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碧巖錄 76칙 단하끽반야미丹霞喫飯也未
【垂 示】
수시운垂示云 수시에 이르기를
세여미말細如米末 랭사빙상冷似冰霜
우리의 본심이란 미세하기가 쌀눈 같고 차갑기는 얼음과 같다.
복색건곤畐塞乾坤 리명절암離明絕暗
그러나 넓기로 말하면 천지에 꽉 차 있고 밝음이나 어둠을 넘어 선다.
저저처低低處 관지유여觀之有餘 가장 낮은 범부에게도 그것은 여유가 있고
고고처高高處 평지부족平之不足 가장 높은 부처의 경지라도 그것은 더 많은 것이 아니다.
파주방행把住放行 총재저리허總在這裏許 잡아들임과 용서해 주는 것이 모두 여기에 들어 있다.
환유출신처야무還有出身處也無 과연 이러한 것을 깨달은 자가 있는가.
시거간試舉看 다음 이야기를 살펴보라.
►세여미말細如米末 랭사빙상冷似冰霜
(우리의 本心本性은)미세하다면 싸락눈같이 잘고
그 성질로 보면 얼음이나 서리처럼 차갑다.
<碧巖錄>13칙 수시
랭처랭여빙설冷處冷如冰雪 차다고 하면 눈같이 차고
세처세여미말細處細如米末 작다고 하면 쌀가루같이 작다.
►복색건곤畐塞乾坤 온 우주에 꽉 차 있다. 온 우주 어디에나 다 있다.
‘畐塞’ 꽉 막히다. 가득 참. ‘가득할 복(폭), 막을 핍(벽)畐’
►리명절암離明絕暗 명암의 차별상을 조절하고 있다.
→일월불능조日月不能照 일월도 비추지 못 한다/<碧巖錄>13칙
►저저처低低處 관지유여觀之有餘
낮고 낮은 밑바닥, 미혹으로 가득 찬 凡夫의 세계에도
本心本性의 여래의 智慧德相은 넘치고 있다.
►고고처高高處 평지부족平之不足
높고 높은 곳, 곧 부처나 깨달은 자.
그와 같은 사람도 凡夫보다 많은 것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
►파주방행把住放行 적극적 행위와 소극적 행위. 生死. 肯定否定
►저리허這裏許 이 속. ‘許’ 처소.
►출신처出身處 철저한 곳. 철저한 이해.
'語錄 > 벽암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76칙 本則 評唱 (1) | 2024.05.16 |
---|---|
벽암록 76칙 本則 着語 (1) | 2024.05.16 |
벽암록 75칙 頌 評唱 (1) | 2024.05.15 |
벽암록 75칙 頌 着語 (0) | 2024.05.15 |
벽암록 75칙 本則 評唱 (0) | 202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