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도륵범지경兜勒梵志經 第十三
문여시聞如是 이와 같이 들었다.
불재왕사국오리산중佛在王舍國於梨山中 부처님께서 왕사국 오리산에 계셨다.
(어조사 어, 탄식할 오, 산 이름 의於)
이시爾時 칠두귀장군여격마월귀장군공약언七頭鬼將軍與鵙摩越鬼將軍共約言
기유소치처생진보其有所治處生珍寶 당상고어當相告語
그때에 칠두귀장군이 격마월귀 장군과 자기가 다스리는 구역에서
진귀한 보물이 나면 서로 말해주기로 약속하였다.
이시爾時 격마월귀장군소치처지중鵙摩越鬼將軍所治處池中
생일련화천엽生一蓮華千葉 기경대여거륜其莖大如車輪 개황금색皆黃金色
그런데 이때 격마월귀 장군이 다스리는 구역의 연못에서 한 연꽃이 피었는데
잎이 천 개이고 줄기가 수레바퀴처럼 굵었으며 전체가 황금빛을 띠고 있었다.
격마월귀장군편장오백귀래도칠두귀장군소鵙摩越鬼將軍便將五百鬼來到七頭鬼將軍所 편위칠두언便謂七頭言
격마월귀 장군은 곧 오백 명의 귀신들을 거느리고 칠두귀 장군이 있는 곳으로 와서 말했다.
현자賢者 녕지아소치지중생천엽련화寧知我所治池中生千葉蓮花 단경대여거륜但莖大如車輪 개황금색皆黃金色
“그대는 내가 다스리는 곳에 있는 연못에서 잎이 천 개이고
줄기가 수레바퀴만큼이나 굵으며 전체가 황금빛을 띤 연꽃이 핀 사실을 아시오?”
칠두귀장군즉보언七頭鬼將軍卽報言 칠두귀 장군이 대답했다.
연현자녕지然賢者寧知 “그러나 그대가 어찌 아리오.
아소치처我所治處 역생신진보亦生神珍寶
내가 다스리는 곳에서도 역시 신묘하고 귀한 보배라 할 수 있는 正覺을 이루신 如來께서 나오셨다는 사실을···
여래정각행도삼활如來正覺行度三活 여래께서는 수행하여 三活(삼해탈문)을 건너셨으며
소설실사세인민득안웅所說悉使世人民得安雄 생무상법락生無上法樂
현무비賢無比 이생보하여현자보已生寶何如賢者寶
설법하시어 모든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안락과 위없는 법열法悅을 얻게 하셨고
이미 보배가 나타났으니 이 어찌 그대의 보배에 비기겠는가?
부이월십오일復以月十五日 설계해죄說戒解罪 이 달 보름에 계율을 말씀하여 죄를 풀어주신다고 하네.”
격마월귀장군보칠두언鵙摩越鬼將軍報七頭言 이에 격마월귀 장군이 칠두귀 장군에게 대답했다.
금십오대정今十五大淨 이 달 보름은 크게 맑은 날이 되어
야명여일광夜明如日光 밤의 밝기가 대낮같이 되어지이다.
구존작하방求尊作何方 세존을 대체 무슨 수로 찾을까.
불착재하처不著在何處 그 어디에 계신지 보이지 않으시니.
존금재왕사尊今在王舍 세존께선 지금 왕사국에 계시면서
교수마갈인敎授摩竭人 마갈 땅 사람들에게 법을 가르치시네.
일체견단고一切見斷苦 일체를 보시어 고통을 끊으시고
동시시현법洞視是現法 현상계의 진리를 환히 꿰뚫어 보시네.
종고부고생從苦復苦生 고통에 이어 다시 고통이 생기는데
단고불부생斷苦不復生 고통을 끊어 다시는 생기지 않네.
경문팔통도徑聞八通道 속히 팔통도八通道를 듣고
무원감로욕無怨甘露欲 원망이 없기를 감로처럼 바라노니
금왕견례경今往見禮敬 이제 가서 함께 공경히 예배하세
즉시아소존卽是我所尊 이 분이야말로 우리의 스승일세.
