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詩經

국풍國風 정풍鄭風 78, 대숙우전大叔于田

국풍國風 정풍鄭風

78, 대숙우전大叔于田 태숙의 사냥

 

숙우전叔于田 승승마乘乘馬 숙단叔段이 사냥 가는데 말 네 마리 수레를 탔구나.

집비여조執轡如組 량참여무兩驂如舞 고삐를 베 짜듯 잡았는데 두 곁말은 춤추는 듯하네.

숙재수叔在藪 화렬구거火烈具擧 숙단叔段이 늪에 들어가니 불꽃을 모두 들어준다네.

단석포호襢裼暴虎 헌우공소獻于公所 웃통을 벗고 맨손으로 범을 잡아 임금님께 바쳤다네.

장숙무뉴將叔無狃 계기상녀戒其傷女 제발 숙단은 덤벙대지 말라 그대 다칠까 걱정된다네.

 

숙우전叔于田 승승황乘乘黃 숙단이 사냥 가는데 황색 말 네 마리 수레를 탔구나.

량복상양兩服上襄 량참안행兩驂鴈行 두 복마가 앞에서 끌고 두 참마는 줄지어 뒤 따르네

숙재수叔在藪 화렬구양火烈具揚 숙단叔段이 늪에 들어가니 불꽃을 모두 날려준다네

숙선사기叔善射忌 우량어기又良御忌 숙단叔段은 활 잘 쏘고 또 말을 잘 몬다 말하는데

억경공기抑磬控忌 억종송기抑縱送忌 말을 달려라 멈춰라 하며 화살을 쏘고 좇으라 하네.

 

숙우전叔于田 승승보乘乘鴇 숙단이 사냥 가는데 얼룩말 네 마리 수레를 탔구나.

량복제수兩服齊首 량참여수兩驂如手 두 복마 머리 가지런하고 두 참마 손처럼 움직이네.

숙재수叔在藪 화렬구부火烈具阜 숙단叔段이 늪에 들어가니 불꽃을 모두 올려주네

숙마만기叔馬慢忌 숙발한기叔發罕忌 숙단이 말을 천천히 가라하고 활을 더디 쏘라하네

억석붕기抑釋掤忌 억창궁기抑鬯弓忌 화살 통 풀지 말라하시고 활집을 닫으라 하신다네.

 

 

대숙이 사냥을 나가네, 수레를 몰고 가네.

고삐 부드럽게 잡으니 두 참마는 춤추듯 하네.

대숙이 늪에 있는데 불화살이 일제히 오르네.

웃통 벗고 호랑이 때려잡아 공소에 바친다네.

숙은 거리낌 없이 굴지 말라. 그대 상할까 경고하노라.

 

대숙이 사냥을 나가네. 누런 말을 몰고 가네.

두 복마에 멍에를 올리니 두 참마 줄지어 따르네.

대숙이 늪에 있는데 불화살 일제히 오르네.

대숙은 활도 잘 쏘고 말도 잘 타네.

달리다 멈추며 쫒으며 활도 쏜다네.

 

대숙이 사냥을 나가는데 오총마 몰고 가네.

두 복마 머리 나란히 하니 두 참마는 두 손 같네.

숙이 늪에 있는데 불화살이 일제히 오르네.

숙은 말을 천천히 달리고 활 쏘는 것도 뜸하네.

활집 뚜껑 열고 활집에 활을 담았네.

 

 

●<모시전毛詩傳><모시전毛詩箋><모시정의毛詩正義>

<모전毛傳>은 한漢나라의 모형毛亨(?-?)이 자하子夏에게서 순황荀況을 거쳐 그에게 전해진 <시경詩經>을 대상으로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는데 後漢에 와서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등이 당시까지 전래한 여러 자료를 중심으로 자세한 소疏를 덧붙여 총정리 하여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여 오늘날의 <시경>이 되었다.

 

 

【毛詩 序】

대숙어전大叔於田 자장공야刺莊公也 <대숙우전>은 莊公을 풍자한 詩이다.

 

숙다재이호용叔多才而好勇 불의이득중야不義而得眾也

숙단叔段이 재주가 많으면서 용기를 좋아하니 의롭지 않은데도 무리를 얻었음이다.

 

 

►숙우전叔于田 승승마乘乘馬 숙단叔段이 사냥을 가는데 말 네 마리 수레를 탔구나.

【毛亨 傳】 숙지종공전야叔之從公田也 숙단叔段이 莊公의 사냥에 따라감이다.

 

►집비여조執轡如組 량참여무兩驂如舞 고삐를 베 짜듯 잡았는데 두 곁말은 춤추는 듯하네.

