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아함경長阿含經> 제 20귄 30. 세기경世紀經 ⑧ 도리천품忉利天品
2013-12-27 03:49:20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수미산왕 꼭대기에 33天의 성이 있는데 그 성의 가로와 세로는 각각 8만 유순이다.
그 성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 있는데 둘레는 7보로 장식되어 있다.
성의 높이는 100유순이고 위쪽의 너비는 60유순이며 성문의 높이는 60유순이고 너비는 30유순이다.
성문끼리의 간격은 5백 유순이다.
그 성문마다 5백 귀신이 있어 33천을 모시며 호위하고 있다.
금성金城에는 은문이 달려 있고 은성에는 금문이 달려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역시 앞에서와 같다.
그 큰 성 안에는 다시 작은 성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6만 유순이다.
그 성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성의 높이는 1백 유순이고 너비는 60유순이다.
성문끼리의 간격은 5백 유순이고 높이는 60유순 너비는 30유순이다.
성문마다 5백 귀신이 있어 문 곁에서 삼십삼천을 모시며 호위하고 있다.
금성에는 은문이 달려 있고 은성에는 금문이 달려 있으며
수정성에는 유리문이 달려 있고 유리성에는 수정문이 달려 있으며
붉은 구슬성에는 마노문이 달려 있고 마노성에는 붉은 구슬문이 달려 있으며
자거성에는 여러 가지 보배 문이 달려 있다.
금난간에는 은가름대, 은난간에는 금가름대, 수정난간에는 유리가름대, 유리난간에는 수정가름대,
붉은 구슬난간에는 마노가름대, 마노난간에는 붉은 구슬가름대, 자거난간에는 여러 가지 보배 가름대가 있다.
그 난간 위에는 보배 그물이 있다.
금그물 밑에는 은방울을 달았고 은그물 밑에는 금방울을 달았으며
유리그물에는 수정방울을 달았고 수정그물에는 유리방울을 달았으며
붉은 구슬그물에는 마노방울을 달았고 마노그물에는 붉은 구슬방울을 달았으며
자거그물에는 여러 가지 보배로 된 방울을 달았다.
그 금나무는 금뿌리와 금가지에 은잎ㆍ은꽃ㆍ은열매이고, 은나무는 은뿌리와 은가지에 금잎ㆍ금꽃ㆍ금열매이며
수정나무는 수정뿌리와 수정가지에 유리꽃ㆍ유리잎이고, 유리나무는 유리뿌리와 유리가지에 수정꽃ㆍ수정잎이며
붉은 구슬나무에는 붉은 구슬뿌리와 붉은 구슬가지에 마노꽃ㆍ마노잎이고
마노나무는 마노뿌리와 마노가지에 붉은 구슬꽃ㆍ붉은 구슬잎이며
자거나무는 자거뿌리와 자거가지에 여러 가지 보배 꽃과 잎이 달려 있다.
그 일곱 겹의 성에는 네 개의 문이 있고 문마다 난간이 있다.
일곱 겹의 성 위에는 모두 누각과 정자들이 빙 둘러 있다.
동산 숲과 목욕하는 연못이 있는데 온갖 보배 꽃이 갖가지 색으로 어우러져 피어 있다.
보배나무는 줄지어 서 있고 꽃과 열매도 무성하고 풍성하다.
향기로운 바람이 사방에서 일어나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해주고
오리와 기러기, 원앙 따위의 이상하고 기이한 온갖 새들도 갖가지 소리를 내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귄다.
그 작은 성 밖의 중간에는 이라발용伊羅鉢龍의 궁전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6천 유순이다.
궁전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가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역시 위에서 말한 것과 같다.
그 善見城 안에는 善法堂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1백 유순이다.
►제석천의 강당으로 선견당善見堂이라고도 한다.
일곱 겹의 보배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그 법당의 바닥은 다 황금으로 되어 있고 위는 유리로 덮여 있다.
법당 가운데 있는 기둥은 둘레가 10유순이고 높이는 1백 유순이다.
그 기둥 아래에 제석帝釋의 자리가 깔려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1유순이며 7보가 얼기설기 엮어져 있다.
그 자리는 하늘 옷처럼 부드럽고 연하다.
그 자리의 양쪽에는 좌우로 16개의 자리가 있다.
법당에는 네 개의 문이 있고 7보로 만든 난간이 둘러져 있다.
그 선법당의 층계 길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5백 유순이다.
문의 담장은 일곱 겹을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선견당善見堂 북쪽에는 제석천의 궁전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1천 유순이다.
궁전의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선견당의 동쪽에는 추삽麤澀이라는 동산 숲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1천 유순이다.
동산 숲의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역시 위에서와 같다.
추삽 동산 가운데에는 하늘금[天金]으로 장식된 두 개의 석타石垜(돌벽)가 있는데
첫째는 현賢이라 하고 둘째는 선현善賢이라 하며 가로와 세로가 각각 50유순이다.
그 석타는 하늘 옷처럼 부드럽다.
선견당의 남쪽에는 화락畵樂이라는 동산 숲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천 유순이다.
동산의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역시 앞에서와 같다.
그 동산 안에는 7보로 된 두 개의 석타石垜가 있는데
첫째는 주晝라 하고 둘째는 선주善晝라 하며 가로와 세로가 각각 50유순이다.
그 석타는 하늘 옷처럼 부드럽다.
선견당 서쪽에는 잡雜이라는 동산 숲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천 유순이다.
동산의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역시 위에서 말한 것과 같다.
그 동산 안에는 하늘금과 7보로 된 두 개의 석타가 있는데
첫째는 선견善見이라 하고 둘째는 순선견順善見이라 하며 가로와 세로가 각각 50유순이다.
그 석타는 하늘 옷처럼 부드럽다.
선견당 북쪽에 대희大喜라는 동산 숲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천 유순이다.
동산의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위에서 말한 것과 같다.
그 동산 안에는 자거로 장식된 두 개의 석타가 있는데
첫째는 희喜라 하고 둘째는 대희大喜라 하며 가로와 세로는 각 각 50유순이다.
그 석타는 하늘 옷처럼 부드럽다.
그 추삽동산과 화락동산 중간에 난다難陀 연못이 있는데 가로와 세로가 각각 1백 유순이다.
그 물은 청정하여 더러움이 없고 일곱 겹의 보배 해자와 섬돌이 연못을 두르고 있다.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고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그 못의 4面에는 네 개의 사다리가 있고 일곱 가지 보배를 섞어 만든 난간이 빙 둘러져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또 그 못 속에는 파란색ㆍ노란색ㆍ붉은색ㆍ흰색의 꽃이 피어 있으며
옥빛ㆍ분홍빛 등 여러 가지 색깔의 꽃이 사이사이 섞여 있다.
꽃잎 한 개는 1유순까지 그늘을 드리울 수 있고 향기도 짙어서 1유순 밖에까지 풍긴다.
뿌리는 수레 바퀴통과 같으며 흘러나는 즙액은 빛깔이 젖과 같이 희고 맛은 꿀처럼 달다.
그 못의 4면에도 또 동산 숲이 있고 그 잡동산숲[雜園林]과 대희동산숲[大喜園林] 사이에 주도晝度라고 하는 나무가 있다.
둘레는 7유순이고 높이는 1백 유순이며, 가지와 잎은 사방으로 50유순이나 퍼져 있다.
나무 밖에 있는 빈 정자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1백 유순이고, 궁전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다.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고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그 밖의 도리천 궁전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천 유순이다.
궁전의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까지의 일들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그 모든 궁전은 가로와 세로가 9백 유순인 것도 있고 8백 유순인 것도 있으며 아주 작은 것도 1백 유순이나 된다.
궁전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에 이르기까지의 일들은 또한 앞에서와 같다.
모든 작은 궁전들은 가로와 세로가 각각 1백 유순이고 90유순인 것과 80유순인 것도 있으며
아주 작은 것도 12유순에 이른다.