행의학이작行意學以作 마음으로 도를 배우면
일체유무지一切有無止 일체의 유무가 그치나니
녕유증애불寧有憎愛不 어찌 미움과 사랑이 있겠는가.
소념의내수所念意乃隨 생각하는 바에 마음이 따라가네.
의견어행주意堅於行住 행주좌와에 뜻을 굳게 지니고
이지무소유已止無所有 마음이 고요하여 가진 것이 없으니
증애무소재憎愛無所在 미움도 사랑도 모두 사라지고
념공무소수念空無所隨 생각이 비니 어디에도 끌려가지 않네.
녕탐불여취寧貪不與取 남의 것을 탐내도 취하지 않고
녕의무뇌해寧依無惱害 대상에 의지해도 고뇌하지 않네.
녕사유진행寧捨有眞行 모든 것을 버려도 참다운 행실 있고
녕혜무소착寧慧無所著 은혜를 베풀어도 집착함이 없네.
사탐불여취捨貪不與取 탐욕을 버려서 취하지 않고
민애급연동愍哀及蠕動 꿈틀거리는 벌레에 이르기까지 가엾이 여기네.
단념불사착斷念不邪著 망념을 끊어 삿된 집착 하지 않아도
각통당하친覺痛當何親 괴로움을 느끼나니 무엇을 몸소 해야 할까.
녕수구불기寧守口不欺 입을 잘 지켜 남을 속이지 않고
단질무추성斷嫉無麤聲 질투심을 끊어 나쁜 평판 없고
수정불참인守正不讒人 정도를 지켜 남에게 아첨하지 않고
무념투란피無念鬪亂彼 생각을 비워 남과 다투지 않고
수구심불기守口心不欺 입을 잘 지켜 마음을 속이지 않고
부질추성단不嫉麤聲斷 질투하지 않음에 나쁜 평판 끊어지네.
수행하참인守行何讒人 행실을 잘 지키니 어찌 남에게 아첨하겠으며
실공피하란悉空彼何亂 모든 것을 비웠으니 남이 나를 괴롭히랴.
녕불염애욕寧不染愛欲 진정 사랑과 욕망에 물들지 않으면
의녕정무예意寧淨無穢 마음은 티 없이 깨끗하기만 하다네.
소착녕실진所著寧悉盡 모든 집착을 남김없이 없애고
재법녕혜계在法寧慧計 진리에 머물러 지혜롭게 생각하네.
녕도지삼활寧度至三活 진정 삼활三活을 얻고
소행실이정所行悉已淨 행하는 바가 모두 청정해졌으니
►삼활三活 삼해탈문三解脫門은 즉 해탈을 얻는 세 가지 방법을 말한다.
이것은 일체존재가 모두 실체가 비어 있음을 관하는 공해탈문空解脫門
대상적 차별상差別相이 없음을 관하는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
일체가 구할 것이 없음을 관하는 무작해탈문無作解脫門을 말함.
일체단불착一切斷不著 일체를 끊어서 집착하지 않으니
녕지무태세寧至無胎世 진정 다시는 세상에 나지 않게 되었네.
삼활제이견三活諦已見 삼활의 진리는 이미 보았으니
소행정무구所行淨無垢 행하는 바가 깨끗하여 더러움 없네.
행법실성취行法悉成就 행법行法을 남김없이 성취하여
종법자재지從法自在止 진리에 따라 자재로이 마음이 고요하네.
존덕주실선尊德住悉善 존귀한 덕성은 선행善行에 머물고
신구실이지身口悉已止 몸과 입의 업이 모두 이미 고요하고
존행정수간尊行定樹閒 부처님께서 숲 속에서 선정에 드나니
구왕관구담俱往觀瞿曇 모두 가서 구담瞿曇을 뵈옵세.
진인록천장眞人鹿腨腸 진인眞人은 녹전장鹿𨄔腸이라(천𨄔=장딴지 천腨)
소식멸사탐少食滅邪貪 적게 먹어 나쁜 탐욕 없애나니.
