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寒山詩

寒山詩 120

寒山詩 120

부귀소친취富貴疏親聚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면 가깝고 먼 친척도 다 모이니

지위다전미祗爲多錢米 단지 돈과 쌀이 많아서라네.(공경할 지祗↔只)

빈천골육리貧賤骨肉離 가난하고 천하면 부자, 형제 등의 육친肉親도 다 떠나니

비관소형제非關少兄弟 형제가 적어지는 것도 상관하지 않네.

 

급수귀거래急須歸去來 모름지기 서둘러 관직官職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게.

초현각미계招賢閣未啓 초현각招賢閣은 열리지 않을 것이네.

낭행주작가浪行朱雀街 헛되이 장안長安의 넓은 길을 다니다가

답파피혜저踏破皮鞋底 가죽신 밑창만 다 닳고 말리라.

 

 

잘살고 귀히 되면 친척들이 다 모이니

돈과 쌀이 창고에 가득해서 그렇고

못살고 하찮으면 골육들도 멀어지니

형제가 꼭 적어서만 그런 것도 아니네

 

서둘러 전원으로 돌아가게나

초현각은 열리지 않을 거라네

헛되이 도성에서 명리를 좇다 보면

신고 다닌 가죽신 바닥이나 닳겠지

 

 

부귀하면 먼 친척도 모이나니

단지 돈과 쌀이 많기 때문이네.

빈천하면 혈육도 떠나나니

형제의 적어짐 관계치 않네.

 

서둘러 고향으로 돌아가야 하리

아직 초현각招賢閣 열리지 않았으니

주작가朱雀街 쏘다녀 보았자

가죽신 밑창만 닳고 말리라.

 

►소친踈親 먼 친척. ‘소踈’ 멀다. 멀어지다.

►귀거래歸去來 歸去. 돌아가다. ‘來’는 어조사로 의미가 없음.

관직을 물러나서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말.

 

동진 때의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나왔음.

<귀거래사歸去來辭>는 중국 진나라의 도연명이 팽택의 현령縣令이 되었을 때에

군의 장관長官이 의관을 갖추어 배알拜謁하라는 데에 분개하여

그날로 사직辭職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면서 지은 시詩.

六朝 시대의 으뜸가는 명문名文으로 침.

 

<권주勸酒 술을 권하며>/백낙천白樂天

권군일배군막사勸君一杯君莫辭 한 잔 술을 권하거니 그대 사양 말게나

권군양배군막의勸君兩杯君莫疑 두잔 술을 권하니 그대 의심하지 말게나.

권군삼배군시지勸君三杯君始知 석잔 권하노니 그대 비로소 내 마음 알았다.

 

면상금일노작일面上今日老昨日 사람의 얼굴은 오늘도 내일도 늙어가고

심중취시승성시心中醉時勝醒時 취한 때 마음속이 깨어 있을 때보다 좋다.

 

천지초초자장구天地迢迢自長久 천지는 아득하고 원래부터 장구하고

백토적오상진주白兎赤烏相趁走 흰 토끼 붉은 까마귀 서로 쫓듯 달려간다.

신후퇴금주배두身後堆金拄北斗 죽은 뒤 북두칠성에 닿을 정도 황금을 쌓아도

불여생전일준주不如生前一樽酒 살아서 한 통의 술을 마심만 못하리라.

 

군불견君不見 그대는 보지 못했나.

춘명문외천욕명春明門外天欲明 궁성 춘명문 밖의 동 틀 무렵에

훤훤가곡반사생喧喧歌哭半死生 시끄럽게 노래하고 곡하며 나고 죽음이 절반인 것을.

유인주마출부득遊人駐馬出不得 그곳을 다니는 사람들 말을 멈추지 않을 수 없으니

백여소거쟁노항白輿素車爭路行 흰 색 장의차가 다투어 길을 나간다.

 

귀거래歸去來 돌아가자

두이백頭已白 이미 머리 희어졌으니

전전장용매주끽典錢將用買酒喫 전당포에 돈 빌려 술을 사서 마셔 버리자꾸나.

 

►초현각招賢閣

연燕나라 소왕昭王이 부국강병의 꿈을 이루기 위해 상국相國 곽위郭隗의 제안을 받아들여

역수易水 가에 초현대招賢臺를 높이 짓고 천하의 현사를 불러 모았다는 고사를 인용한 것임.

 

►낭浪 자기 마음대로. 함부로. 마구.

►주작가朱雀街

당나라 수도 장안長安의 번화가로 명예와 이익을 추구하는 장소라는 것을 가리킴

'漢詩 > 寒山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山詩 122  (0) 2024.07.16
寒山詩 121  (0) 2024.07.16
寒山詩 119  (0) 2024.07.16
寒山詩 118  (0) 2024.07.16
寒山詩 117  (0) 2024.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