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풍國風 진풍陳風
145. 택피澤陂 못 둑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여하有蒲與荷 저 연못 둑에는 부들과 연꽃이 있는데
유미일인有美一人 상여지하傷如之何 아름다운 님이여 이 시름을 어이할까
오매무위寤寐無為 체사방타涕泗滂沱 자나 깨나 하염없이 눈물콧물 흘린다네.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여간有蒲與蕑 저 연못 둑에는 부들과 난초가 있는데
유미일인有美一人 석대차권碩大且卷 아름다운 님이여 훤칠하고도 멋지구나.
오매무위寤寐無為 중심연연中心悁悁 자나 깨나 하염없이 마음속에 근심하네.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함담有蒲菡萏 저 연못 둑에 부들과 연꽃봉우리 있구나.
유미일인有美一人 석대차엄碩大且儼 아름다운 님이여 훤칠하고도 의젓한데
오매무위寤寐無為 전전복침輾轉伏枕 자나 깨나 하염없이 베개 안고 뒹구네.
저 못 둑에, 부들과 연꽃
아름다운 한 사람 아픈 내 마음 어이할까
자나 깨나 아무 일도 못하고 눈물만 줄줄 흘린다.
저 못 둑에 부들과 연꽃
아름다운 한 사람 크고도 정다워라
자나 깨나 일 못하고 마음속은 초조하다
저 못 둑에 부들과 연꽃
아름다운 한 사람 크고도 의젓해라
자나 깨나 일 못하고 베개 안고 전전긍긍
●<모시전毛詩傳><모시전毛詩箋><모시정의毛詩正義>
<모전毛傳>은 한漢나라의 모형毛亨(?-?)이 자하子夏에게서 순황荀況을 거쳐 그에게 전해진 <시경詩經>을 대상으로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는데 後漢에 와서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등이 당시까지 전래한 여러 자료를 중심으로 자세한 소疏를 덧붙여 총정리 하여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하여 오늘날의 <시경>이 되었다.
【毛詩 序】
택피澤陂 자시야刺時也 <택피>는 시절을 풍자한 詩이다.
언령공군신음어기국言靈公君臣淫於其國 남녀상설男女相說 우사감상언憂思感傷焉
영공이 군주와 신하가 그 나라에서 음탕하여 남녀가 서로 脫線하니 그것을 근심하는 생각에 속상해 함이다.
【鄭玄 序】
군신음어국君臣淫於國 위여공녕謂與孔寧 의행부야儀行父也
군주와 신하가 나라에서 음란하였음은 孔寧과 儀行父를 말함이다.
감상感傷 위체사방타謂涕泗滂沱
슬픔을 느낌은 눈물 콧물을 줄줄 흘림을 말함이다.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여하有蒲與荷 저 연못 둑에는 부들과 연꽃이 있는데
【毛亨 傳】
흥야興也 일으킴[興]이다.
피陂 택장야澤障也 (방죽 피)陂는 못을 막은 데이다.
하荷 부거야芙蕖也 (멜 하)荷는 연꽃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포蒲 유활지물柔滑之物 전箋에 이르기를 (부들 포)蒲는 부드럽고 미끄러운 물건이다.
부거지경왈하芙蕖之莖曰荷 생이교대生而佼大 연꽃의 줄기를 荷라고 말하며 자라면서 예쁘게 큰다.
흥자興者 포이유소설남지성蒲以喻所說男之性
흥興을 한 것은 부들[蒲]을 가지고 남자의 본성을 설명한 바에 비유 하였고
하이유소설녀지용체야荷以喻所說女之容體也 연꽃[荷]을 가지고 얼굴과 몸을 설명한 바에 비유하였다.
정이피중이물흥자正以陂中二物興者 바름[正]을 가지고 둑 가운데 두 물건을 일으킨 것은
유음풍유동성생喻淫風由同姓生 음란한 풍속이 같은 姓에서 말미암아 생겨났음을 비유함이다.
►유미일인有美一人 상여지하傷如之何 아름다운 님이여 이 시름을 어이할까
【毛亨 傳】 상무례야傷無禮也 (다칠 상)傷은 禮가 없음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상傷 사야思也 전箋에 이르기를 (다칠 상)傷은 생각함이다.
아사차미인我思此美人 당여지하이득견지當如之何而得見之
내가 이 미인을 색각 함은 마땅히 어찌하여서 그를 만날 수 있을까? 함이다.
►오매무위寤寐無為 체사방타涕泗滂沱 자나 깨나 하염없이 눈물콧물 흘린다네.
【毛亨 傳】
자목왈체自目曰涕 자비왈사自鼻曰泗
눈에서 나옴을 (눈물 체)涕라고 말하고 코에서 나옴을 (,물 이름 사)泗라고 말한다.
【鄭玄 箋】 전운箋云 오寤 각야覺也 전箋에 이르기를 (잠 깰 오)寤는 잠을 깸이다.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여간有蒲與蕑 저 연못 둑에는 부들과 난초가 있는데
【毛亨 傳】 蕳蕳 란야蘭也 (난초 간)蕳은 난초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蕳당작련蕳當作蓮 전箋에 이르기를 난초[蕳]는 연꽃[蓮]으로 쓰임이 마땅하다.