궁전의 담장은 일곱 겹으로 되어 있고
일곱 겹의 보배 난간, 일곱 겹의 보배 그물, 일곱 겹의 보배 가로수가 빙 둘러져 있는데 모두 7보로 장식되어 있다.
나아가 무수한 온갖 새들이 서로 화답하며 지저귀는 것에 이르기까지의 일들은 역시 앞에서와 같다.
선견당 북쪽에는 제석의 궁전으로 이르는 두 개의 층계 길이 있고
선견당 동쪽에도 추삽동산으로 가는 두 개의 층계 길이 있다.
또 화락畵樂동산에 이르는 층계 길이 있고 또 잡雜동산에 이르는 층계 길이 있으며
대희大喜동산에 이르는 층계 길이 있고 또 대희연못에 이르는 층계 길이 있으며
주도나무에 이르는 층계 길이 있고 삼십삼천의 궁전에 이르는 층계 길이 있으며
또 모든 천궁에 통하는 층계 길도 있고 이라발용왕의 궁전에 이르는 층계 길도 있다.
만일 제석천왕이 추삽동산에 나가 노닐고자 할 때에는 33천의 신하들을 생각하고 33천의 신하들도 스스로 생각한다.
'지금 제석천왕이 우리를 생각하고 있구나.'
곧 스스로 장엄하고 보배수레를 타고 무수히 많은 무리들에게 앞뒤로 둘러싸여 제석천 앞에 이르러 한쪽에 선다.
제석천왕은 다시 다른 모든 하늘들을 생각한다.
모든 하늘들도 스스로 생각한다.
'지금 제석천왕이 우리를 생각하고 있구나.'
곧 스스로 장엄하고 모든 하늘 무리들을 데리고 제석천왕 앞에 이르러 한쪽에 선다.
제석천왕은 다시 이라발용왕을 생각한다.
이라발용왕도 스스로 생각한다.
'지금 제석천왕이 나를 생각하고 있구나.'
용왕은 곧 스스로 몸을 변해 33개의 머리[頭]가 나오게 한다.
낱낱의 머리마다 6개의 큰 어금니[牙]가 있고 어금니마다 7개의 목욕 하는 못이 있으며
목욕 못마다 일곱 송이의 연꽃이 있고, 연꽃마다 1백 개의 잎이 있으며
연꽃잎마다 일곱 명의 옥녀가 있어 음악에 맞추어 노래 부르고 춤을 춘다.
그때 저 용왕은 이 조화를 마친 뒤 제석 앞에 이르러 한쪽에 선다.
그때 석제환인釋提桓因이 온갖 보배로 장식하고 영락瓔珞을 그 몸에 걸고 이라발용왕의 정수리 위에 앉는다.
그 다음에는 양쪽에 각각 16명의 천왕이 용왕의 정수리 위에 차례로 앉는다.
이때 제석천왕은 무수히 많은 모든 하늘 권속들에 둘러싸여 추삽동산으로 간다.
그러면 저절로 바람이 불어와서 문이 저절로 열리고 저절로 바람이 불어와서 땅을 깨끗하게 하며
저절로 바람이 불어와서 꽃을 땅에 흩으니 온갖 꽃이 무릎까지 쌓인다.
그때 제석천왕은 현과 선현 두 개의 석타石垜 위에 마음대로 앉고 33천왕도 각각 차례로 앉는다.
그러나 제석천을 모시고 저 동산을 볼 수도 없고 동산에 들어가 5욕으로써 즐기지도 못하는 여러 하늘 신들이 있다.
무슨 까닭인가? 그것은 각각 본래 지은 업[本行]의 공덕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또 동산숲[園林]은 볼 수 있지만 들어갈 수가 없고 5욕으로써 서로 즐길 수도 없는 여러 하늘 신들이 있다.
무슨 까닭인가? 그것은 각각 본래 지은 업의 공덕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또 볼 수도 있고 들어갈 수도 있지만 5욕으로써 서로 즐길 수는 없는 여러 하늘 신들이 있다.
무슨 까닭인가? 그것은 본래 지은 업의 공덕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또 볼 수도 있고 들어갈 수도 있으며 5욕으로써 즐길 수도 있는 여러 하늘 신들이 있다.
무슨 까닭인가? 그것은 본래 지은 업의 공덕이 같기 때문이다.
동산에서 놀면서 5욕으로써 스스로 즐기기를 하루나 이틀 나아가 이레에까지 이르고 서로 즐기기를 마친 뒤
각각 자기 궁전으로 돌아간다.
저 제석천이 화락동산[畵樂園]ㆍ잡동산[雜園]ㆍ대희동산[大喜園]을 노닐 때에도 또한 이와 같다.
무슨 까닭으로 추삽동산이라 이름 하는가?
이 동산에 들어가면 몸이 거칠어지고 깔깔해지기 때문이다.
무슨 까닭으로 이름하여 화락동산이라 하는가?
이 동산에 들어가면 몸에 저절로 온갖 그림이 나타나서 그것으로 즐기기 때문이다.
무슨 까닭으로 이름하여 잡동산[雜園]이라 하는가?
항상 매월 8일ㆍ14일ㆍ15일에는 아수륜阿修倫의 여자를 제외한 모든 채녀들과 모든 천자들이 한데 어울려 놀기 때문이니 이 때문에 잡동산이라고 한다.
무슨 까닭으로 대희동산이라고 하는가?
이 동산에 들어가면 매우 즐겁게 놀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대희동산이라 한다.
무슨 까닭으로 선법당善法堂이라고 하는가?
이 집 안에서 묘한 법을 생각하면 청정한 즐거움을 느끼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선법당이라고 한다.
무슨 까닭으로 주도나무[晝度樹]라고 하는가?
이 나무에는 만타漫陀라는 신이 항상 춤추고 노래하며 스스로 즐겨 놀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주도라 한다.
또 저 나무의 가지는 사방으로 퍼져 꽃과 잎이 무성하기가 큰 보배구름과 같기 때문에 주도라고 한다.
석제환인의 좌우에는 항상 열 명의 大天子가 따라 다니면서 호위한다.
어떤 것이 열인가?
첫째는 인다라因陀羅 둘째는 구이瞿夷 셋째는 비루毗樓 넷째는 비루바제毗樓婆提 다섯째는 타라陀羅
여섯째는 바라婆羅 일곱째는 기바耆婆 여덟째는 영혜외靈醯嵬 아홉째는 물라物羅 열째는 난두難頭이다.
석제환인이 가진 큰 신력과 위덕威德은 이와 같다.
염부제 사람들이 귀하게 생각하는 물에서 피는 꽃이 있으니
발라꽃ㆍ발두마꽃ㆍ구물두꽃ㆍ분타리꽃ㆍ수건두꽃[須乾頭花]으로서 부드럽고 연하며 향기롭고 깨끗하다.
그 육지에 피는 꽃으로는
해탈꽃[解脫花]ㆍ첨복꽃ㆍ바라타꽃[婆羅陀花]ㆍ수만주나꽃[須曼周那花]ㆍ바사꽃[婆師花]ㆍ동녀꽃[童女花]이 있다.
구야니拘耶尼ㆍ울단왈鬱單曰ㆍ불우체弗于逮ㆍ용궁龍宮ㆍ금시조궁金翅鳥宮에서 귀하게 여기는 물과 육지의 모든 꽃도 또한 그와 같다.
아수륜궁의 물에서도 꽃이 피는데
우발라꽃[優鉢羅花]ㆍ발두마꽃[鉢頭摩花]ㆍ구물두꽃[拘物頭花]ㆍ분타리꽃[分陀利花]이며
이 꽃들도 부드럽고 연하며 향기롭고 깨끗하다.
육지에서 피는 꽃은 수호꽃[殊好花]ㆍ빈부꽃[頻浮花]ㆍ큰 빈부꽃[大頻浮花]ㆍ가가리꽃[伽伽利花]ㆍ
큰 가가리꽃[大伽伽利花]ㆍ만다라꽃[曼陀羅花]ㆍ큰 만다라꽃[大曼陀羅花]이다.
