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가 니까야> 제3권 빠띠까 품 Patika vagga
<삼십이상경三十二相經 Lakkhaṇa Sutta D30> 32가지 대인의 상호
2013-12-27 02:53:25
불교 경전의 도처에 부처님이나 전륜성왕은 32가지 대인상을 갖추었다고 나타난다.
본서 제1권의 <암밧타 경(D3)> 등 <디가 니까야>의 많은 경들에서도 대인상은 언급이 되고 있다.
그리고 본서 제2권 <대전기경(D14)> §1.32는 32가지 대인상을 나열하고 있다.
이처럼 32가지 대인상을 나열하는 경우는 드물게 있지만(M91) 정작 32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경은 없다.
빠알리 니까야들 가운데서 32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은 아마 본경뿐일 것이다.
본경은 32상이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무슨 이유 때문에 부처님이나 전륜성왕은 이러한 32상을 구족하게 되었는지를 전생에 닦은 공덕과 연결해서 나름대로 설명하고 있다.
32상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뜻하며 이러한 32상을 어떻게 해서 구족하게 되는지를 알고자 하는 분들의 일독을 권한다.
<삼십이상경>으로 옮긴 빠알리 원어는 Lakkhaṇa Sutta이다.
그러므로 ‘상경相經’이라고 직역할 수 있다.
그런데 Lakkhaṇa도 초기경들에서는 여러 의미로 나타나고 있고 한역에 나타나는 相이라는 단어도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경의 주제를 정확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삼십이상경>으로 구체적으로 옮겼다.
한역 <장아함>에는 본경처럼 32상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경은 없고 <중아함>의 59번째에 <삼십이상경三十二相經>으로 번역된 경이 있다. 그러나 <중아함><삼십이상경>은 본경처럼 32상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고 있으며 단지 32상의 나열만이 나타나고 있다.
'經 > 디가니까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따나띠야 경 Āṭānāṭiya Sutta D32> (0) | 2023.01.09 |
---|---|
<교계 싱갈라 경 Siṇgālovāda Sutta D31> (0) | 2023.01.09 |
<정신경淨信經 Pāsādika Sutta D29> (0) | 2023.01.09 |
<확신경確信經 Sampasādanīya Sutta D28> (0) | 2023.01.09 |
<세기경世紀經 Aggañña Sutta D27> (0)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