【毛亨 傳】

참지여복驂之與服 화해중절和諧中節

곁말이 가는데 복 말이 함께하니 어울려 和合함이 절도에 들어맞음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전箋에 이르기를

 

여조자如組者 여직조지위야如織組之為也 여조如組라는 것은 베를 짜는 듯이 함이다.

재방왈참在旁曰驂 곁에 있음을 (곁말 참)驂이라 말한다.

 

►숙재수叔在藪 화렬구거火烈具舉 숙단叔段이 늪에 들어가니 불꽃을 모두 들어준다네.

【毛亨 傳】

수藪 택澤 금지부야禽之府也 (늪 수)藪는 못인데 짐승이 모이는 곳이다.

렬烈 렬列 구구야具俱也 (메울 렬)烈은 벌림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전箋에 이르기를

 

렬인지화구거列人持火俱舉 언중동심言眾同心

사람들이 줄지어 불을 갖추어 들고 기다림은 무리의 한 마음을 말함이다.

 

►단석포호襢裼暴虎 헌어공소獻於公所 웃통을 벗고 맨손으로 범을 잡아 임금님께 바쳤다네.

【毛亨 傳】

단석襢裼 육단야肉袒也 단석襢裼은 웃통 벗은 맨살이다.

포호暴虎 공수이박지空手以搏之 포호暴虎는 맨손으로써 호랑이를 두드려 잡음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헌어공소獻於公所 진어군야進於君也

전箋에 이르기를 임금의 처소에 바쳤음(獻於公所)은 군주에게 나아감이다.

 

►장숙무뉴將叔無狃 계기상녀戒其傷女 제발 숙단은 덤벙대지 말라 그대 다칠까 걱정된다네.

【毛亨 傳】 뉴狃 습야習也 (버릇없이 너무 지나치게 친할 뉴)狃는 익숙함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뉴狃 복야複也 전箋에 이르기를 (친압할 뉴)狃는 다시 함이다.

청숙무복자請叔無複者 애야愛也 숙단에게 청함이 다시없는 것은 사랑함이다.

 

►숙어전叔於田 승승황乘乘黃 숙단叔段이 사냥 가는데 황색 말 네 마리 수레를 탔구나.

【毛亨 傳】 사마개황四馬皆黃 말 네 필이 모두 황색이다.

 

►량복상양兩服上襄 량참안행兩驂雁行 두 복마가 앞에서 끌고 두 참마는 줄지어 뒤 따르네

【鄭玄 箋】

전운箋云 량복兩服 중앙협원자中央夾轅者 전箋에 이르기를 양복兩服은 중앙에 끼어서 끄는 것이다.

양襄 가야駕也 (도울 양)襄은 멍에이다.

상가자上駕者 언위중마지최량야言為眾馬之最良也 상가라는 것은 말무리의 최고 좋음을 말함이다.

 

안행자雁行者 언여중복상차서言與中服相次序

안행雁行이라는 것은 가운데 끄는 말이 서로 차등하여 순서를 부여함을 말함이다.

 

►숙재수叔在藪 화렬구양火烈具揚 숙단叔段이 늪에 들어가니 불꽃을 모두 날려준다네

【毛亨 傳】 양揚 양광야揚光也 (날릴 양)揚은 빛을 들날림이다.

 

►숙선사기叔善射忌 우량어기又良禦忌 숙단叔段은 활 잘 쏘고 또 말을 잘 몬다 말하는데

【毛亨 傳】 기忌 사야辭也 (꺼릴 기)忌는 말함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량역선야良亦善也 전箋에 이르기를 좋음은 또 착함이다.

기忌 독여피이지자讀如彼已之子 지이之已 (꺼릴 기)忌는 피기지자彼已之子의 기已와 같이 읽음이다.

 

►억경공기抑磬控忌 억종송기抑縱送忌 말을 달려라 멈춰라 하며 화살을 쏘고 좇으라 하네.

【毛亨 傳】

빙마왈경騁馬曰磬 말을 달리게 함을 (경쇠 경: 말이 달림)磬이라 말한다.

지마왈공止馬曰控 말을 그치게 함을 (당길 공)控이라 말한다.

발시왈종發矢曰縱 화살을 쏘았음을 (세로 종)縱이라 말한다.

종금왈송從禽曰送 짐승을 좇음을 (보낼 송)送이라 말한다.

 

►숙어전叔於田 승승보乘乘鴇 숙단叔段이 사냥 가는데 얼룩말 네 마리 수레를 탔구나.

【毛亨 傳】 려백잡모왈보驪白雜毛曰鴇 흰 털이 섞인 검은 말을 (능애 보)鴇라고 말한다.

