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비파사나 수행 (123)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나빠나사띠 숟타 16 단계 아나빠나사띠 숟타 16 단계 첫 번째 단계 - 준비 고요한 장소를 정한다. 편안하게 앉는다. 마음-깨어있음을 확립한다. 1 긴 숨을 알아차리기 2 짧은 숨을 알아차리기 3 호흡의 전과정을 알아차리기 4 호흡을 고요히 하기/몸을 고요히 하기 5 환희심을 불러일으키기 또는 경험하기 6 행복감을 불러일으키기 또는 경험하기 7 마음의 작용을 경험하며 호흡 8 마음의 작용을 고요히 하기 9 마음을 경험하기 10 니미타를 밝히기/마음을 기쁘게 하기 11 니미타를 유지하기/마음을 집중하기 12 마음을 자유롭게 13 무상에 대해 반조하기 14 무욕에 대해 반조하기 15 소멸에 대해 반조하기 16 포기에 대해 반조하기 붓다는 높은 경지의 명상에 들기 위해서는 세속의 잡다한 일을 포기해야 한다고 가르치신다. 5.. Kaalaama Sutta Kaalaama Sutta (The Buddha's Charter of Free Inquiry) 칼라마경 (부처님께서 자유로운 탐구를 권하신 헌장) 소마 스님 영역/현음 스님 옮김 ►케사푸타의 칼라마인들, 부처님을 뵈러가다.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세존께서는 큰 비구 승단과 함께 코살라(Kosala)에서 유행流行을 하시면서 칼라마인들(Kaalaamas)이 사는 케사푸타(Kesaputta)라고 하는 마을에 들르셨다. 케사푸타의 칼라마인들은 다음과 같은 소식을 들었다. 석가족의 아들 사문 고타마 존자가 코살라에서 유행하시다가 케사푸타에 이르셨다. 그리고 저 세존 고타마에 대한 좋은 명성이 이와 같이 퍼지고 있다. '그 분 세존께선 바로 아라한[應供]이시며 완전히 깨달으신 분[正等覺者 또는 正.. Vipassanā의 인식론적 근거 Vipassanā의 인식론적 근거 - 빠알리(Pāli) 경전을 중심으로 - 조준호 동국대 불교학과 2014-01-21 01:03:27 I. 들어가는 말 라는 글이 발표된 이후 여러 측면에서 시비가 일어 논쟁점이 부각되었다. 주로 sati(念)라는 용어의 해석과 용례에 있어 이의가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현재의 논자의 sati이해에 따른 지관의 일방적인 차제 수행만을 강조하는 주장에 대해서도 또한 다양한 이견이 있었다. 그것은 몇 몇 경전과 전통적인 지관 이해에 따라 觀수행에서 止수행이 처음부터 가능하다는 근거를 들어 전통적인 입장을 다시 확인 또는 대변하는 입장에 서서 비판하고 있다. 사실 현재의 논자가 경전과 전통적인 주장에 반하는 주장을 하기까지 그러한 경구나 전통적인 이해를 무시하거나 간과한 것은 .. 초기불교에 있어 止觀의 문제 초기불교에 있어 止觀의 문제/조준호 동국대 불교학과 2014-01-21 01:01:47 Ⅰ. 서론 止(Samatha) 觀(Vipassanā)이 불교 수행의 중심이라고 그 중요성은 감지하면서도 구체적으로 그 내용과 관계가 무엇인지 정확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내용은 간과한 채 止와 觀의 관계에 있어 止觀均等이니 止觀雙修니 하는 말을 반복하여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이제까지 止觀의 의미와 내용 그리고 서로간의 관계를 다룬 대부분의 논문이나 단행본에 잘 나타나 있다. 최근의 한 발표에서도 비슷한 사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논문의 제목과 거의 비슷한 발표의 서론에서 “초기불전에 나오는 지관은 용어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실제 지관을 닦는 방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 .. 위빠사나에 대한 몇 가지 오해 위빠사나에 대한 몇 가지 오해/조준호 2014-01-21 01:00:32 1. 문제의 소지는 무엇인가 근래에 들어 화두선 전통의 우리나라에 미얀마 등지로부터 위빠사나 수행법이 소개되면서 양자간의 비교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 화두선 우위론의 입장에서 위빠사나 열등론이 제기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화두선 이론가나 실천가의 대부분은 현재 유통되는 위빠사나를 "낮은 단계의 소승불교 수행법" 정도로 간주하는 경향이 우세하다. 이에 위빠사나 측의 대응은 누가 뭐래도 위빠사나야말로 부처님의 정통 수행법이고 화두선은 고작 중국 송대의 대혜종고로부터 시작한 종파불교의 산물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위안을 삼으려 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양자 간의 만남은 동질성보다는 차별성이 강조되면서 두 전통 사이의 수행론에..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수행에 관한 용어와 개념의 검토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수행에 관한 용어와 개념의 검토 -止‧觀을 중심으로-조준호 동국대 불교학과 2014-01-21 00:59:32 ►마음의 삼매가 없으면 諸法이 드러나지 않는다. Ⅰ. 들어가는 말 본 학회에 拙稿 를 발표한 이래 止·觀의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진전된 논의가 있어왔다. 그 이전의 논문들에서 있어 초기불교의 止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성격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 분명하게 제시되질 못했다. 이는 초기불교이래 대승 그리고 중국불교에 이르기까지 止觀의 내용과 관계에 있어서도 일관되지 않게 여러 가지로 설명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실은 최근에 天台 止觀 사상의 배경을 연구하기 위해 초기불교에서부터 초기불교의 부파 그리고 대승과 대승의 부파에 나타난 지관사상을 개괄적으로 잘 정리하고 있는 .. 불교 명상의 근본 개념 사띠(念)는 ‘수동적 주의집중’ 불교 명상의 근본 개념 사띠(念)는 ‘수동적 주의집중’ 조준호 불교대학 강사 2014-01-21 00:57:44 사띠(sati)의 중요성은 모든 불교 수행의 핵심에 놓여 있다라는 말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위빠사나 수행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용어이다. 그렇기에 이 말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바로 진리인식의 방법인 위빠사나의 성격을 가늠 할 수 있다. 그런데 사띠는 기본적으로 ‘기억’을 의미하는 말이다. 경전에서 사띠는 선정 수행 시와 일상생활 속에서 말하는 과거의 회상 차원의 기억이라는 두 측면이 있다. 여기서 문제 삼는 것은 선정 수행 시 ‘기억’의 문제이다. 다시 말해 일상생활 속에 ‘잊었던 것을 기억해내거나’ ‘향수에 젖어 과거를 회상하는 것’ 또는 ‘암기하였던 것을 기억해 내는 것’과 같은 그러.. 불교 명상의 근본 개념 사띠(念)의 의미와 적용 불교 명상의 근본 개념 사띠(念)의 의미와 적용 /김재성 선학과 강사, 경전연구소 소장 2014-01-21 00:56:35 한문으로 염念으로 번역되는 팔리어 사띠(sati)는 등의 고층의 경전에서부터 자주 등장하며 니까야 내에서는 사띠(sati) 또는 사또(sato), 사띠만트(satimant)이라는 용어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四念處와 六隨念(cha-anussati) 또는 十隨念(dasa-anussati)이라는 용어로 자주 사용되는 수행관련 용어이다. 먼저 사띠에 대한 어원적인 해석은 니카야에서는 보이지 않고 주석 문헌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sati에 대한 정의와 주석문헌 특유의 네 가지 측면에서의 해석은 에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사람들이 기억함으로(saranti taya.. 이전 1 2 3 4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