四天王ㆍ33天ㆍ염마천閻摩天ㆍ도솔천兜率天ㆍ化自在天ㆍ他化自在天에서
귀하게 여기는 물과 육지에서 자라는 모든 꽃도 또한 이와 같다.
하늘에는 열 가지 法이 있다.
어떤 것을 열 가지 법이라 하는가?
첫째는 날아가는 데 제한이 없는 것이며
둘째는 날아오는 데 제한이 없는 것이다.
셋째는 가는 데 걸림이 없는 것이요,
넷째는 오는 데 걸림이 없는 것이다.
다섯째는 하늘신의 몸에는 피부ㆍ뼈[骨體]ㆍ힘줄ㆍ피ㆍ살이 없는 것이요,
여섯째는 몸에 대소변과 같은 더러운 것이 없는 것이다.
일곱째는 몸이 극심하게 피로해지는 일이 없는 것이요,
여덟째는 천녀天女는 아이를 낳지 않는 것이다.
아홉째는 하늘신은 눈을 깜빡이지 않는 것이요,
열째는 몸에서 마음대로 빛깔을 나타내는 것이다.
푸른빛을 좋아하면 푸른빛을, 노란 빛을 좋아하면 노란 빛을, 붉은 빛을 좋아하면 붉은 빛을,
흰 빛을 좋아하면 흰 빛을 나타내는 등 온갖 빛깔을 마음대로 나타낸다.
이것이 모든 하늘의 열 가지 법이다.
사람에는 일곱 가지 빛깔이 있다.
어떤 것을 일곱이라 하는가?
어떤 사람은 금빛이며 어떤 사람은 불빛[火色]이며 어떤 사람은 푸른빛이고 어떤 사람은 노란 빛이며
어떤 사람은 붉은 빛이고 어떤 사람은 검은 빛이며 어떤 사람은 흰 빛이다.
모든 하늘의 아수륜도 일곱 가지 색이 있는데 이와 마찬가지이다.
모든 비구여,
반딧불의 광명은 등불만 못하고 등불의 광명은 횃불만 못하며 횃불의 광명은 불더미만 못하고
불더미의 광명은 사천왕의 궁전ㆍ성곽ㆍ영락ㆍ의복ㆍ몸빛의 광명만 못하다.
사천왕의 궁전ㆍ성곽ㆍ영락ㆍ의복ㆍ몸빛의 광명은 삼십삼천의 광명만 못하고 33천의 밝기는 염마천의 광명만 못하다.
염마천의 광명은 도솔천의 광명만 못하고 도솔천의 광명은 화자재천의 광명만 못하다.
화자재천의 광명은 타화자재천의 광명만 못하고
타화자재천의 광명은 범가이천梵迦夷天의 궁전ㆍ의복ㆍ몸빛의 광명만 못하다.
범가이천의 궁전ㆍ의복ㆍ몸빛의 광명은 光音天의 광명만 못하고 광음천의 광명은 遍淨天의 광명만 못하다.
변정천의 광명은 과실천果實天의 광명만 못하고 과실천의 광명은 無想天의 광명만 못하다.
무상천의 광명은 무無造天의 광명만 못하고 무조천의 광명은 無熱天의 광명만 못하며
무열천의 광명은 善見天의 광명만 못하고 선견천의 광명은 大善見天의 광명만 못하다.
대선견천의 광명은 色究竟天의 광명만 못하고 색구경천의 광명은 地自在天의 광명만 못하며
지자재천의 광명은 부처님의 광명만 못하다.
반딧불의 광명에서 부처님의 광명에 이르기까지 그 모든 광명을 모아도 괴로움에 대한 진리[苦諦]의 광명만 못하고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集諦]의 광명,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滅諦]의 광명,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道諦]의 광명만 못하다.
그러므로 모든 비구들이여,
광명을 찾고자 하는 자는 마땅히 괴로움의 진리, 괴로움의 모임, 괴로움의 멸함,
괴로움을 멸하는 방법의 진리의 광명을 구해야 하고 마땅히 이렇게 수행해야 한다.
염부제 사람의 신장은 3주肘 반이며 옷의 길이는 7주이고 폭은 3주 반이다.
구야니拘耶尼ㆍ불우체弗于逮 사람의 신장 역시 3주 반이며 옷의 길이는 7주이고 폭은 3주 반이다.
울단왈鬱單曰 사람의 신장은 7주이며 옷의 길이는 14주이고 폭은 7주이고 옷의 무게는 1냥兩이다.
아수륜의 신장은 1유순이며 옷의 길이는 2유순이고 폭은 1유순이며 옷 무게는 6수銖이다.
사천왕의 신장은 반 유순이며 옷의 길이는 1유순이고 폭은 반 유순이며 옷 무게는 반냥이다.
도리천의 신장은 1유순이며 옷의 길이는 2유순이고 폭은 1유순이며 옷 무게는 6수이다.
염마천의 신장은 2유순이며 옷의 길이는 4유순이고 폭은 2유순이며 옷 무게는 3수이다.
도솔천의 신장은 4유순이며 옷의 길이는 8유순이고 폭은 4유순이며 옷 무게는 1수 반이다.
화자제천의 신장은 8유순이며 옷의 길이는 16유순이고 폭은 8유순이며 옷 무게는 1수이다.
타화자재천의 신장은 16유순이며 옷의 길이는 32유순이고 폭은 16유순이며 옷 무게는 반 수이다.
위의 모든 하늘들은 각기 그 몸에 맞추어 옷을 입는다.
염부제 사람의 수명은 1백 살이다.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이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구야니 사람의 수명은 2백 살이다.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이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불우체 사람의 수명은 3백 살인데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이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울단왈 사람의 수명은 천 살인데 이보다 더 오래 살거나 더 적게 사는 일이 없다.
아귀의 수명은 7만 살인데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이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용과 금시조의 수명은 1겁이며 혹 이보다 적은 것들도 있다.
아수륜의 수명은 하늘 나이로 7천 살인데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그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사천왕의 수명은 하늘 나이로 5백 살인데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그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도리천의 수명은 하늘 나이로 천 살인데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더 적게 사는 자는 많다.
염마천의 수명은 하늘 나이로 2천 살인데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그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도솔천의 수명은 하늘 나이로 4천 살인데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그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화자재천의 수명은 하늘 나이로 8천 살인데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그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타화자재천의 수명은 하늘 나이로 1만 6천 살인데 이보다 더 오래 사는 자는 적고 그보다 적게 사는 자는 많다.
범가이천의 수명은 1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광음천의 수명은 2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변정천의 수명은 3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과실천의 수명은 4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무상천의 수명은 5백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무조천의 수명은 천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무열천의 수명은 2천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선견천의 수명은 3천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대선견천의 수명은 4천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색구경천의 수명은 5천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공처천의 수명은 만 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식처천의 수명은 2만 1천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불용처천의 수명은 4만 2천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유상무상천의 수명은 8만 4천겁인데 혹 이보다 적은 자들도 있다.
이와 같은 것을 중생이라 하고 이와 같은 것을 수명이라 하며 이와 같은 것을 세계라 하고
이와 같은 것을 나고ㆍ늙고ㆍ병들고ㆍ죽고 하면서 여러 갈래 세계를 오고 가는 무리들이라고 한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일체 중생은 4食으로써 살아간다.
무엇을 네 가지라 하는가?
단식摶食과 세활식細滑食이 첫 번째이고 촉식觸食이 두 번째이며 염식念食이 세 번째이고 식식識食이 네 번째이다.
저 중생들은 먹는 것이 같지 않다.
염부제 사람들은 여러 가지 밥ㆍ밀가루ㆍ어육을 단식으로 하고 의복과 세욕洗浴을 세활식으로 한다.
구야니와 불우체 사람들도 또한 여러 가지 밥ㆍ밀가루ㆍ어육을 단식으로 하고 의복과 세욕을 세활식으로 한다.
울단왈 사람들은 하늘 맛을 구족한 자연생 멥쌀을 단식으로 하고 의복과 세욕을 세활식으로 한다.
용과 금시조는 큰 자라ㆍ악어ㆍ생선ㆍ자라를 먹는 것을 단식으로 하고 세욕과 의복을 세활식으로 한다.
