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풍國風 제풍齊風
98. 저著 문간에서
사아어저호이俟我於著乎而 나를 문간에서 기다리시는데
충이이소호이充耳以素乎而 흰 귀걸이 하시었구나.
상지이경화호이尙之以瓊華乎而 더하여서 화려한 붉은 옥으로 꾸미셨다네.
사아어정호이俟我於庭乎而 나를 뜰에서 기다리시는데
충이이청호이充耳以靑乎而 파란 귀걸이 하시었구나.
상지이경형호이尙之以瓊瑩乎而 더하여서 영롱한 붉은 옥으로 꾸미셨다네.
사아어당호이俟我於堂乎而 나를 방에서 기다리시는데
충이이황호이充耳以黃乎而 노란 귀걸이 하시었구나.
상지이경영호이尙之以瓊英乎而 더하여서 꽃부리 붉은 옥으로 꾸미셨다네.
나를 문간에서 기다리시네.
하얀 귀막이 끈
아름다운 옥돌로 꾸미셨네.
나를 뜰에서 기다리시네.
푸른 귀막이 끈
밝은 옥돌로 꾸미셨네.
나를 대청에서 기다리시네.
노란 귀막이 끈
영롱한 옥돌로 꾸미셨네.
●<모시전毛詩傳><모시전毛詩箋><모시정의毛詩正義>
<모전毛傳>은 한漢나라의 모형毛亨(?-?)이 자하子夏에게서 순황荀況을 거쳐 그에게 전해진 <시경詩經>을 대상으로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는데 後漢에 와서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등이 당시까지 전래한 여러 자료를 중심으로 자세한 소疏를 덧붙여 총정리 하여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하여 오늘날의 <시경>이 되었다.
【毛詩 序】
저著 자시야刺時也 <저著>는 時俗을 풍자한 詩이다.
시불친영야時不親迎也 당시에 親迎(신랑이 신부를 맞이함)을 하지 않았다.
【鄭玄 序】
시불친영時不親迎 고진친영지례이자지故陳親迎之禮以刺之
당시에 親迎(신랑이 신부를 맞이함)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친영의 禮를 펼침을 풍자하였다.
►사아어저호이俟我於著乎而 충이이소호이充耳以素乎而 나를 문간에서 기다리시는데 흰 귀걸이 하시었구나.
【毛亨 傳】
사俟 대야待也 (기다릴 사)俟는 기다림이다.
문병지한왈저門屏之閒曰著 병풍과 문의 사이를 (나타날 저)著라고 말한다.
소素 상진象瑱 (본디 소)素는 귀 장식裝飾의 모양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아我 가자자위야嫁者自謂也 전箋에 이르기를 我는 시집가는 이가 스스로를 일컬음이다.
대아어저待我於著 나를 문간에서 기다림[待我於著]은
위종군자이출지어저謂從君子而出至於著 군자를 따라 가는데 문간에 이르러 나가니
군자읍지시야君子揖之時也 군자가 절을 하는 때이며
아시군자즉이소위충이我視君子則以素為充耳 내가 군자를 보면 흰색으로써 귀를 막게 하였음을 일컬음이다.
위소이현진자謂所以懸瑱者 혹명위담或名為紞
귀막이 옥을 메달은 것의 까닭은 혹 이름을 (귀막이 끈 담)紞이라 하는데
직지織之 인군오색人君五色 신즉삼색이이臣則三色而已
그것의 휘장揮帳은 군주된 사람은 5가지 색이고 신하는 3가지 색일 뿐임을 가리킴이다.
차언소자此言素者 목소선견이운目所先見而雲 이를 흰색이라 말한 것은 눈이 먼저 본 바를 일러줌이다.
►상지이경화호이尚之以瓊華乎而 더하여서 화려한 붉은 옥으로 꾸미셨다네.
【毛亨 傳】
경화瓊華 미석美石 사지복야士之服也
빛나는 옥돌[경화瓊華]은 아름다운 돌을 단 관리의 복장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상유식야尚猶飾也 전箋에 이르기를 상尚은 꾸밈과 같음이다.