질행문도법疾行問度法 어서 가서 해탈법을 물어 보세
단통종하탈斷痛從何脫 고통을 끊고 어떻게 해탈하는지
관첨여사자觀瞻如師子 부처님을 우러르니 사자와 같아
공포실무유恐怖悉無有 모든 공포 남김없이 사라지니
불소두면례佛所頭面禮 부처님께 머리 숙여 예배하세나.
칠두귀장군급격마월등七頭鬼將軍及鵙摩越等 각종오백귀各從五百鬼 합위천중合爲千衆
칠두귀장군과 격마월귀장군이 각기 오백 명의 귀신을 거느리니 합하여 천 명이나 되었다.
구도불소俱到佛所 개두면례불皆頭面禮佛 주일면住一面
모두가 부처님의 처소에 이르러 머리를 숙여 예배하고 한 쪽에 섰다.
격마월귀장군편백불언鵙摩越鬼將軍便白佛言 격마월귀장군이 문득 게송으로 부처님께 아뢰었다.
진인록천장眞人鹿腨腸 진인眞人 녹전장鹿𨄔腸은(천𨄔=장딴지 천腨)
소식행등심少食行等心 적게 잡수시고 평등한 마음을 행하시며
존행정수간尊行定樹閒 거룩하게도 나무 사이에서 선정을 익히시니
오인문구담吾人問瞿曇 저희들은 구담瞿曇께 아뢰옵니다.
시통종하멸是痛從何滅 이 고통은 어디서부터 멸해지며
종하행탈통從何行脫痛 또한 어디서부터 벗어나야 합니까?
단의문현의斷疑問現義 의심을 끊고자 분명한 도리를 묻사옵나니
운하탈무고云何脫無苦 어찌하여야 벗어나서 고통이 없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단고통사멸斷苦痛使滅 고통을 끊어서 없애려 하면
행시통고진行是痛苦盡 이렇듯 고통을 다하는 도를 행하되
사의묘설지捨疑妙說持 의심을 버리고 묘한 말씀 지니어
여의무유고如義無有苦 이치[義]대로 행하면 그 고통 없어지리.
(격마월귀장군이 다시 여쭈었다)
수조작시세誰造作是世 누가 이 세상을 만들었으며
수조작가착誰造作可著 누가 집착할 만한 것들을 만들었습니까?
수조세소유誰造世所有 누가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을 만들었으며
수조위세고誰造爲世苦 누가 세상의 고통을 만들었습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륙조작시세六造作是世 6造가 이 세상을 만들었고
륙조작가착六造作可著 6조가 집착할 만한 것을 만들었으며
륙조세소유六造世所有 6조가 세상에 있는 것을 만들었고
륙조위세고六造爲世苦 6조가 세상의 고통을 만들었느니라.
(격마월귀장군이 다시 여쭈었다)
수득도시세誰得度是世 누가 이 세상을 벗어나
주야류부지晝夜流不止 밤낮으로 흘러 멈추지 않으며
불착역불현不著亦不懸 집착도 매달리지도 않고
심연수불몰深淵誰不沒 뉘라서 깊은 못에 빠지지 않으리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였다)
일체종지구一切從持具 누구든지 지계[持]를 닦아 갖추고
종혜사상행從慧思想行 지혜로운 생각을 닦아 행하되
내념착의식內念著意識 안으로 기억하여 의식 속에 간직하면
시덕무극도是德無極度 이 공덕으로 바라밀[無極度]을 얻으리.
이리욕세상已離欲世想 이미 세상을 생각하는 욕심을 여의어
색회역불왕色會亦不往 색이 모인 곳엔 가지도 않고
불착역불현不著亦不懸 집착하지도 않고 매달리지도 않으면
시내무몰연是乃無沒淵 이것이야말로 연못에 빠지지 않는 것이다.
