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語錄/벽암록

벽암록 58칙 本則 評唱

【評 唱】

조주평생불행봉갈趙州平生不行棒喝

조주는 일평생 (덕산처럼)몽둥이질을 하거나 (임제처럼)할喝을 하지 않았다.

 

용득과어봉갈用得過於棒喝

그런데 언구의 활용은 몽둥이질이나 할을 능가하였다.

 

저승문득래這僧問得來 야심기괴也甚奇怪 이 승의 질문이 매우 기특하다.

약불시조주若不是趙州 만일 조주가 아니었다면

야난답이也難答伊 그에게 답변하기란 어려웠을 것이다.

 

개조주시작가蓋趙州是作家 지향이도只向伊道

그러나 조주는 작가종사라 이 승을 향해서 이렇게 말했다.

 

증유인문아曾有人問我 직득오년분소불하直得五年分疏不下

“전에도 어떤 사람이 나에게 물었지만 5년이 지났음에도 아직 모르겠다.”

 

문처벽립천인問處壁立千仞 답처역불경타答處亦不輕他

묻는 것도 천길 벼랑에 서 있는 듯하고 답변 또한 그를 가벼이 여기지 않았다.

 

지임마회직시당두只恁麼會直是當頭 이렇게 이해한다면 바로 맞겠지만

약불회若不會 만약 알지 못하더라도

차막작도리계교且莫作道理計較 이러쿵저러쿵 말로써 계교해서는 안 된다.

 

불견투자종도자不見投子宗道者 듣지 못하였느냐? 투자법종投子法宗이

재설두회하작서기在雪竇會下作書記 설두의 회하에서 서기書記로 있었는데

 

설두령참雪竇令參 지도무난至道無難 유혐간택唯嫌揀擇 어차유성於此有省

설두가 그에게 “至道는 어려울 게 없고 그저 간택을 그만두면 될 뿐”을 참구하게 하여

깨닫게 한 것을.

 

 

일일설두문타一日雪竇問他 하루는 설두가 그에게 물었다.

지도무난至道無難 유혐간택唯嫌揀擇 의작마생意作麼生

“‘지극한 도는 어려움이 없고 오로지 간택을 그만두면 될 뿐’이라 한 뜻이 무엇이냐?”

 

종운宗云 투자종도가 말했다.

축생축생畜生畜生 “짐승! 짐승아!”

 

후은거투자後隱居投子 그 뒤 투자산(舒州에 소재함)에 은거하면서

범거주지凡去住持 주지 소임을 보러갈 때는

장가사척초혜여경문將袈裟裹草鞋與經文 으레 가사 속에 짚신과 경문을 지니고 다녔다.

 

승문僧問 어떤 승이 물었다.

여하시도자가풍如何是道者家風 “어떤 것이 투자종도의 가풍입니까?”

 

종운宗云 투자종도가 말했다.

가사척초혜袈裟裹草鞋 “가사 속의 짚신짝이지.”

(‘자루 척, 쌀 과褁’ 싸다. 얽다. 그치다)

 

승운僧云 미심의지여하未審意旨如何 “그 뜻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종운宗云 적각하동성赤腳下桐城

“벌거벗은 다리 아래 동성銅城(舒州의 安慶府의 마을 이름) 고을이 있다.”

 

소이도所以道 그러므로 (五祖法寅)말하기를

헌불부재향다獻佛不在香多

“불공을 올리는 것은 향의 많고 적음에 달려 있지 않다”고 했다.

 

약투득탈거若透得脫去 종탈재아縱奪在我

이를 깨달을 수 있다면 붙잡거나 놓아주는 것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시일문일답既是一問一答 력력현성歷歷現成 앞서 일문일답이 분명하게 고스란히 드러나 있는데

위십마조주각도분소불하為什麼趙州卻道分疏不下 무엇 때문에 조주는 “잘 모르겠다.”고 하였을까?

 

차도시시인과굴부且道是時人窠窟否

자 일러보라, “요즘 사람들은 이를 집착하고 있지 않습니까?”라는 것은

 

조주재과굴리답타趙州在窠窟裏答他 조주가 소굴 속에 있으면서 답변한 것일까,

재과굴외답타在窠窟外答他 (아니면) 밖에 있으면서 답변한 것일까?

 

수지차사부재언구상須知此事不在言句上

이는 반드시 언구 위에 있지 않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혹유개한철골철수或有箇漢徹骨徹髓 신득급거信得及去

혹 어느 사람이 골수에 사무치게 믿어 행한다면

 

여룡득수如龍得水 사호고산似虎靠山

용이 물을 얻은 듯 범이 산을 의지한 것과 같을 것이다.

 

송운頌云 송은 다음과 같다.

 

 

►당두當頭 目前(눈앞) 갑자기. 일제히. 즉석에서.

►투자종投子宗 투자법종投子法宗

송대운문종승법종宋代雲門宗僧法宗 송대 운문종승 법종法宗이니

의설두중현수법依雪竇重顯受法 설두중현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주서주투자住舒州投子 서주 투자에 住했다

/오등회원五燈會元16 속전등록續傳燈錄6

 

‘投子’ 舒州 投子山

 

►축생畜生 범어지률차梵語底栗車(梵 tiryag-yoni).

방생傍生. 횡생橫生. 축생도畜生道. 방생취傍生趣로 부름.

 

오도지일五道之一 5도道의 하나.

륙도지일六道之一 6도의 하나.

삼악도지일三惡道之一 3악도의 하나.

 

지조수충어등일절동물指鳥獸蟲魚等一切動物

새ㆍ짐승ㆍ벌레ㆍ물고기 등 일체의 동물을 가리킴.

 

축생지명畜生之名 내유인축양지의이득乃由人畜養之意而得

축생의 이름은 곧 사람이 畜養함의 뜻으로 말미암아 얻었음.

 

신역위방생新譯爲傍生 신역은 방생傍生이 되며

내취기형불여인지직乃取其形不如人之直 곧 그 형상이 사람의 직直과 같지 못하고

방횡차방행지의傍橫且傍行之義 방횡傍橫하고 또 방행傍行함의 뜻을 취했음.

 

►도자道者 선인지칭호禪人之稱呼

►적각赤脚 맨발

 

►동성桐城 투자산 부근의 마을.

동성현桐城縣 고구현명古舊縣名 동성현桐城縣이니 옛적의 현 이름.

당지덕2재唐至德二載(757)

개동안현치改同安縣置 동안현을 고쳐 설치했음.

 

치금안휘성동성시동남治今安徽省桐城市東南

치소治所는 지금의 안휘성 동성시 동남이니

 

속서주屬舒州 투자산역재서주投子山亦在舒州

서주舒州에 속함. 투자산도 또한 서주에 있음/百度知道

'語錄 > 벽암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58칙 頌 評唱  (0) 2024.05.07
벽암록 58칙 頌 着語  (1) 2024.05.07
벽암록 58칙 本則 着語  (0) 2024.05.07
벽암록 57칙 頌 評唱  (0) 2024.05.07
벽암록 57칙 頌 着語  (0) 20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