아수륜은 깨끗한 것을 먹는 것을 단식으로 하고 세욕과 의복을 세활식으로 한다.
사천왕ㆍ도리천ㆍ염마천ㆍ도솔천ㆍ화자재천ㆍ타화자재천은 깨끗한 것을 먹는 것을 단식으로 하고
세욕과 의복을 세활식으로 한다.
그 이상의 모든 하늘은 선정禪定의 희락喜樂을 음식을 삼는다.
어떤 중생이 촉식을 하는가?
난생卵生의 중생은 촉식을 한다.
어떤 중생이 염식을 하는가?
어떤 중생은 생각[念]으로 인하여 생존할 수 있어 모든 根이 증장하고 수명이 끊어지지 않는다.
이것을 염식이라고 한다.
어떤 것이 식식인가?
지옥의 중생과 무색천無色天들이 먹는 것이니 이것을 식식이라고 한다.
염부제 사람들은 금ㆍ은의 보배와 곡식과 비단과 종들로써 생업을 삼고 장사를 하여 스스로 생활해 나간다.
구야니 사람들은 소와 염소와 구슬과 보배를 저자에서 팔아 생활한다.
울단왈 사람들은 시장에서 장사하지 않고도 생업을 하면서 스스로 생활한다.
염부제 사람들은 혼인하고 왕래하며 남자는 장가들고 여자는 시집간다.
구야니 사람과 불우체 사람들도 또한 혼인하여 남자는 장가들고 여자는 시집간다.
울단왈 사람들은 남녀가 혼인하는 일이 없다.
용과 금시조ㆍ아수륜도 또한 남녀가 혼인하는 일이 있다.
사천왕ㆍ도리천 나아가 타화자재천까지도 또한 남녀가 혼인하는 일이 있다.
그 이상의 모든 하늘에는 남녀의 구별이 없다.
염부제 사람은 남녀가 서로 관계를 가질 때에는 몸과 몸이 서로 접촉하여 음양을 이룬다.
구야니ㆍ불우체ㆍ울단왈 사람도 또한 몸과 몸이 서로 접촉하여 음양을 이룬다.
용과 금시조도 또한 몸과 몸이 서로 접촉하여 음양을 이룬다.
아수륜은 몸과 몸을 서로 가까이 함으로써 그 기운으로 음양을 이룬다.
사천왕과 도리천도 또한 그와 같다.
염마천은 서로 가까이함으로써 음양을 이룬다.
도솔천은 손을 잡음으로써 음양을 이룬다.
화자재천은 오랫동안 바라봄으로써 음양을 이룬다.
타화자재천은 잠깐 바라봄으로써 음양을 이룬다.
그 이상의 모든 하늘에는 음욕이 없다.
어떤 중생은 몸으로 나쁜 행동을 하고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며 마음으로 나쁜 생각을 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지옥에 떨어진다.
이 후식後識(죽기 전의 意識)은 멸하고 지옥의 초식初識(죽은 후의 의식)이 생기며 인식작용[識]으로 말미암아 이름과 색[名色]이 있고 이름과 색[名色]으로 말미암아 여섯 감각기관[六根: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의지]이 있게 된다.
혹 어떤 중생은 몸으로 나쁜 행동을 하고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며 마음으로 나쁜 생각을 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축생 가운데 떨어진다.
이 후식은 멸하고 축생의 초식이 생기며 인식작용으로 말미암아
이름과 색이 있고 이름과 색으로 말미암아 여섯 감각기관이 있게 된다.
혹 어떤 중생은 몸으로 나쁜 행동을 하고 입으로 나쁜 말을 하며 마음으로 나쁜 생각을 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아귀 가운데 떨어진다.
이 후식은 멸하고 아귀의 초식이 생기며 인식작용으로 말미암아
이름과 색이 있고 이름과 색으로 말미암아 여섯 감각기관이 있게 된다.
혹 어떤 중생은 몸으로 착한 행동을 하고 입으로 착한 말을 하며 마음으로 착한 생각을 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사람 가운데 태어난다.
이 후식은 멸하고 사람의 초식이 생기며 인식작용으로 말미암아
이름과 색이 있고 이름과 색으로 말미암아 여섯 감각기관이 있게 된다.
혹 어떤 중생은 몸으로 착한 행동을 하고 입으로 착한 말을 하며 마음으로 착한 생각을 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사천왕천에 태어난다.
이 후식은 멸하고 사천왕천의 초식이 생기며 인식작용으로 말미암아
이름과 색이 있고 이름과 색으로 말미암아 여섯 감각기관이 있게 된다.
저 하늘은 처음 태어날 때 이 인간의 한 두살 난 아이만 하고 조화의 힘으로 저절로 화현하여 하늘의 무릎 위에 앉는다.
그러면 저 하늘신은 말한다.
'이 아이는 내 아들이다.'
아이는 行의 과보를 말미암기 때문에 저절로 지혜가 생겨 곧 스스로 생각한다.
'나는 무슨 행으로 말미암아 이제 여기 태어났는가?'
곧 다시 생각한다.
'내가 전에 인간에 있으면서 몸으로 착한 행동을 하고 입으로 착한 말을 하며 마음으로 착한 생각을 했다.
이 행으로 말미암아 이제 천상에 태어날 수 있었다.
내가 만일 여기서 목숨을 마친 뒤 다시 인간에 태어난다면
마땅히 몸과 입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몇 배나 더 정근하여 모든 착한 행을 닦으리라.'
아이는 태어난 지 오래지 않아 문득 스스로 배고픔을 느낀다.
그러면 그 아이 앞에 저절로 보배 그릇이 나타나고 갖가지 맛의 깨끗한 하늘 음식이 저절로 담긴다.
복이 많으면 밥 빛깔이 희고 복이 중간이면 밥 빛깔이 푸르며 복이 적으면 밥 빛깔이 붉다.
그 아이는 손으로 밥을 쥐어 입 안에 넣고 먹으면 저절로 소화되는 것이 마치 우유죽[타락]을 불에 던진 것과 같다.
그 아이가 먹기를 마치고 이내 스스로 목마름을 느끼면 저절로 보배 그릇이 나타나 감로수가 담긴다.
복이 많으면 감로수 빛은 희고 복이 중간이면 감로수 빛은 푸르며 복이 적으면 감로수 빛은 붉다.
그 아이가 그 감로수를 마시면 감로수가 저절로 소화되는 것이 타락을 불에 던진 것과 같다.
아이가 다 마시고 나면 몸은 크게 자라 저 다른 하늘과 같게 된다.
그는 곧 목욕 못에 들어가 온몸을 씻으면서 스스로 즐긴다.
스스로 즐기기를 끝마치고 목욕 못에서 나와 그는 향나무 밑으로 간다.
향나무가 몸을 굽히면 그는 손으로 온갖 향을 취해 자기 몸에 바른다.
그가 다시 무명옷나무[劫貝樹:綿布나무]로 가면 나무는 몸을 굽히고 그는 온갖 옷을 취해 입는다.
다시 장엄나무로 가면 나무는 몸을 굽히고 그는 온갖 장엄을 취해 그 몸을 장식한다.
다시 만鬘(머리 장식품)나무로 가면 나무는 몸을 굽히고 그는 만을 취해 머리에 꽂는다.
또 그릇나무로 가면 나무는 몸을 굽히고 그는 곧 보배그릇을 가진다.
다시 과실나무로 가면 나무는 몸을 굽히고 그는 자연생 열매를 취한다.
혹은 먹고 혹은 머금으며 혹은 즙을 걸러 마신다.
다시 악기나무로 가면 나무는 몸을 굽히고 그는 하늘의 악기를 취하여 맑고 묘한 소리로 연주에 맞추어 노래한다.
모든 동산으로 향하면 그는 무수한 天女를 본다.
그들은 온갖 악기로 노래하며 서로 마주보고 말을 건네고 웃는다.