련蓮 부거실야芙蕖實也 (연꽃 련)蓮은 연꽃의 열매이다.
련이유녀지언신蓮以喻女之言信 연꽃[蓮]을 가지고 여자의 말이 진실함을 비유함이다.
►유미일인有美一人 석대차권碩大且卷 아름다운 님이여 훤칠하고도 멋지구나.
【毛亨 傳】 권卷 호모好貌 (책 권)卷은 좋은 모양이다.
【音義】
권卷 본우작권本又作卷 동기원반同其員反 (책 권)卷은 다른 본에는 또 卷으로 쓰였으며 동과 원의 반절음이다.
►오매무위寤寐無為 중심연연中心悁悁 자나 깨나 하염없이 마음속에 근심하네.
【毛亨 傳】 연연悁悁 유읍읍야猶悒悒也 연연은,읍읍(근심할 읍悒)과 같음이다.
(悒悒 갑갑(답답. 안달)하다. 애끓다.
【音義】 연悁 오현반烏玄反 (성낼 연)悁은 오와 현의 반절음이다。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함담有蒲菡萏 저 연못 둑에 부들과 연꽃봉우리 있구나.
【毛亨 傳】 함담菡萏 하화야荷華也 함담菡萏은 연꽃이 화려함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화이유녀지안색華以喻女之顏色
전箋에 이르기를 꽃[華]을 가지고 여자의 얼굴색을 비유하였다.
►유미일인有美一人 석대차엄碩大且儼 아름다운 님이여 훤칠하고도 의젓한데
【毛亨 傳】 엄儼 긍장모矜莊貌 (엄연할 엄)儼은 조심操心하고 엄숙嚴肅한 모양이다.
►오매무위寤寐無為 전전복침輾轉伏枕 자나 깨나 하염없이 베개 안고 뒹구네.
【音義】
전輾 장련반張輦反 본우작전本又作展
(돌아누울 전)輾은 장과 련의 반절음인데 다른 본에는 또 전展으로 쓰였다。
●시경집전詩經集傳
▪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여하有蒲與荷 저 연못의 언덕에 부들과 연꽃이 있도다.
유미일인有美一人 상여지하傷如之何 아름다운 한 사람이여, 상한들 어떠한고.
오매무위寤寐無為 체사방타涕泗滂沱 자나 깨나 하는 일없이 눈물과 콧물이 줄줄 흐르노라.
흥야興也 흥이다.
피陂 택장야澤障也 피는 언덕 둑이다.
포蒲 수초水草 가위석자可爲席者 포는 물풀이니 가히 자리를 만드는 것이다.
하荷 부거야芙蕖也 하는 부용꽃.
자목왈체自目曰涕 자비왈사自鼻曰泗 눈에서부터 나오는 것을 체라 하고 코로부터 나오는 것을 사라 한다.
차시지지此詩之旨 여월출與月出 상류相類 이 시의 뜻은 월출장과 더불어 같은 종류다.
언피택지피言彼澤之陂 즉유포여하의則有蒲與荷矣 저 연못의 언덕에는 부들과 연꽃이 있으니
유미일인이불가견有美一人而不可見 아름다운 한 사람을 볼 수 없으면
즉수우상이여지하재則雖憂傷而如之何哉 곧 비록 근심하여 상하더라도 어찌할꼬.
오매무위寤寐無爲 체사방타이이의涕泗滂沱而已矣
자나 깨나 하는 것이 없어서 눈물 콧물만 흐를 뿐이다.
毛詩序에서 말했다.
택피澤陂 자시야刺時也 시대를 풍자한 시로
언영공군신음어기국言靈公君臣淫於其國 영공인 군주와 신하가 그 나라에서 음행을 하고
남녀상열男女相說 우사감상언憂思感傷焉 남녀가 서로 즐거워함에 근심스런 생각과 속상해하는 마음을 말한 것이다.
朱子는 시 내용 전체가 남녀상열지사로 서로가 못 보면 속상해서 눈물콧물을 흘린다고 해석한 반면
毛詩疏에서는
남녀상열의 무례함(진영공과 공녕과 의항보가 하희와 통정했기에 나라사람들이 본받음)을 군자가 미워하면서
시대의 음란함을 근심하고 여자의 무례함에 속상하여 자나 깨나 눈물콧물을 흘리는 것으로 해석했다.
따라서 각 장의 위 두 구절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여하有蒲與荷 저기 저 연못 둑에는 부들과 연잎이 무성하네.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여간有蒲與蕑 저기 저 연못 둑에는 부들과 난초가 무성하네.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함담有蒲菡萏 저기 저 연못 둑에는 부들과 연꽃이 무성하네.
는 男女相說을
그 다음의 두 구절
유미일인有美一人 상여지하傷如之何 늠름하고 아름다운 님이여, 상한 내 마음 어찌할 건가.