(격마월귀장군이 다시 물었다)
종하환륙향從何還六向 어디서부터 6向과 6還이며
하가무유가何可無有可 어떤 것이 가함과 불가함이며
수통역상락誰痛亦想樂 어떤 것이 아픔이며 또 즐거움이며
무여멸진거無餘滅盡去 어떤 것이 남음 없이 멸해 다하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시륙환륙향是六還六向 이 6환과 6향은
시생불부생是生不復生 생이면서도 생함이 아니어서
명멸이무색名滅已無色 이름조차 멸하여 이미 색도 없나니
이진유하여已盡有何餘 이미 다했는데 무슨 남음이 있으랴?
대희보왕도大喜步往道 크게 기뻐하면서 길을 걸어갔네[문맥상 없어야 할 대목]
대장군칠두大將軍七頭 대장군 칠두귀七頭鬼 등이
회당보중은會當報重恩 중대한 은혜를 갚을 기회를 만나
개도현대존開道現大尊 무리를 인도하여 큰 어른께 뵈오니
법시무유상法施無有上 그의 법 보시 위없이 높네.
금귀합천중今鬼合千衆 지금의 귀신 무리 일천 대중이
실능차수주悉能叉手住 모두가 합장하고 제자리에 섰는데
일체신자귀一切身自歸 모두가 몸을 굽혀 스스로 귀의하면서
위세존대사爲世尊大師 세존 큰 스승 위하네.
금이사구과今已辭求過 이제 모두 하직하고 떠나기를 구할 때
각환국정치各還國政治 제각기 제나라에 돌아가서 정치를 하겠다면서
금실례정각今悉禮正覺 모두 정각正覺에게 예하여
념법귀존법念法歸尊法 법을 기억하고 법에 귀의하였네.
이시爾時 좌중유범지座中有梵志 명도륵名兜勒 역재중중亦在衆中(투구 두/도兜)
편생의어니원탈자지체인연便生意於泥洹脫者支體因緣 인시편의생의因是便意生疑
그때에 좌중에 도륵兜勒이라는 梵志가 있었는데 그가 생각하기를
‘열반[泥洹]에서 후퇴함[脫]은 몸[支體] 때문이다’ 하고는 이로 인하여 의혹을 일으켰다.
불즉지도륵의생소의佛卽知兜勒意生所疑 부처님께서 곧 그의 마음에 의심이 생긴 것을 아셨다.
편화작일불便化作一佛 곧 한 부처님을 변화로 만들어내니
단정형호무비端正形好無比 단정하여 形과 好를 견줄 데 없으며
견막불희자見莫不喜者 보는 이마다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형류과천形類過天 그 형상이 하늘무리의 몸보다 뛰어나서
신유삼십이대인상身有三十二大人相 자마금색紫磨金色 32가지 大人相과 자마금색이 있고
의대법의衣大法衣 또 大法衣를 입은
제자역작화인弟子亦作化人 제자가 있는데 그 역시 변화로 사람을 만들어내었다.
화인적언化人適言 제자역언弟子亦言 변화한 사람[化人]이 이내 말을 하면 제자도 따라 말하고
제자적언弟子適言 화인역언化人亦言 제자가 말을 하면 변화한 사람도 말을 하는데
불소작화인佛所作化人 화인언化人言 불묵연佛默然
불언佛言 화인묵연化人默然
부처님께서 변화해낸 사람은 변화로 만든 사람이 말하면 부처님은 묵연히 계시고
부처님께서 말씀을 하시면 변화로 만든 사람은 묵연히 계셨으니
하고何故 일체제념도고一切制念度故
이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면 모두가 망념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화불편차수편단化佛便叉手偏袒 이게탄언以偈歎言
변화한 부처님[化佛]이 문득 합장하고 게송으로 찬탄하였다.
원문현신유왈願問賢神兪曰 현자 신유神兪에게 묻노니
원가정대희족遠可靖大喜足 고요함조차 멀리 하여 기쁨이 충만하시니
종하견학득멸從何見學得滅 어디서부터 배워야 적멸을 깨달아서
실불수세소유悉不受世所有 세상에 있는 것 모두 받지 않으리까?