그 하늘은 그것을 보고 드디어 물들어 집착[染着]하는 마음을 내어 동쪽을 보면 서쪽을 잊고 서쪽을 보면 동쪽을 잊는다.
그는 처음 태어났을 때 스스로 알고 스스로 생각했었다.
'나는 무슨 행으로 말미암아 지금 여기에 태어날 수 있었던가?'
그러나 노는 것을 바라보고 채녀婇女들이 시중을 드는 가운데 그는 어느새 이 생각을 모두 잊어버리고 만다.
어떤 중생은 몸으로 착한 행동을 하고 입으로 착한 말을 하며 마음으로 착한 생각을 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도리천에 태어난다.
이 후식後識은 멸하고 저 도리천의 초식初識이 생기며 인식작용으로 말미암아
이름과 색이 있고 이름과 색으로 말미암아 여섯 감각기관이 있게 된다.
저 하늘은 처음 태어날 때 염부제의 두세 살 난 아이만 하고 저절로 화현하여 하늘의 무릎 위에 앉는다.
저 하늘은 곧 말한다.
'이 아이는 내 아들이고 이 아이는 내 딸이다.'
그 다음의 일들은 또한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혹 어떤 중생은 몸과 입과 마음이 착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염마천에 태어난다.
그 하늘은 처음 태어날 때 염부제의 서너 살 난 아이와 같다.
혹 어떤 중생은 몸과 입과 마음이 착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도솔천에 태어난다.
그 하늘은 처음 태어날 때 이 세간의 네다섯 살 난 아이만 하다.
혹 어떤 중생은 몸과 입과 마음이 착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화자재천에 태어난다.
그 하늘은 처음 태어날 때 이 세간의 대여섯 살 난 아이만 하다.
혹 어떤 중생은 몸과 입과 마음이 착해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타화자재천에 태어난다.
그 하늘은 처음 태어날 때 이 세간의 예닐곱 살 난 아이만 하다.
그 다음의 일들은 또한 앞에서 말한 내용과 같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보름 동안 세 번의 재계齋戒를 지켜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매달 8일에 재계하는 것이요, 14일에 재계하는 것이며 15일에 재계하는 것이니 이것을 삼재三齋라 한다.
무슨 까닭으로 매달 8일에 재계齋戒해야 하는가?
항상 그 달의 8일에 사천왕이 신하에게 말한다.
'너희들은 세간에 다니면서 모든 중생들을 살펴보라.
부모에게 효순하고 사문 바라문을 공경하고 따르며 웃어른을 존경하고 섬기며 재계를 지키고
보시하여 모든 궁핍한 자를 구제하는 사람이 있는가를 찾아보라.'
그때 신하는 왕의 명령을 받고 두루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부모에게 효순하고 사문 바라문을 공경하고 따르며
웃어른을 존경하고 섬기며 재계하고 궁핍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사람이 있는가를 두루 관찰한다.
그리고 모든 세간 사람들이 부모에게 불효하고 스승을 공경하지 않으며
재계를 닦지 않고 궁핍한 자를 구제하지 않는 것을 보고 돌아와서는 왕에게 아뢴다.
'대왕이여,
세간에는 부모에게 효순하고 스승을 공경하여 섬기며 재계를 깨끗이 닦고
모든 궁핍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자가 아주 적습니다. 너무도 적습니다.'
그때 사천왕은 그 말을 듣고 걱정과 근심이 가득해 불쾌한 마음으로 대답한다.
'아아, 그렇구나.
세상 사람들은 악이 많아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고 스승을 섬기지 않으며
재계를 닦지 않고 궁핍한 사람에게 베풀지 않아 모든 하늘 무리는 줄어들 것이요,
아수라 무리만 늘어날 것이다.'
만일 신하가 세간에서 부모에게 효순하고 스승을 공경하여 섬기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자가 있는 것을 보았으면 곧 돌아와 사천왕에게 아뢸 것이다.
'세간에는 부모에게 효순하고 스승을 공경하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모든 궁핍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자가 있습니다.'
그랬다면 사천왕은 곧 매우 기뻐하며 큰 소리로 말할 것이다.
'좋구나. 나는 훌륭한 말을 들었다.
세간에 만일 능히 부모에게 효순하며 스승을 공경하여 섬기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자가 있다면 모든 하늘 무리들은 늘어날 것이요, 아수라의 무리들은 줄어들 것이다.'
무슨 까닭으로 14일에 재계해야 하는가?
14일 재계를 지키는 날에 사천왕은 태자에게 명령한다.
'너는 마땅히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모든 중생들을 살펴보라.
부모에게 효순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자가 있나 없나를 알아보라.'
태자는 왕의 가르침을 받고 곧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모든 중생을 관찰한다.
그래서 부모에게 효순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존경하고 섬기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자가 있는가를 두루 관찰한다.
그리고 모든 세간에는 부모에게 불효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지 않으며 재계를 닦지 않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지 않는 자가 있는 것을 보고 돌아와 왕에게 아뢴다.
'천왕이여,
세간에는 부모에게 효순하며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고 따르며 재계를 깨끗이 닦고
모든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는 자가 아주 적습니다. 너무도 적습니다.'
그때 사천왕은 그 말을 듣고 걱정과 근심이 가득해 불쾌한 기분으로 말한다.
'아아, 이렇구나.
세상 사람들은 악이 많아 부모에게 불효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섬기지 않으며 재계를 닦지 않고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지 않는구나. 점점 하늘 무리는 줄어들 것이요 아수라의 무리만 늘어날 것이다.'
태자가 만일 세간에서 부모에게 효순하며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고 모시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보시하는 사람을 보았다면 돌아와 왕에게 아뢸 것이다.
'천왕이여,
세간에는 부모에게 효순하며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고 따르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모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자가 있습니다.'
사천왕은 그 말을 듣고 곧 매우 기뻐하여 외칠 것이다.
'좋구나, 나는 훌륭한 말을 들었다.
세간에 능히 부모를 효도로 섬기고 스승과 웃어른을 존경하고 공경하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자가 있다면 하늘 무리는 점점 늘어날 것이요, 아수라의 무리는 줄어들 것이다.'
그러므로 14일에 재계해야 하는 것이다.
무슨 까닭으로 15일에 재계해야 하는가?
15일 재계하는 날이 되면 사천왕은 몸소 내려와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모든 중생을 관찰하여 세간에서
혹 부모에게 효순하며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여 모시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자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그가 세간 사람들을 살펴볼 때 대부분 부모에게 불효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섬기지 않으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지 않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지 않으면, 그 때 사천왕은 善法堂에 나아가 제석천왕에게 아뢴다.
'대왕이여, 마땅히 아소서.
세간 중생들 대부분은 부모에게 불효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지 않으며
재계를 닦지 않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지 않습니다.'
제석과 도리천의 모든 하늘들은 이 말을 듣고 걱정과 근심이 가득해 불쾌한 마음으로 말한다.
'아아, 그렇구나.
세상 사람들은 악이 많아 부모에게 불효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지 않으며 재계를 닦지 않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지 않는구나. 모든 하늘 무리는 줄어들고 아수라의 무리는 늘어날 것이다.'
사천왕이 만일 세간에서 부모에게 효순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여 모시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사람이 있는 것을 보았다면 돌아와 선법당에 나아가 제석천왕에게 아뢸 것이다.
'세상 사람들 중에는 부모에게 효순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여 모시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제석과 도리천의 모든 하늘들은 이 말을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해 외칠 것이다.
'좋구나, 세간에 부모에게 효순하고 스승과 웃어른을 공경하여 모시며 재계를 부지런히 닦고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하는 사람이 있다면 모든 하늘 무리는 점점 늘어날 것이요, 아수라의 무리는 줄어들 것이다.'
그러므로 15일에 재계해야 하는 것이다.
이상 세 번의 재개를 가져야 하느니라.”
그때 제석천왕은 모든 하늘로 하여금 몇 배나 기쁜 마음을 내게 하기 위하여 곧 게송으로 말하였다.
