 어리석음의 뿌리를 끊네.
원수존소계願受尊所戒 원컨대 부처님께서 정하신 계율을 받아
득교행원악得敎行遠惡 가르치신 대로 행하여 악을 멀리함 얻고자
의착음녀형意著婬女形 마음에 음란한 여인의 모습이 나타남에
망존소교령亡尊所敎令 부처님께서 내리신 가르침 잊고 말았네.
망정치수와亡正致睡臥 정도를 잊고 잠들어 눕고 마니
시행실차제是行失次第 이러한 짓은 수행의 순서를 잃은 것.
본독행구제本獨行求諦 본디 홀로 수행하여 진리를 찾다가
후반착색란後反著色亂 뒤에는 도리어 여색에 탐착하여 어지러웠네.
분차망정도犇車亡正道 치달리는 수레가 바른 길을 잃은 양
부존사정야不存捨正耶 도무지 정사正邪를 버릴 줄 모르네.
좌치견존경坐値見尊敬 존경해야 할 분을 만나게 되자
실행망선명失行亡善名 어찌할 줄 몰라 착한 이름만 잃고 마네.
견시제계학見是諦計學 진리를 보고 도를 배우길 생각하면
소음원사리所婬遠捨離 음란한 일일랑 멀리 여의어야 하리.
차사색선악且思色善惡 여색의 좋고 나쁨을 생각했다면
이범당하치已犯當何致 이미 율법을 범했거니 어찌할 건가.
문혜소자계聞慧所自戒 지혜로운 이가 경계하는 말 듣고서야
통참각자사痛慚卻自思 통렬히 뉘우치며 다시 스스로 생각하네.
상행여혜합常行與慧合 항상 행동이 지혜와 부합한다면
녕독막란구寧獨莫亂俱 홀로 있을지라도 음란하지 않다네.
착색생사란著色生邪亂 여색에 집착하여 음란한 마음 일으킨들
무세망용맹無勢亡勇猛 세력이 없을 뿐더러 그럴 용기도 없다네.
루계회공포漏戒懷恐怖 계율을 지키지 않으면 두려운 마음 생겨
수단위피부受短爲彼負 잘못을 저지름에 남들에게 위축되기 마련
이착입라망已著入羅網 애착 때문에 죄의 그물에 걸리고서도
편기출간성便欺出奸聲 속임수를 부려 간사한 변명을 늘어놓네.
견범인연악見犯因緣惡 저지른 인연이 악한 것임을 보았다면
막취신자부莫取身自負 육체를 취하더라도 스스로 부끄러울 것 없네.
견행독래거堅行獨來去 견고한 수행으로 홀로 행동하며
취명막습치取明莫習癡 현명함을 취하고 어리석음을 익히지 않네.
원가독자처遠可獨自處 멀리 외진 곳에서 홀로 살아가노니
제견위상행諦見爲上行 진실로 이것이 최상의 수행일세.
유행막자교有行莫自憍 수행을 쌓아 스스로 교만하지 않으면
무의니원차無倚泥洹次 열반도 의지 못할 등급이라네.
원계념장행遠計念長行 원대한 생각으로 진리의 먼 길 생각하나니
불욕색불색不欲色不色 여색이건 여색 아니건 애욕이 없다네.
선설득도통善說得度痛 고통을 여의었다고 말은 잘해도
실세음자식悉世婬自食 세상 사람들은 음욕에 스스로 잡아먹히네.
불설시의족경경佛說是義足經竟 비구실환희比丘悉歡喜
부처님께서 이 <의족경>을 말씀하시고 나자 비구들은 모두 환희에 찼다.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이하 문맥이 부처님의 말씀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