‘능에 보鴇’ 능에(느싯과의 새). 너새(느싯과의 겨울새). 오총이(烏驄 흰 털이 섞인 검은 말)

 

►량복제수兩服齊首 량참여수兩驂如手 두 복마 머리 가지런하고 두 참마 손처럼 움직이네.

兩服齊首 【毛亨 傳】 마수제야馬首齊也 말의 머리가 가지런함이다.

兩驂如手 【毛亨 傳】 진지여어자지수進止如禦者之手 나아가고 그침을 말 모는 자의 손 같이 함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여인좌우수지상좌조야如人左右手之相佐助也

전箋에 이르기를 사람이 左右 손을 서로 보좌하여 도움과 같음이다.

 

►숙재수叔在藪 화렬구부火烈具阜 숙단叔段이 늪에 들어가니 불꽃을 모두 올려주네

【毛亨 傳】 부阜 성야盛也 (언덕 부)阜는 성대함이다.

 

►숙마만기叔馬慢忌 숙발한기叔發罕忌 숙단이 말을 천천히 가라하고 활을 더디 쏘라하네

【毛亨 傳】

만慢 지遲 (거만할 만)慢은 더딤이다.

한罕 희야希也 (드물 한)罕은 희망함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전사차필田事且畢 즉기마행지則其馬行遲 발시희發矢希

전箋에 이르기를 사냥의 일을 또 마침은 곧 그 말을 더디 가게 하여 활을 쏘기를 바람이다.

 

►억석붕기抑釋掤忌 억창궁기抑鬯弓忌 화살 통 풀지 말라하시고 활집을 닫으라 하신다네.

【毛亨 傳】 붕掤 소이복시所以覆矢 (전동 뚜껑 붕)掤은 화살을 덮은 까닭이다.

창궁鬯弓 도궁弢弓 창궁鬯弓은 활을 넣는 집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사자개시도궁射者蓋矢弢弓 언전사필言田事畢

전箋에 이르기를 射라는 것은 대개 화살을 활의 집에 넣음인데 사냥하는 일을 끝마침을 말함이다.

 

 

●시경집전詩經集傳

숙우전叔于田 승승마乘乘馬 숙이 사냥을 하니 승마를 탔도다.

집비여조執轡如組 량참여무兩驂如舞 고삐 잡음이 인끈과 같으니 양쪽의 참마가 춤추는 듯하도다.

숙재수叔在藪 화렬구거火烈具擧 숙이 덩굴 숲에 있으니 불이 타오르며 함께 일어나도다.

단석포호襢裼暴虎 헌우공소獻于公所 옷을 벗고 범을 맨주먹으로 때려잡아 공소에 바치도다.

장숙무뉴將叔無狃 계기상녀戒其傷女 바라건대 숙은 익히지 말지어다. 그 네가 다칠까 경계하노라.

 

​부야​賦也 부이다.

숙叔 역단야亦段也 숙은 또한 단이다.

거형외양마왈참車衡外兩馬曰驂 수레 멍에 밖의 두 말을 가로대 참이라 한다.

 

여무如舞 위해화중절謂諧和中節 개언어지선야皆言御之善也

춤추는 것 같다는 것은 함께 화하면서 중절을 지킴을 이름이니 다 말 몲을 잘함을 말함이다.

 

수藪 택야澤也 화火 분이사야焚而射也 열烈 치성모熾盛貌 구具 구야俱也 단석襢裼 육단야肉袒也

수는 늪. 화는 불태우면서 활을 쏨. 열은 불길이 치솟는 모양. 구는 함께. 단석은 육체를 드러냄이다.

 

포暴 공수박수야空手搏獸也 공公 장공야莊公也 뉴狃 습야習也

포는 맨손으로 짐승을 때려잡음. 공은 장공. 뉴는 익힘이다.

 

국인國人 계지왈청숙무습차사戒之曰請叔無習此事

나라 사람들이 경계하면서 가로대 청컨대 숙은 이러한 일(겁 없이 사냥하는 일)을 익히지 말지어다.

 

공기혹상여야恐其或傷汝也 그 혹 너를 다칠까를 두려워한다라고 하니

 

개숙다재호용蓋叔多材好勇 이정인애지而鄭人愛之 여차如此

대개 숙이 재주가 많고 용맹을 좋아하여 정나라 사람이 사랑하기를(아껴주기를) 이와 같이 하니라.

 

​▪

숙우전叔于田 승승황乘乘黃 숙이 사냥을 나가니 누런 말을 타도다.

량복상양兩服上襄 량참안행兩驂鴈行 두 복마는 위에 멍에를 했고 두 참마는 기러기같이 가도다.

숙재수叔在藪 화렬구양火烈具揚 숙이 숲속에 있으니 불꽃이 솟음에 일제히 일어나도다.