항상 매달 8일과 14일 그리고 15일에
가르침을 받고 재계를 닦으면 그 사람은 나와 같이 되리라.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제석천왕은 이 게송을 말하였지만 그렇다고 하여 잘 받아들인 것도 아니요, 잘 말한 것도 아니다.
나는 옳지 않다고 하리라. 무슨 까닭인가?
저 제석천은 음욕을 내는 마음[淫心]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아직 다하지 않았고
또한 태어남ㆍ병듦ㆍ늙음ㆍ죽음과 근심ㆍ슬픔ㆍ괴로움ㆍ번뇌에서 해탈하지 못했기 때문이니
나는 그를 아직 괴로움의 근본을 여의지 못했다고 말하노라.
만일 우리 비구가 번뇌를 다한 아라한이 되어 할 일을 이미 다해 마치고 무거운 짐을 버렸으며
스스로 자기의 이익을 거두고 온갖 존재의 번뇌를 다 없애고 평등하게 해탈했다면
이러한 비구야말로 마땅히 그런 게송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항상 매달 8일과 14일 그리고 15일에
가르침을 받고 재계를 닦으면 그 사람은 나와 같이 되리라.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그런 비구가 이 게송을 말했다면 그야말로 잘 받았다고 할 것이요, 잘 말했다고 할 것이며, 내가 인가해 주었을 것이다.
무슨 까닭인가?
그 비구들은 음욕을 내는 마음[淫心]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이미 다했고
태어남ㆍ병듦ㆍ늙음ㆍ죽음과, 근심ㆍ슬픔ㆍ괴로움ㆍ번뇌를 벗어났기 때문이다.
나는 그 사람은 괴로움의 근본을 이미 여읜 사람이라고 말하노라.”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사람이 살고 있는 집에는 빈틈없이 귀신이 가득 차 있다.
모든 큰 길ㆍ작은 길ㆍ뒷골목ㆍ사거리와 백정의 장터 및 묘지에도 빈틈없이 귀신이 가득 차 있다.
무릇 귀신들은 다 그 의지하는 곳을 따라 곧 이름이 지어진다.
사람을 의지하면 사람을 이름으로 하고 마을을 의지하면 마을을 이름으로 하며
성을 의지하면 성을 이름으로 하고 나라를 의지하면 나라를 이름으로 하며
흙을 의지하면 흙을 이름으로 하고 산을 의지하면 산을 이름으로 하며 강을 의지하면 강을 이름으로 한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수목樹木과 아주 작은 수레바퀴의 굴대에도 다 귀신이 의지해 있어 빈틈이 없다.
모든 남자나 여자가 처음 태어날 때에도 다 귀신이 있어 따라다니면서 옹호하고
만일 그가 죽으려고 할 때에는 그를 수호하던 귀신이 그의 정기를 취하여 그 사람은 곧 죽게 된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外道梵志가 이렇게 묻는다고 하자.
'여러분,
만일 모든 남녀가 처음 태어날 때에 누구에게나 귀신이 있어 따라다니면서 수호하고
그가 죽으려고 할 때에는 그를 수호하던 귀신이 그의 정기를 취하여 그 사람이 곧 죽게 된다면
현재 세계의 사람들은 왜 귀신 때문에 장애를 받는 사람도 있고 귀신 때문에 장애를 받지 않는 사람도 있는가?'
만일 이렇게 묻거든 너희들은 마땅히 그에게 이렇게 대답하라.
'세상 사람은 법답지 않은 행을 한다.
올바르지 못한 생각으로 마음이 뒤바뀌어 열 가지 악업을 짓는다.
이러한 무리들은 백이나 천이 된다 해도 오직 한 귀신만의 수호가 있을 뿐이다.
비유하면 소나 염소는 백 마리나 천 마리가 되어도 한 사람의 목자가 있는 것과 같이
법답지 않은 행을 하고 올바르지 못한 생각으로 마음이 뒤바뀌어
열 가지 악업을 짓는 그러한 무리들은 백이나 천이 된다 해도 오직 한 신만의 수호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만일 어떤 사람이 선법을 수행하고 올바르게 보고 믿음을 가져 열 가지 선업을 갖추면
그러한 사람은 백천의 신이 수호한다.
비유하면 국왕이나 국왕의 대신에게는 백천 사람이 따라다니며 국왕 한 사람을 호위하는 것과 같이 선법을 수행하고
열 가지 선업을 갖춘 그러한 사람은 백천의 신이 수호한다.
이 인연으로써 세상 사람들은 귀신 때문에 장애를 받는 자도 있고 귀신 때문에 장애를 받지 않는 자도 있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염부제 사람은 3가지 면에서 구야니 사람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3가지인가?
첫째는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능히 業을 일으키는 것이요,
둘째는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범행을 부지런히 닦는 것이며
셋째는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부처님께서 그 땅에 나시는 것이다.
이 3가지 면에서 구야니보다 낫다.
구야니 사람은 3가지 면에서 염부제 사람보다 우세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소가 많은 것이요,
둘째는 염소가 많은 것이며
셋째는 주옥珠玉이 많은 것이니 이 3가지 면에서는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염부제는 3가지 면에서 불우체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능히 업을 일으키는 것이요,
둘째는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능히 범행을 닦는 것이며,
셋째는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부처님께서 그 땅에 나시는 것이니,
이 3가지 면에서 불우체보다 우세하다.
불우체는 3가지 면에서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3가지인가?
첫째는 그 토지가 아주 넓은 것이요, 둘째는 그 땅이 아주 큰 것이며, 셋째는 그 땅이 아주 묘한 것이니
이 3가지 면에서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염부제는 3가지 면에서 울단왈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3가지인가?
첫째는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능히 업을 일으키는 것이요,
둘째는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범행을 닦는 것이며,
셋째는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부처님께서 그 땅에 나시는 것이니,
이 3가지 면에서 울단왈보다 우세하다.
울단왈은 3가지 면에서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3가지인가?
첫째는 얽매이는 곳이 없는 것이요, 둘째는 나의 소유라는 것이 없는 것이며, 셋째는 수명이 천 살로 정해져 있는 것이다.
이 3가지 면에서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염부제 사람은 또한 위의 3가지 면에서 아귀세계[餓鬼趣]보다 우세하다.
아귀세계도 3가지 면에서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수명이 긴 것이요, 둘째는 몸이 큰 것이며, 셋째는 남이 지은 것을 자기가 받는 것이니,
이 3가지 면에서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염
부제 사람은 또한 위의 3가지 면에서 용이나 금시조보다 우세하다.
용과 금시조도 또한 3가지 면에서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수명이 긴 것이요, 둘째는 몸이 큰 것이며, 셋째는 궁전이 장엄한 것이니,
이 3가지 면에서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염부제는 위의 3가지 면에서 아수륜보다 우세하다.
아수륜도 또한 3가지 면에서는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궁전이 높고 넓은 것이요, 둘째는 궁전이 장엄한 것이며, 셋째는 궁전이 청정한 것이니,
이 3가지 면에서는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염부제 사람은 위의 3가지 면에서 사천왕보다 우세하다.
사천왕도 또 3가지 면에서는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수명이 긴 것이요, 둘째는 단정한 것이며, 셋째는 즐거움이 많은 것이니
이 3가지 면에서는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염부제 사람은 또 위의 3가지 면에서 도리천ㆍ염마천ㆍ도솔천ㆍ화자재천ㆍ타화자재천보다 우세하다.
그리고 이 모든 하늘도 또한 3가지 면에서는 염부제보다 우세하다.
어떤 것이 3가지인가?
첫째는 수명이 긴 것이요, 둘째는 단정한 것이며, 셋째는 즐거움이 많은 것이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욕계欲界의 중생에는 12종류[種]가 있다.
어떤 것이 12종류인가?
첫째 지옥, 둘째 축생, 셋째 아귀, 넷째 사람, 다섯째 아수륜, 여섯째 사천왕, 일곱째 도리천,
여덟째 염마천, 아홉째 도솔천, 열째 화자재천, 열한째 타화자재천, 열두째 마천魔天이다.
색계色界의 중생에는 22종류가 있다.
어떤 것이 22종류인가?