유미일인有美一人 석대차권碩大且卷 늠름하고 아름다운 님이여, 훤칠한 키에 고운 얼굴.
유미일인有美一人 석대차엄碩大且儼 늠름하고 아름다운 님이여, 훤칠한 키에 의젓한 행동
은 근심스런 생각(憂思)을
아래의 두 구절
오매무위寤寐無爲 체사방타涕泗滂沱 자나 깨나 아무 일도 못하고 눈물만 뚝뚝 흘리네.
오매무위寤寐無爲 중심연연中心悁悁 자나 깨나 아무 일 못하고 마음에 근심만 하네.
오매무위寤寐無爲 전전복침輾轉伏枕 자나 깨나 아무 일 못하고 뒤척이며 잠 못 이루네.
는 속상해하는 마음(感傷)을 표현했다고 보았다.
이 시의 해석은 공영달孔穎達이 공자의 시 편찬 의도를 잘 드러냈기에 이를 따른다.
▪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여간有蒲與蕑 저 연못 언덕에 부들과 난초가 있도다.
유미일인有美一人 석대차권碩大且卷 아름다운 한 사람이여, 석대하고 또 수염이 잘 났도다.
오매무위寤寐無為 중심연연中心悁悁 자나 깨나 하는 일없이 마음속에 슬퍼하고 슬퍼하노라.
흥야興也 흥이다.
간蕳 난야蘭也 권卷 빈발지미야鬢髮之美也 연연悁悁 유읍읍야猶悒悒也
간은 난초. 권은 구렛나루 수염이 아름다움. 연연은 읍읍(슬퍼하고 슬퍼함)과 같다.
▪
피택지피彼澤之陂 유포함담有蒲菡萏 저기 저 연못 둑에는, 부들과 연꽃이 무성하네.
유미일인有美一人 석대차엄碩大且儼 늠름하고 아름다운 님이여, 훤칠한 키에 의젓한 행동.
오매무위寤寐無為 전전복침輾轉伏枕 자나깨나 아무 일 못하고, 뒤척이며 잠 못 이루네.
흥야興也 흥이다.
함담菡萏 하화야荷華也 함담은 연꽃.
엄儼 긍장모矜莊貌 엄은 씩씩한 모양.
전전복침輾轉伏枕 와이불매臥而不寐 사지심차구야思之深且久也
전전복침은 엎드려서 잠자지 못함이니 생각의 깊고 또 오래함이다.
■진국陳國 10篇 26章 124句
동래여씨왈東萊呂氏曰 동래 여씨 가로대
변풍變風 종어진영종어陳靈 기간其間 남녀부부지시男女夫婦之詩 일하다사一何多邪
변풍이 진나라 영공에서 마치니 그 사이에 남녀와 부부의 시가 한결 같이 어찌 그리 많은 고.
왈曰 가로대 <주역> 서괘전에
유천지연후有天地然後 유만물有萬物 천지가 있은 연후에 만물이 있고
유만물연후有萬物然後 유남녀有男女 만물이 있은 연후에 남녀가 있고
유남녀연후有男女然後 유부부有夫婦 남녀가 있은 연후에 부부가 있고
유부부연후有夫婦然後 유부자有父子 부부가 있은 연후에 부자가 있고
유부자연후有父子然後 유군신有君臣 부자가 있은 연후에 군신이 있고
유군신연후有君臣然後 유상하有上下 군신이 있은 연후에 상하가 있고
유상하연후有上下然後 례의유소착禮義有所錯 상하(天澤履괘)가 있은 연후에 예의를 둔 바가 있으니
남녀자男女者 삼강지본三綱之本 만사지선야萬事之先也 남녀라는 것은 삼강의 기본이고 만사의 우선이라.
정풍지소이위정자正風之所以爲正者 거기정자이권지야擧其正者以勸之也
정풍이 써 正이 되는 것은 그 바른 것을 들어서 써 권장하는 것이고
변풍지소이위변자變風之所以爲變者 거기부정자이계지야擧其不正者以戒之也
변풍이 써 變이 되는 것은 그 바르지 못한 것을 들어서 써 경계함이라.
도지승강道之升降 시지치난時之治亂 속지오융俗之汙隆 민지사생民之死生
도의 오르내림과 때의 다스리고 어지러움과 풍속의 더럽고 융성함과 백성의 죽고 남이 이에 있으니
어시호재於是乎在 록지번실錄之煩悉 편지중복篇之重複 역하의재亦何疑哉
기록함에 번거로움을 다했으며 책을 엮는데 거듭 거듭함을 또한 무엇을 의심하리오(따질 필요가 없는 것이다).
'漢詩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풍國風 회풍檜風 147. 소관素冠 (1) | 2022.11.26 |
---|---|
국풍國風 회풍檜風 146. 고구羔裘 (1) | 2022.11.26 |
국풍國風 진풍陳風 144. 주림株林 (1) | 2022.11.25 |
국풍國風 진풍陳風 143. 월출月出 (0) | 2022.11.23 |
국풍國風 진풍陳風 142. 방유작소防有鵲巢 (1) | 202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