숙선사기叔善射忌 우량어기又良御忌 숙이 활을 잘 쏘며 또한 말도 잘 모니

억경공기抑磬控忌 억종송기抑縱送忌 달리기도 하고 그치기도 하며 화살을 쏘기도 하고 활집에 덮기도 하도다.

 

​부야​賦也 부이다.

승황乘黃 사마개황야四馬皆黃也 승황은 네 마리의 말이 다 누렇다.

형하衡下 협원양마왈복夾轅兩馬曰服 멍에 아래 두 말에 멍에를 낀 것을 가로대 복이라 한다.

양襄 가야駕也 양은 멍에.

 

마지상자馬之上者 위상가爲上駕 유언상사야猶言上駟也

말의 위라는 것은 위에 멍에를 하는 것이니 상사(상사 2, 하사 2하여 사駟가 되고 한편으로는 바깥쪽 두 마리를 참마驂馬라 하고 안쪽 두 마리를 服馬라 함)라는 말과 같다.

 

안행자鴈行者 참소차복후驂少次服後 여안행야如鴈行也

안행이라는 것은 참마가 조금 복마 뒤로 물러서서 가는 것이 기러기가 줄지어 나는 것과 같다.

 

양揚 기야起也 기억忌抑 개어조사皆語助辭 양은 일어남. 기와 억은 다 어조사.

빙마왈경騁馬曰磬 지마왈공止馬曰控 말이 달리는 것을 가로대 경이라 하고 말이 그치는 것을 가로대 공이라.

사발왈종舍拔曰縱 복소왈송覆彇曰送 화살을 놓는 것을 종. 활집을 덮는 것을 가로대 송이다.

(활고자/활집 소彇 시위를 매는 활의 양쪽 끝)

​▪

숙우전叔于田 승승보乘乘鴇 숙이 사냥을 나가니 오추마를 탔도다.

량복제수兩服齊首 량참여수兩驂如手 두 복마는 머리를 나란히 하고 두 참마는 손과 같이 했도다.

숙재수叔在藪 화렬구부火烈具阜 숙이 숲에 있으니 불이 타오르니 일제히 일어서도다.

숙마만기叔馬慢忌 숙발한기叔發罕忌 숙이 말달리기를 느리게 하며 숙이 활 빼기를 드문드문 했으니

억석붕기抑釋掤忌 억창궁기抑鬯弓忌 화살 통을 풀며 활을 활집에 넣도다.

 

부야賦也 부이다.

 

려백잡모왈보驪白雜毛曰鴇 금소위오총야今所謂烏驄也

​나귀가 희고 잡 털이 있는 것을 보라 하니 지금의 이른바 오총(오추마, 항우가 탔다는 준마))이다.

 

제수齊首 여수如手 양복兩服 병수재전竝首在前

머리를 나란히 하고 손과 같이 한다는 것은 두 복마는 아울러 머리를 앞에 있게 하고

 

이양참재방而兩驂在旁 초차기후여인지양수야稍次其後如人之兩手也

두 참마는 곁에 있어서 조금 그 뒤로 물러나는 것이 사람의 두 손과 같이 함이다.

 

부성阜盛 만慢 지야遲也 발發 발시야發矢也 한희罕希 석釋 해야解也

부는 성함. 만은 더딤. 발은 화살을 쏨. 한은 드물음, 석은 풀음이다.

 

붕掤 시용矢筩 개춘추전蓋春秋傳 작빙作氷 붕은 화살 통이니 대개 <춘추전>에 빙이라 지었다.

창鬯 궁낭야弓囊也 여창與韔 동同 창은 활집이니 창과 같음이다.

 

언기전사장필言其田事將畢 이종용정가여차而從容整暇如此

그 사냥하는 일을 장차 다함에 조용히 정리하는 여가가 이와 같음이다.

 

역희기무상지사야亦喜其無傷之詞也

또한 기뻐하면서 그 상하지 말라는 말이다.

 

 

육씨왈陸氏曰 수장首章 작대숙우전자오作大叔于田者誤

육씨 가로대 머릿장에 대숙우전이라 지은 것은 잘못됨이다.

 

소씨왈蘇氏曰 이시개왈숙우전二詩皆曰叔于田 소씨 가로대 두 시를 다 일러 숙우전이라 하니라.

 

고故 가대이별지加大以別之 부지자不知者 내이단乃以段

그러므로 大를 더하여서 나눈 것이거늘 알지 못하는 자가 이에 단으로써

 

유대숙지호有大叔之號 이독왈태而讀曰泰 우가대우수장又加大于首章 실지의失之矣

​대숙의 호가 있다하여 읽기를 태라 하고 또 大를 머릿장에 더했다 하니 실수로다.

통일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