첫째 범신천梵身天 둘째 범보천梵輔天 셋째 범중천梵衆天 넷째 대범천大梵天 다섯째 광천光天 여섯째 소광천少光天
일곱째 무량광천無量光天 여덟째 광음천光音天 아홉째 정천淨天 열째 소정천少淨天 열한째 무량정천無量淨天
열두째 변정천遍淨天 열셋째 엄식천嚴飾天 열넷째 소엄식천小嚴飾天 열다섯째 무량엄식천無量嚴飾天
열여섯째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열일곱째 無想天 열여덟째 無造天 열아홉째 無熱天 스무째 善見天 스물한째 大善見天
스물두째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이다.
[►보통 18천으로 이야기 된다.
범중천ㆍ범보천ㆍ대범천(이상 초선천)ㆍ
소광천ㆍ무량광천ㆍ광음천(이상2선천)ㆍ
소정천ㆍ무량정천ㆍ변정천(이상3선천)ㆍ
무운천ㆍ복생천ㆍ광과천ㆍ무상천ㆍ무번천ㆍ무열천ㆍ선견천ㆍ선현천ㆍ색구경천(이상 4선천)]
무색계의 중생에는 네 종류가 있다.
어떤 것이 네 종류인가?
첫째 공지천空智天 둘째 식지천識智天 셋째 무소유지천無所有智天 넷째 유상무상지천有想無想智天이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네 종류의 天神이 있다. 어떤 것이 종류인가?
첫째 흙신[地神] 둘째 물신[水神] 셋째 바람신[風神] 넷째 불신[火神]이다.
옛날 흙신은 잘못된 소견을 내어 말했다.
'흙 속에는 물과 불과 바람이 없다.'
그때 나는 이 흙신이 생각하는 것을 알고 곧 가서 물었다.
'그대는 흙 속에 물과 불과 바람이 없다고 생각하는가?'
흙신이 대답했다.
'흙 속에는 진실로 물과 불과 바람이 없습니다.'
나는 그때 말했다.
'그대는 그런 생각을 내어 흙 속에는 물과 불과 바람이 없다고 말하지 말라. 무슨 까닭인가?
흙 속에는 물과 불과 바람이 있지만 흙의 요소[地大]가 많기 때문에 흙의 요소라는 이름을 얻었을 따름이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그때 저 흙신을 위해 차례로 설법하여
그의 잘못된 소견을 없애 주고 가르쳐 보여 그를 이익 되게 하고 기쁘게 해 주었다.
그리고 보시에 대한 이야기, 계율에 대한 이야기, 하늘에 태어나는 이치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고
욕심은 깨끗한 것이 아니고 심한 번뇌[上漏]는 근심거리이며
출요出要가 가장 훌륭한 것이라고 가르치고 또한 청정한 범행을 자세히 설명하여 열어 보였다.
나는 그때 그의 마음이 깨끗해지고 부드러워지며 기뻐하고 5온으로 인한 번뇌[陰蓋]가 없어져 교화하기 쉬움을 알았다.
►몸을 이루는 근간이고 개蓋는 덮개로서 번뇌를 말한다.
그래서 모든 부처님의 변함없는 진리인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苦聖諦]ㆍ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苦集諦]ㆍ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苦滅諦]ㆍ
괴로움의 벗어남에 대한 진리[苦出要諦]를 자세히 설명해 열어 보였다.
그때 흙신은 그 자리에서 티끌을 멀리 하고 때를 여의어 법의 눈[法眼]이 깨끗해졌다.
비유하면 맑고 깨끗한 흰 옷이 물들기 쉬운 것처럼
믿는 마음이 청정하여 마침내 법의 눈을 얻고 의심이 없어져 결정코 果를 얻었다.
►법을 닦아 반드시 사문사과沙門四果인 수다원과ㆍ사다함과ㆍ아나함과ㆍ아라한과를 성취함을 말한다.
그래서 惡道에 떨어지지 않고 다른 길로 향하지 않았으며 두려움 없는 경지를 성취하였다.
그는 내게 말했다.
'저는 이제 부처님께 귀의하고 법에 귀의하고 승가에 귀의하나이다.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살생하지 않고 도둑질하지 않으며 음행하지 않고 속이지 않으며 술을 마시지 않겠습니다.
저로 하여금 바른 법[正法] 가운데서 우바이가 되는 것을 허락해 주소서.'”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옛날 물신[水神]은 잘못된 소견을 내어 말했다.
'물 가운데는 땅과 불과 바람이 없다.'
그때 흙신[地神]은 저 물신의 마음에 이런 소견이 생긴 줄을 알고 물신에게 가서 말했다.
'너는 참으로 그런 소견을 내어 물 가운데에는 흙과 불과 바람이 없다고 말했는가?'
그는 대답했다.
'진실로 그렇다.'
흙신은 말했다.
'너는 그런 소견을 일으켜 물에는 흙과 불과 바람이 없다고 말하지 말라. 무슨 까닭인가?
물에는 흙과 불과 바람이 있지만 물의 요소가 많기 때문에 물의 요소라는 이름을 얻었을 따름이다.'
그때 흙신은 곧 그를 위해 설법해 그의 잘못된 소견을 덜어주고 가르쳐 보여 그를 이익 되게 하고 기쁘게 해 주었다.
그리고 보시에 대한 이야기, 계율에 대한 이야기, 하늘에 태어나는 이치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고
욕심은 깨끗한 것이 아니고 심한 번뇌[上漏]는 근심거리이며 출요出要가 가장 훌륭한 것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고
또한 청정한 범행을 자세히 설명하여 열어 보였다.
흙신은 그때 그의 마음이 깨끗해지고 부드러워지며 기뻐하고 5온으로 인한 번뇌[陰蓋]가 없어져 교화하기 쉬움을 알았다.
그래서 모든 부처님의 변함없는 진리인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ㆍ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ㆍ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ㆍ괴로움의 벗어남에 대한 진리를 자세히 설명해 열어 보였다.
그때 물신은 곧 티끌을 멀리 하고 때를 여의어 법의 눈이 깨끗해졌다.
비유하면 맑고 깨끗한 흰 옷이 물들기 쉬운 것처럼
믿는 마음이 청정하여 마침내 법의 눈을 얻고 의심이 없어져 결정코 果를 얻었다.
그래서 惡道에 떨어지지 않고 다른 길로 향하지 않았으며 두려움 없는 경지를 성취하여 흙신에게 아뢰었다.
'나는 이제 부처님께 귀의하고 법에 귀의하고 승가에 귀의합니다.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살생하지 않고 도둑질하지 않으며 음행하지 않고 속이지 않으며 술을 마시지 않겠습니다.
저로 하여금 바른 법 가운데서 우바이가 되는 것을 허락해 주소서.'”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옛날 불신[火神]이 잘못된 소견을 내어 말했다.
'불 가운데에는 흙과 물과 바람이 없다.'
그때 흙신과 물신은 저 불신의 마음에 이런 소견이 생긴 줄을 알고 함께 불신에게 가서 말했다.
'너는 참으로 그런 소견을 일으켰는가?'
그는 대답했다.
'진실로 그렇다.'
흙신과 물신이 말했다.
'너는 그런 소견을 내지 말라. 무슨 까닭인가?
불 가운데에는 흙과 물과 바람이 있지만 불의 요소가 많기 때문에 불의 요소[火大]라는 이름을 얻었을 따름이다.'
그때 두 신은 곧 그를 위해 설법하여 그의 잘못된 소견을 덜어주고 가르쳐 보이고 이익 되게 하고 기쁘게 해 주었다.
그리고 보시에 대한 이야기, 계율에 대한 이야기와 하늘에 태어나는 이치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고
욕심은 깨끗한 것이 아니며 심한 번뇌[上漏]는 근심거리이고
출요出要가 가장 훌륭한 것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고 또한 청정한 범행을 자세히 설명하여 열어 보였다.
두 신은 그때 불신의 마음이 깨끗해지고 부드러워지며 기뻐하고
5온으로 인한 번뇌[陰蓋]가 없어져 교화하기 쉬움을 알았다.
