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韓詩/매월당집梅月堂集

매월당 시집 제3권 3-1

매월당 시집 제3권 3-1

3 은일隱逸 숨어서 사는 일

 

1 유거幽居 그윽한 곳에 살다

 

유거와소상幽居臥小牀 그윽한 곳 작은 평상에 누웠으니

정실일연향靜室一煙香 고요한 방안에 향 연기 가득하네.

야우림화윤夜雨林花潤 밤비에 수풀 꽃 윤택해지고

매천풍기량梅天風氣凉 6, 7월 바람 기운 서늘하구나.

 

엽농금어경葉濃禽語警 잎새 짙어 새들은 시끄럽게 지저귀고

니습연비망泥濕燕飛忙 진흙 젖어 제비는 바삐 나네.

하이소장일何以消長日 무엇으로 긴긴 날을 소일할거나!

신시사수행新詩寫數行 새 詩나 두어 줄 써보는 게지.

 

 

►은일隱逸 ‘숨을 은隱’ ‘편안할 일逸’

세상을 피하여 숨음. 국화菊花. 숨은 學者로서 임금이 特別히 벼슬을 준 사람.

 

염계濂溪 주돈이周惇頤가 ‘애련설愛蓮說’에서

‘국화지은일자야菊花之隱逸者也 국화는 꽃 중의 은일이다.’라 함에서 유래함.

 

굴여은일자屈汝隱逸姿 너의 은일한 모습 굽히게 하노니

아기진구차我豈眞苟且 내 어찌 참으로 한때의 미봉책을 쓰는 것이랴?

/<이우李隅 양양동헌국襄陽東軒菊>

 

<죽계육일竹溪六逸>

죽계의 주당酒黨 여섯 사람.

죽계는 호북성湖北省 죽계현에 있는 명승지.

 

당나라 천보天寶 연간에 활동했던 사람들인

이백李白 공소보孔巢父 한준韓準 배정裴政 장숙명張叔明 도면陶沔

이들은 지금의 산동성山東省 태안현泰安縣 동남의 조래산徂徠山 아래의 죽계竹溪에서

주우酒友로서 결사結社한 뒤 술에 탐닉하며 세상을 잊었었다.

 

►유거幽居 쓸쓸하고 궁벽窮僻한 곳에서 사는 일. 또는 그런 곳에 있는 집.

 

●유거幽居/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1635)

 

유거지벽단과종幽居地僻斷過從 사는 곳 구석지어 찾는 발길 끊기는데

수기한재만사용睡起閑齋萬事慵 한가한 잠 깨어도 할 일이 전혀 없고

유유우시심미이猶有憂時心未已 그래도 마음 안 놓여

석양부장간전봉夕陽扶杖看前峯 저물녘 지팡이 의지 해 앞산 바라보네

'韓詩 > 매월당집梅月堂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월당 시집 제3권 3-3  (0) 2024.01.16
매월당 시집 제3권 3-2  (0) 2024.01.16
매월당 시집 제3권 2-37  (1) 2024.01.16
매월당 시집 제3권 2-36  (1) 2024.01.16
매월당 시집 제3권 2-35  (0) 202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