본시욕다현아本是欲多現我 본래 욕심 하나에서 아상[我]을 많이 나타냈고
종일기편실란從一綺便悉亂 하나의 꾸밈[綺]에서 모두가 어지러웠고
소가유내애욕所可有內愛欲 차지할 수 있다면 모든 애욕 받아 드리나
종화괴상각식從化壞常覺識 모두가 변화 따라 무너짐을 항상 느껴 압니다.
막용시편자견莫用是便自見 그대로 두고도 자신이 부족한지
불급감약여등不及減若與等 아니면 동등한지 스스로 아시고
수견예중소칭雖見譽衆所稱 대중의 칭찬과 명예를 차지해도
막공고궐피주莫貢高蹶彼住 거기에 끄달려 도도한 체 않으시네.
여소법위이지如所法爲已知 안에 있건 밖에 있건
약재내약재외若在內若在外 모든 법 이미 아셨고
강력진소재작强力進所在作 어디서나 힘써 정진하시되
무소득취무유無所得取無有 얻은 것도 취한 것도 모두 없으시네.
차자수행구멸且自守行求滅 또한 스스로 수행守行하여 적멸을 구해야지
학막종피구멸學莫從彼求滅 남으로부터 적멸 구하는 일은 배우지 말게.
이내행의착멸以內行意著滅 안으로 의식을 모아 열반을 생각하시고
역불입종하유亦不入從何有 일정한 곳을 따라 들어가지도 않으셨네.
재처여해중앙在處如海中央 설사 바다의 복판에 계신다 해도
무조파안평정無潮波安平正 좌도가 없이 편안하고 고요하며
일체지주역이一切止住亦爾 그 밖의 동작도 그러하여서
각막증식여의覺莫增識與意 식識과 의意의 증감이 없으시네.
원작대혜안시願作大慧眼視 원컨대 큰 지혜의 눈으로
이증법부현피已證法復現彼 이미 증득하신 법을 다시 저들에게 나투시고
원작광인선서願作光仁善恕 원컨대 어질고 착하고 용서하는 광명을 뿜어
제검식종치정諸撿式從致定 모두를 살피시어 선정을 이루게 하소서.
(부처님께서 게송으로 답하셨다)
차섭안좌우착且攝眼左右著 눈길을 거두어 좌우에 두고
불수언관폐청不受言關閉聽 남의 말을 막아 듣는 길 막으며
계소미막탐착戒所味莫貪著 맛 나는 것을 경계하여 탐내지 말고
아무소세소유我無所世所有 세상에 있는 것이 내게는 없게 하라.
신소유약추세身所有若麤細 내게 있는 것, 거칠건 곱건
막환념작비사莫還念作悲思 더 생각하지 말고 자비로 바꾸며
소가념편생원所可念便生願 생각하는 일 서원으로 생각하고
유래공혜막외有來恐慧莫畏 두려운 일 닥쳐도 지혜롭게 대처하고 겁내지 말라.
소득량급음장所得糧及飮漿 양식이나 마실 것이나
소당용약의피所當用若衣被 그 밖의 도구나 입을 것 얻으면
취족지막려후取足止莫慮後 만족한 데서 그칠 뿐 훗날을 걱정 말며
종시지여막탐從是止餘莫貪 여기서 그치고는 더 참하지 말라.
상행정락수간常行定樂樹閒 항상 선정 행하기를 좋아하며 숲 사이에서 즐기고
사시리무희범捨是理無戲犯 이 이치에 평등하여 장난삼아라도 범하지 말며
약재좌약재와若在坐若在臥 앉거나 눕거나
한정처학력행閑靜處學力行 한가롭고 고요한 곳에서 힘써 수행하라.
막자원연수와莫自怨捐睡臥 스스로 원망하여 일삼아 잠자지 말고
재학행상엄사在學行常嚴事 배우고 행하는 일에는 항상 엄하게 하여
기엄홀급희학棄晻忽及戲謔 경망스러움[晻忽]과 장난을 버리고
욕세호실원리欲世好悉遠離 세상의 좋은 일에 대한 욕망 멀리 여의라.
