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語錄/벽암록

벽암록 31칙 垂示

벽암록碧巖錄 31칙 마곡진석요상麻谷振錫遶床

【垂 示】

수시운垂示云 수시에 이르기를

 

동즉영현動則影現 움직이면 그림자가 나타나고

각즉빙생覺則冰生 깨달으면 얼음이 생긴다.

 

기혹부동불각其或不動不覺 그렇다고 움직이지도 않고 깨닫지도 않는다면

불면입야호굴리不免入野狐窟裏 여우 굴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투득철신득급透得徹信得及 투철하게 사무치고 꽉 믿어서

무사호장예無絲毫障翳 털끝만큼도 걸림이 없다면

 

여룡득수如龍得水 용이 물을 얻은 듯

사호고산似虎靠山 법이 산을 의지하듯 하여

 

방행야放行也 와력생광瓦礫生光 놓아 버려도 기와 부스러기에서도 광명이 나오고

파정야把定也 진금실색真金失色 잡아 들여도 황금이 빛을 잃게 되어

고인공안古人公案 미면주차未免周遮 옛 사람의 공안조차도 허황된 잔소리일 뿐이다.

 

차도평론십마변사且道評論什麼邊事 자, 일러보라.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가,

시거간試舉看 시험 삼아 거론해보자.

 

 

►방행放行 풀어 놓음. 긍정적 입장. 긍정과 차별. 격려하고 놓아주는 것

금전이 들어오는 것을 파把라 한다.

 

선승禪僧이 學人을 지도할 때

꼼짝 못하게 휘어잡아 바싹 다그치다가 잠시 느긋하게 내버려 두는 것.

 

►파주把住 잡아 둠. 부정적 입장. 부정과 평등. 꾸중하고 가라앉히는 것.

금전이 나가는 것을 방放이라 한다.

 

선승禪僧이 學人을 지도할 때 꼼짝 못하게 휘어잡아 바싹 다그치는 것.

 

►주차周遮=우회迂回

말이 많은 모양으로 어떤 인물이나 사안에 대해 적극 변호辯護해 막아주는 것.

또는 임금에게 올라가는 언로言路를 가로막는 것.

 

►와력瓦礫 ‘조약돌 력(역), 뛰어날 락(낙)礫’

기와와 자갈.

‘깨진 기와 조각’이라는 뜻으로 하찮은 物件이나 사람을 比喩하는 말.

 

파쇄적전두와편破碎的磚頭瓦片 비유무가치적물건比喩無價値的物件

파쇄된 전두磚頭(벽돌)와 와편瓦片(기와 조각)이니 가치가 없는 물건에 비유.

'語錄 > 벽암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31칙 本則 評唱  (1) 2024.04.05
벽암록 31칙 本則과 着語  (0) 2024.04.05
벽암록 30칙 頌 評唱  (0) 2024.04.05
벽암록 30칙 頌과 着語  (0) 2024.04.05
벽암록 30칙 本則 評唱  (1) 2024.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