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쿳따까 니까야

法句經 13. 우암품愚闇品

13. 우암품愚闇品

바보의 장/어리석은 이(Bala Vagga)

어리석음에 대한 격렬한 비판이다.

'어리석은 이와 같이 가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니 외롭더라도 차라리 홀로 가라'는

간절한 가르침이 이 장의 전편에 흐르고 있다.

 

<어리석은 사람>

우암품자愚闇品者 우암품은

장이개몽將以開朦 중생의 어두움을 열어 주기 위하여

고진기태故陣其態 일부러 어두움의 모습을 보여주어

욕사규명欲使窺明 밝음이 무엇인지 알게 하려고 한 것이다.

 

1

불매야장不寐夜長 잠 못 이루는 사람에게 밤은 더욱 길고

피권도장疲倦道長 지치고 피곤한 사람에게 길은 더욱 멀다.

우생사장愚生死長 어리석은 사람에게 생사의 물결은 더욱 길고 머니

막지정법莫知正法 바른 법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2

치의상명癡意常冥 마음이 어리석은 사람은 언제나 어둠에 빠져

서여류천逝如流川 시냇물처럼 떠다니며 헤어 나오지 못하니

재일행강在一行彊 차라리 홀로 굳세게 나아가며

독이무우獨而無偶 외로워도 그를 벗으로 삼지는 말라.

 

3

우인착삭愚人着數 어리석은 사람과 자주 함께 하면

우척구장憂慼久長 근심하고 슬퍼할 날이 길고 오래간다.

여우거고與愚居苦 어리석은 사람과 함께 하면 고통에 빠지니

어아유원於我猶怨 그는 나에게 원수와 같다.

 

4

유자유재有子有財 내 자식이 있고 내 재산이 있다고

우유급급愚惟汲汲 어리석은 사람은 분주하게 쫓아다니며 고뇌한다.

아차비아我且非我 내 몸도 또한 내 것이 아니거늘

하우자재何憂子財 어찌 내 자식 내 재산에 대한 집착으로 고뇌할 것인가.

 

5

서당지차暑當止此 더우면 여기서 살아야 하고

한당지차寒當止此 추우면 여기서 살아야 하고

우다무려愚多務慮 어리석은 사람은 애써 이런저런 생각하지만

막지래변莫知來變 정작 자신에게 닥쳐 올 죽음은 알지 못한다.

 

6

우몽우극愚朦愚極 무지몽매하여 어리석음이 지극한 사람은

자위아지自謂我智 스스로 나는 지혜롭다고 한다.

우이승지愚而勝智 어리석으면서 뛰어난 지혜를 지니고 있다고 하니

시위극우是謂極愚 이러한 이를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이라 한다.

 

7

완암근지頑闇近智 완고하고 어리석은 사람이 지혜로운 사람을 가까이함은

여표짐미如瓢斟味 마치 바가지가 제 속에 담긴 물건의 맛을 음미하는 것과 같다.

수구압습雖久狎習 비록 오래도록 가까이하면서 배우더라도

유부지법猶不知法 참된 법을 알지 못한다.

 

8

개달근지開達近智 지혜로운 사람을 가까이함은

여설상미如舌嘗味 마치 혀로 맛을 보는 것과 같아서

수수유습雖須臾習 비록 잠깐 동안 배우더라도

즉해도요卽解道要 곧 바로 도의 요체를 깨닫는다.

 

9

우인시행愚人施行 어리석은 사람이 하는 일은

위신초환爲身招患 몸에 근심을 불러일으키니

쾌심작악快心作惡 거리낌 없는 마음으로 악행을 저질러

자치중앙自致重殃 스스로 무거운 재앙을 부른다.

 

10

행위불선行爲不善 좋지 않은 행위를 하면

퇴견회린退見悔悋 나중에 뉘우치고 한탄하며

치체류면致涕流面 눈물을 흘리고 슬퍼하나니

보유숙습報由宿習 이 과보果報는 자신이 지은 것이다.

 

11

행위덕선行爲德善 좋은 행동을 하면

진도환희進覩歡喜 기쁘고 즐거워하며 살아가고

응래수복應來受福 훗날 그에 따른 복을 받게 되나니

희소열습喜笑悅習 웃고 즐거워하는 것은 자신이 지은 것이다.

 

12

과죄미숙過罪未熟 죄를 짓고 아직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 동안에는

우이염담愚以恬淡 어리석은 사람은 편안하고 유유자적하게 지내지만

지기숙처至其熟處 그 잘못의 결과가 밖으로 나타날 때

자수대죄自受大罪 어리석은 사람은 큰 죄의 대가를 받게 된다.

 

13

우소망처愚所望處 어리석은 사람은 자신이 의지하는 것이

불위적고不謂適苦 고통을 받을 만한 것이라 말하지 않는다.

임타액지臨墮厄地 마침내 재앙의 땅에 떨어져서야

내지불선乃知不善 그것이 나쁜 것임을 알게 된다.

 

14

우준작악愚惷作惡 어리석은 사람은 악을 짓고

불능자해不能自解 스스로 벗어나지 못한다.

앙추자분殃追自焚 재앙이 쫓아와 자신을 태우니

죄성치연罪成熾燃 죄는 더욱 맹렬하게 타오른다.

 

15

우호미식愚好美食 어리석은 사람이 맛있는 음식을 좋아함에

월월자심月月滋甚 달마다 더욱더 심해지면서

어십육분於十六分 한 순간이라도

미일사법未一思法 법을 생각하지 않는다.

 

16

우생념려愚生念慮 어리석은 사람의 생각은

지종무리至終無利 끝내 이익이 없는 것.

자초도장自招刀杖 스스로 칼이나 몽둥이를 불러들이니

보유인장報有印章 그에 따른 과보가 어김없이 따라오네.

 

17

관처지기우觀處知其愚 행동하는 것을 보면 그의 어리석음을 알 수 있다.

불시이광구不施而廣求 베풀지 않고 널리 구하는 것만 힘쓰고

소타무도지所墮無道智 자신이 있는 곳에서 어떤 지혜도 없이

왕왕유악행往往有惡行 종종 나쁜 행동을 저지른다.

 

18

원도근욕자遠道近欲者 도를 멀리하고 탐욕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위식재학명爲食在學名 먹는 것만 추구하고 명예를 위해 배운다.

탐의가거고貪의家居故 함께 사는 무리들 속에서는 좋은 자리를 탐하고

다취공이성多取供異姓 다른 사람의 집에서는 많은 공양을 얻으려 한다.

 

19

학막타이망學莫墮二望 배움의 길에서 좋은 자리와 많은 공양을 바라지 말라.

막작가사문莫作家沙門 자신의 것을 짓지 말라, 사문이여.

탐가위성교貪家違聖敎 자신의 것을 탐하는 것은 참된 진리에 어긋나니,

위후자궤핍爲後自匱乏 훗날 스스로 더욱 가난해질 뿐이네.

 

20

차행여우동此行與愚同 이러한 행동은 어리석은 것으로

단령욕만증但令欲慢增 욕망과 교만이 더해갈 뿐이네.

이구지원이利求之願異 이익을 얻으려는 바램과 어긋나고

구도의역이求道意亦異 도리를 얻으려는 뜻에도 어긋난 것이네.

 

21

시이유식자是以有識者 그러므로 지혜로운 사람은

출위불제자出爲佛弟子 출가하여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

기애사세습棄愛捨世習 애욕을 버리고 세간의 습속을 버려서

종불타생사終不墮生死 마침내 생사의 굴레에 떨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