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당 시집 제4권 4-14
4 풍운風雲 바람과 구름
14 가수굴佳殊窟
공동심무저空洞深無底 빈 들이 하도 깊어 밑바닥이 없는데
릉증용유형崚嶒聳有形 울뚝불뚝 험하게 형상이 솟아 있네.
적유성헌개滴乳成幰蓋 흩어지는 종유鍾乳 앙장仰長 덮개 이루었고
기척작란령起脊作欄欞 불쑥 내민 등성이는 난간을 이루었네.
엄입제선국淹入梯仙國 빠져 들어 신선 나라에 사다리를 놓았고
경문운송성驚捫隕宋星 놀라 만지면 송나라에 별 떨어지리라.
류공여견차柳公如見此 유공柳公이 만일 이것을 보았더라면
작기륵산병作記勒山屏 기記를 지어 산 둘레에 새겼으리라.
►가수굴佳殊窟
①고려 시대 황해도黃海道 황주목黃州牧 토산현土山縣에 있던 굴.
②평양시 상원군 대동리 동쪽 관음산에 있는 천연동굴.
동굴 안에 관음보살과 같은 기묘한 바위가 있었다.
③평안도 상원군祥原郡 관음산觀音山에 있다.
►능증崚嶒 산이 울퉁불퉁하고 가파름. 山勢가 높고 險함.
►‘수레 휘장 헌幰’ 수레 휘장揮帳. 수레 앙장仰帳(천장이나 상여 위에 치는 휘장) 더위막이
►앙장仰帳 천장 같은 데에 치는 휘장. 지금의 커튼.
►‘격자창 령(영)欞’ 격자창格子窓. 처마. 추녀
►운성隕星 <左傳> 희공僖公16 년에 “운석우송오隕石于宋五 운성야隕星也”라 하였다.
십유육년춘왕정월무신삭十有六年春王正月戊申朔 운석우송오隕石于宋五
16년 봄 왕정월 초하루 무신에 송에 운석 5개가 떨어지다.
시월是月 육익퇴비六鷁退飛 과송도過宋都
이달에 여섯 마리의 물새가 뒤로 밀려 날아가서 송 국도를 지나갔다.
►굴레 륵(늑)勒 굴레. 마함馬銜(재갈), 다스리다, 정돈整頓하다
'韓詩 > 매월당집梅月堂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월당 시집 제4권 4-16 (1) | 2024.02.02 |
---|---|
매월당 시집 제4권 4-15 (2) | 2024.02.01 |
매월당 시집 제4권 4-13 (1) | 2024.02.01 |
매월당 시집 제4권 4-12 (1) | 2024.02.01 |
매월당 시집 제4권 4-11 (1)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