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Nikāya (9) 썸네일형 리스트형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부록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부록 2013-12-29 23:06:13 부록 1 수행의 지침 도덕적 행위(戒) 도덕적 행위의 청정은 수행자들이 수행의 향상을 이루기 위해서 전제가 되는 조건이다. 도덕적 행위의 청정을 이루었을 때에만 그는 죄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끄달림이 없어져서 쉽게 마음 집중을 이룰 수 있다. 집중 수련기간 동안에는 수행자는 8계를 지킬 것을 요청 받는다. 1. 나는 살생을 하지 않겠다는 계를 지키겠습니다. 2. 나는 주지 않는 것을 취하지 않겠다는 계를 지키겠습니다. 3. 나는 성적인 금욕을 깨뜨리지 않겠다는 계를 지키겠습니다. 4. 나는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는 계를 지키겠습니다. 5. 나는 증류되거나 발효된 술과 정신을 혼미하게 하는 것들을 취하지 않겠다는 계를 지키겠습니다. 6. ..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7장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7장 수행자의 다섯 가지 요소 수행자가 비파사나 수행에서 향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그는 5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첫 번째 요소는 믿음(信)이다. 수행자는 붓다(佛), 담마(法), 상가(僧)에 대해서 특히 그가 수행하고 있는 수행법을 내포하고 있는 담마에 대해서 확고하고 강한 믿음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 요소는 수행자는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건강해야 한다. 만일 두통으로 괴로워하고 현기증을 느끼거나, 복통이 일어나고, 위장이나 다른 곳의 병이 있다면 이런 것들이 그가 건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가 정신적·육체적 과정을 관찰할 수 있을 정도라면 건강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먹는 음식은 소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즉 음식 때문에 위에 문제가 생기..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6장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6장 2013-12-29 22:48:03 제 6장 마음의 기능(5根)을 예리하게 하는 9가지 방법 수행들에게 있어서 다섯 가지 마음의 기능은 信(saddha 앎을 토대로 하는 믿음), 精進(viriya), 念(sati), 定(samādhi), 慧(paññā)이다. 이 다섯 가지를 五根(pañcindriya; pañca는 다섯, indriya는 기능을 뜻함) 또는 五力(pañcabāla 다섯 가지 마음의 힘)이라고 부른다. 신(saddha)은 바른 이해를 갖춘 또는 바른 이해를 통한 믿음을 뜻한다. 정진(viriya)은 불굴의 노력 또는 에너지를 뜻한다. 념(sati)은 마음 챙김 또는 한결같고 지속적인 마음 챙김을 뜻한다. 정(samādhi)은 깊은 마음 집중을 뜻한다. 혜(..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5장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5장 2013-12-29 22:07:32 제 5장 청정의 일곱 단계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우리는 청정의 일곱 단계를 거처야만 한다. 도덕적 행위의 청정 첫 번째는 戒淸淨(sīla-visuddhi) 도덕적 행위의 청정이다. 수행자는 8계가 아니라면 최소한 5계를 지켜야 한다. 5계의 세 번째가 잘못된 성행위를 삼가는 것임에 반하여 8계의 세 번째는 모든 성행위를 삼가는 것이다. 만일 수행자가 성행위를 삼가지 않는다면 그의 마음은 감각적 욕망(kāmacchanda-nīvaraṇa)의 덮개의 의해서 더렵혀질 것이다. 오직 마음이 모든 덮개에서 청정하게 되었을 때에만 수행자는 정신적·육체적 과정을 그 본질에서 자각할 수 있다. 물론 수행자가 8계를 지킨다면 더욱 좋다. 만일 계를 지..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4장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4장 2013-12-29 21:42:08 제 4장 네 가지 마음 챙김 마음 챙김 수행의 일곱 가지 이익을 설명하고 난 후 붓다는 이어서 4가지의 마음 챙김(四念處)에 대하여 설명했다. 1. 몸에 대한 마음 챙김(身念處 kāyānupassanā Satipaṭṭhāna) 2. 느낌에 대한 마음 챙김(受念處 Vedanānupassanā Satipaṭṭhāna) 3. 마음에 대한 마음 챙김(心念處 Cittānupassanā Satipaṭṭhāna) 4. 법에 대한 마음 챙김(法念處 Dhammānupassanā Satipaṭṭhāna) 신념처는 몸에 대한 마음 챙김 또는 현재 발생하는 모든 육체의 과정에 대한 마음 챙김이다. 수념처는 느낌 또는 감각에 대한 마음 챙김이다. 이 느낌 또..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3장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3장 2013-12-29 21:16:44 제 3장 마음 챙김 수행의 일곱 가지 이익 부처님이 가르치신 ‘마음 챙김 수행’의 일곱 가지 이익은 대념처경에 설해져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먼저 불교의 4가지 측면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해 보려고 한다. 이 4가지 측면이란 다음과 같다. 1. 불교의 신앙적인(헌신적인) 측면 2. 불교의 윤리적인 측면 3. 불교의 도덕적인 측면 4. (체험적인 측면을 포함한) 불교의 실천적인 측면 신앙적인 측면 불교의 신앙적인(헌신적인) 측면은 의례와 의식, 경전이나 호주(護呪 paritta)의 독경, 음식물이나 가사(승복)를 공양하는 것과 같이 꽃이나 향을 공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이러한 좋은 행위들을 할 때 우리들은 믿음(信心 śr..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2장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 2장 2013-12-29 18:21:21 제 2 장 수행자를 위한 예비적인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3가지 익혀야 할 것(삼학)이 있다. 도덕적인 행위(계)를 익히는 것. 마음 집중(정)을 익히는 것, 그리고 지혜, 통찰 또는 깨달음(혜)을 익히는 것. 도덕적인 행위를 지켜 나갈 때 그것은 말과 행동을 삼감을 의미한다. 이는 곧 재가자의 경우에는 최소한 5계 또는 8계를, 상가(승려 집단)의 경우에는 227계 또는 별해탈別解脫(paṭimokkha)이라는 지켜야 할 규범을 지니는 것을 의미한다. [별해탈別解脫 몸이나 입으로 짓는 악업을 따로따로 해탈하는 계법戒法] 우리가 온전치 못한(unwholesome; akusala 不善)행동과 말을 삼갈 때 이 계들을 온전하게 지니는 것..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1장 통찰 수행에 대한 가르침 제1장 2013-12-29 17:59:14 제 1 장 바른 이해(정견正見)를 통한 행복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행복과 평화를 원한다. 사람들이 괴로움의 소멸로 이끌어 주는 참된 길을 찾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세상의 모든 종교들은 이것을 찾으려고 생겨났다. 세상의 위대한 종교 가운데 하나가 불교인데 불교는 사람들을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해 준다. 괴로움의 원인 부처님은 괴로움(dukkha)의 원인을 발견했다. 그 분의 가르침에 의하면 모든 것은 조건에 의존해서 발생한다. 세상의 모든 것에는 원인이 있다. 그 어떠한 것도 원인 없이 생겨난 것은 없다. 붓다가 괴로움을 없애 버리려고 했을 때 그는 그 원인을 발견해야만 했다. 원인이 제거되었을 때 어떤 결과도 존재할 수가 없다..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