사병착효해몽捨兵鑿曉解夢 무기[兵] 다듬는 일이나 해몽解夢을 말며
막관숙선악현莫觀宿善惡現 전생 일을 보거나 좋은 일 궂은 일을 예언치도 말며
막현혜어포태莫現慧於胞胎 뱃속의 아기를 점치지도 말며
실막착가천친悉莫鑿可天親 하늘의 비밀을 엿보는 일도 하지 말라.
막조작어매매莫造作於賣買 사고파는 일을 하지 말고
막어피행기리莫於彼行欺利 남을 속여 이익을 챙기지도 말며
막작탐지현국莫作貪止縣國 탐욕을 위하여 관청[縣國]에 머물지도 말고
막종피구욕리莫從彼求欲利 저들에게 이익을 구하려 하지도 말라.
막악행불성설莫樂行不誠說 성실하지 못한 말을 즐겨 행하지 말고
실막행량면사悉莫行兩面辭 이간질하는 말도 모두 하지 말며
진수구혜소행盡壽求慧所行 이 목숨 다하도록 지혜로운 행을 구하여
구지계막경루具持戒莫輕漏 계를 지니되 행여라도 경솔히 굴지 말라.
광래힐막기공撗來詰莫起恐 뜻밖의 질책을 만나도 두려워 말고
견존경막대어見尊敬莫大語 존경하는 이를 보거든 크게 말하지 말며
소탐기불가질所貪棄不可嫉 탐욕을 버리고 질투하지 말며
사량설에비법捨兩舌恚悲法 양설兩舌로써 자비에 어긋나는 짓을 하지 마라.
소욕언학탐착所欲言學貪著 말할 것이 있을 때엔 탐착에 빠지지 않기를 배우고
막출성추사루莫出聲麤邪漏 소리를 낼 때엔 거칠고 삿되게 말며
무수참막종학無羞慚莫從學 부끄러움을 모르는 이에게는 따라 배우지 말고
소시행막취원所施行莫取怨 베푼 것에 대하여 원망을 하지 말라.
문추악불선성聞麤惡不善聲 추악하고 착하지 못한 소리를 들으면
종동학약범인從同學若凡人 동학同學이건 범인凡人이건
선관폐막여동善關閉莫與同 잘 막아 그와 더불어 사귀지 말며
혜반응불과신慧反應不過身 지혜에 어긋나는 일은 행여 몸에 스치지 않게 하라.
지여래제이정知如來諦已正 여래의 진리가 이미 빠르다는 것을 알고는
불희작착의작不戲作著意作 장난삼아 하지 말고 뜻을 들어 행하며
종연정견이멸從宴淨見已滅 선정[宴淨]에 의해 잡된 소견 사라지면
불희의구담교不戲疑瞿曇敎 구담瞿曇의 가르침에 의심치 않네.
자치혜불망법自致慧不忘法 스스로가 지혜를 이루고 법을 잊지 않으면
증법무수이견證法無數已見 증득한 법이 없으나 자주 보게 되리니
상종혜여래학常從慧如來學 항상 지혜로운 여래를 따라 배우되
호불착종시혜好不著從是慧 좋은 것에 집착하지 말고 이 지혜만을 따르라.
불설시의족경경佛說是義足經竟 비구실환희比丘悉歡喜
부처님께서 이 <의족경>을 말씀하여 마치시니 비구들이 모두들 기뻐했다.
'經 > 쿳따까 니까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설의족경佛說義足經 卷下 第十五 (0) | 2024.10.19 |
---|---|
불설의족경佛說義足經 卷下 第十四 (3) | 2024.10.19 |
불설의족경佛說義足經 卷下 第十二 (1) | 2024.10.19 |
불설의족경佛說義足經 卷下 第十一 (2) | 2024.10.19 |
불설의족경佛說義足經 上卷 第十 (2) | 2024.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