그래서 모든 부처님의 변함없는 진리인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ㆍ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ㆍ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ㆍ괴로움의 벗어남에 대한 진리를 자세히 설명해 열어 보였다.
그때 그 불신은 곧 티끌을 멀리 하고 때를 여의어 법의 눈이 깨끗해졌다.
비유하면 마치 깨끗한 흰 옷이 물들기 쉬운 것처럼
그도 또한 그와 같아서 신심이 청정하여 마침내 법의 눈을 얻고 의심이 없어져 결정코 果를 얻었다.
그리하여 악도에 떨어지지 않고 다른 길로 향하지 않으며 두려움 없는 경지를 성취하여 두 신에게 아뢰었다.
'나는 이제 부처님과 법과 승가에 귀의합니다.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살생하지 않고 도둑질하지 않으며 음행하지 않고 속이지 않으며 술을 마시지 않겠습니다.
저로 하여금 바른 법 가운데서 우바이가 되는 것을 허락해 주소서.'”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옛날 바람신[風神]이 잘못된 소견을 내어 말했다.
'바람에는 흙과 물과 불이 없다.'
그때 흙신ㆍ물신ㆍ불신은 저 바람신이 잘못된 소견을 낸 줄을 알고 그에게 가서 말했다.
'너는 참으로 그런 소견을 내었는가?'
그는 대답했다.
'진실로 그렇다.'
흙신과 물신과 불신이 말했다.
'너는 그런 소견을 내지 말라. 무슨 까닭인가?
바람 가운데에는 흙과 물과 불이 있지만, 바람의 요소[風大]가 많기 때문에 바람의 요소라는 이름을 얻었을 따름이다.'
그때 세 신은 곧 그를 위해 설법하여 그의 잘못된 소견을 덜어주고 가르쳐 보이고 이익 되게 하고 기쁘게 해 주었다.
그리고 보시에 대한 이야기, 계율에 대한 이야기와 하늘에 태어나는 이치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고
욕심은 깨끗한 것이 아니고 심한 번뇌[上漏]는 근심거리이며
출요出要가 가장 훌륭한 것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고 또한 청정한 범행을 자세히 설명하여 열어 보였다.
세 신은 그때 그의 마음이 깨끗해지고 부드러워지며 기뻐하고 5온으로 인한 번뇌[陰蓋]가 없어져 교화하기 쉬움을 알았다.
그래서 모든 부처님의 변함없는 진리인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ㆍ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ㆍ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ㆍ
괴로움의 벗어남에 대한 진리를 자세히 설명해 열어 보였다.
그때 바람신은 곧 티끌을 멀리 하고 때를 여의어 법의 눈이 깨끗해졌다.
비유하면 마치 깨끗한 흰 옷이 물들기 쉬운 것처럼 그도 또한 그와 같아서 믿는 마음이 청정하여
마침내 법의 눈을 얻고 의심이 없어져 결정코 果를 얻었다.
변함없는 진리인 악도에 떨어지지 않고 다른 길로 향하지 않으며 두려움 없는 경지를 성취하여 세 신에게 아뢰었다.
'나는 이제 부처님과 법과 승가에 귀의합니다.
목숨을 마칠 때까지 살생하지 않고 도둑질하지 않으며 음행하지 않고 속이지 않으며 술을 마시지 않겠습니다.
원컨대 저로 하여금 바른 법 가운데에서 우바이가 되는 것을 허락해 주소서.
모든 중생들을 사랑하여 방해하지 않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구름에 네 종류가 있다. 어떤 것이 그 네 종류인가?
첫째는 흰 빛이요, 둘째는 검은 빛이며, 셋째는 빨간 빛이요, 넷째는 붉은 빛이다.
그 흰 빛은 흙의 요소[地大]가 치우치게 많은 것이요,
검은 빛은 물의 요소[水大]가 치우치게 많은 것이며,
빨간 빛은 불의 요소[火大]가 치우치게 많은 것이요,
붉은 빛은 바람의 요소[風大]가 치우치게 많은 것이다.
구름은 흙에서 혹 10리ㆍ20리ㆍ30리ㆍ40리 내지 4천 리까지 떨어져 있다.
단 겁이 시작될 때와 끝날 때에 구름이 올라가 광음천光音天에 이르는 것은 제외된다.
번개에 네 종류가 있다. 어떤 것이 네 종류인가?
동방의 번개를 신광身光이라 하고 남방의 번개를 난훼難毁라 하며
서방의 번개는 유염流焰이라 하고 북방의 번개는 정명定明이라 한다.
어떤 인연으로 허공의 구름 가운데 이런 전광電光이 있게 되는가?
어떤 때에는 신광이 난훼와 서로 부딪치고
어떤 때에는 신광이 유염과 서로 부딪치며
어떤 때에는 신광이 정명과 서로 부딪친다.
어떤 때에는 난훼가 유염과 서로 부딪치고
어떤 때에는 난훼가 정명과 서로 부딪치며
어떤 때에는 유염이 정명과 서로 부딪친다.
이런 인연으로 허공의 구름 속에서 전광이 일어난다.
또 어떤 인연으로 허공의 구름 속에 우레소리[雷聲]가 일어나는가?
허공에서 어떤 때에는 흙의 요소[地大]가 물의 요소[水大]와 서로 부딪치고
어떤 때에는 흙의 요소가 불의 요소[火大]와 서로 부딪치며
어떤 때에는 흙의 요소가 바람의 요소[風大]와 서로 부딪친다.
어떤 때에는 물의 요소가 불의 요소와 서로 부딪치고 어떤 때에는 물의 요소가 바람의 요소와 서로 부딪친다.
이런 인연으로 허공의 구름 속에서 우레소리가 일어난다.
점술가는 비가 올 것이라고 점치지만 분명히 알 수 없게 하여 점술가를 미혹하게 하는 다섯 가지 인연이 있다.
어떤 것이 다섯인가?
첫째는 구름 속에 우레와 번개가 있을 때 반드시 비가 오리라고 점치지만
불의 요소가 많기 때문에 구름을 불살라 비가 오지 않는 경우이다.
이것이 점술가를 미혹하게 하는 첫 번째 인연이다.
둘째는 구름 속에 우레와 번개가 있을 때 반드시 비가 오리라고 점치지만
큰 바람이 일어나 구름을 불어 사방으로 흩어 여러 산 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이런 인연으로 점술가는 미혹하게 된다.
셋째는 구름 속에 우레와 번개가 있을 때 반드시 비가 오리라고 점치지만
때마침 큰 아수륜이 나타난 뜬 구름을 집어다 큰 바다 가운데 옮겨 놓는다.
이런 인연으로 점술가는 미혹하게 된다.
넷째는 구름 속에 우레와 번개가 있을 때 반드시 비가 오리라고 점치지만
운사雲師와 우사雨師가 방일하고 음란하여 마침내 비를 내리지 않는다.
이런 인연으로 점술가는 미혹하게 된다.
다섯째는 구름 속에 우레와 번개가 있을 때 반드시 비가 오리라 점치지만
세간의 무리들이 법답지 않고 방일放逸하여 不淨한 행을 하고 간탐하고 질투하며
소견이 거꾸로 되었기 때문에 하늘은 비를 내리지 않는다.
이런 인연으로 점술가는 미혹하게 된다.
이 다섯 가지 인연 때문에 점술가는 비를 점치지만 확실하게 맞추지 못하는 것이다.
'經 > 장아함경長阿含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1귄 30. 세기경世紀經 ⑩ 전투품戰鬪品 (0) | 2023.01.19 |
---|---|
제 21귄 30. 세기경世紀經 ⑨ 삼재품三災品 (0) | 2023.01.19 |
제 20귄 30. 세기경世紀經 ⑦ 사천왕품四天王品 (0) | 2023.01.18 |
제 20귄 30. 세기경世紀經 ⑥ 아수륜품阿須倫品 (1) | 2023.01.18 |
제 19귄 30. 세기경世紀經 ⑤ 용조품龍鳥品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