식지이경화자飾之以瓊華者 위현담지말謂懸紞之末 소위진야所謂瑱也
빛나는 옥돌로 꾸밈을 했다는 것은 귀막이 끈의 끝을 매달았음을 일컫는데 (귀막이 전)瑱을 일컬은 바이다.
인군이옥위지人君以玉為之 군주된 사람은 옥으로써 옥 귀막이를 한다.
경화瓊華 석색사경야石色似瓊也 경화瓊華는 돌의 색이 귀막이[귀막이 전瑱]를 닮았음이다.
►사아어정호이俟我於庭乎而 충이이청호이充耳以青乎而 나를 뜰에서 기다리시는데 파란 귀걸이 하시었구나.
【毛亨 傳】 청青 청옥青玉 청青은 푸른 옥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대아어정待我於庭 위읍아어정시謂揖我於庭時
전箋에 이르기를 뜰에서 나를 기다림은 뜰에서 나에게 절하는 때를 일컬음이다.
청青 담지청紞之青 청青은 귀막이 끈(귀막이 끈 담紞)이 푸른색이다.
►상지이경형호이尚之以瓊瑩乎而 더하여서 영롱한 붉은 옥으로 꾸미셨다네.
【毛亨 傳】
경형瓊瑩 석사옥石似玉 경대부지복야卿大夫之服也
영롱한 구슬[경영瓊瑩]은 돌이 옥을 닮았는데 경卿과 大夫의 복장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석색사경石色似瓊 사형야似瑩也
전箋에 이르기를 돌의 색이 붉은 옥을 닮고 영롱함을 닮았음이다.
►사아어당호이俟我於堂乎而 충이이황호이充耳以黃乎而 나를 방에서 기다리시는데 노란 귀걸이 하시었구나.
【毛亨 傳】 황黃 황옥黃玉 황黃은 누런 옥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황黃 담지황紞之黃 전箋에 이르기를 황黃은 귀막이 끈(귀막이 끈 담紞)이 황색이다.
►상지이경영호이尚之以瓊英乎而 더하여서 꽃부리 붉은 옥으로 꾸미셨다네.
【毛亨 傳】
경영瓊英 미석사옥자美石似玉者 인군지복야人君之服也
꽃부리 붉은 옥[경영瓊英]은 아름다운 돌이 옥을 닮은 것인데 군주된 사람의 복장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경영유경화야瓊英猶瓊華也
전箋에 이르기를 꽃부리 붉은 옥(경영瓊英)은 화려한 붉은 옥(경화瓊華)과 같음이다.
●시경집전詩經集傳
▪
사아어저호이俟我於著乎而 나를 문간에서 기다리니
충이이소호이充耳以素乎而 귀막이를 흰색으로 하고
상지이경화호이尙之以瓊華乎而 경화를 더했도다.
부야賦也 부이다.
사俟 대야待也 사는 기다림.
아我 가자자위야嫁者自謂也 아는 시집가는 자가 스스로를 이름이다.
저著 문병지간야門屛之間也 저는 문에 병풍 친 사이다.
충이充耳 이광현진以纊懸瑱 소위담야所謂紞也
충이는 솜으로써 귀막이에 매단 것이니 이른바 귀막이 끈이다.
상尙 가야加也 상은 더함
경화瓊華 미석사옥자美石似玉者 즉소이위진야卽所以爲瑱也
경화는 아름다운 돌로써 옥 같은 것이니 곧 써한 바 귀막이 옥이다.
동래여씨왈東萊呂氏曰 동래 여씨 가로대
혼례婚禮 서왕부가친영壻往婦家親迎
혼인하는 예에 신랑이 신부의 집에 가서 친히 맞아들일 적(친영)에
(신랑을 ‘사위 서’라 쓰는 것은 신부의 집에서 行禮를 하기 때문)
기전안旣奠鴈 이미 기러기를 올리고
(전안예奠雁禮 奠雁床앞에서 北을 향해 절하고 기러기를 상에 놓음)
어륜이선귀御輪而先歸 사우문외俟于門外 부지즉읍이입婦至則揖以入
수레를 몰아 먼저 돌아가고 문밖에서 기다리다가 신부가 이르면 읍하여 써 들이니
시時 제속불친영齊俗不親迎 당시에 제나라 풍속은 친영을 하지 않음이라.
고故 여지서문女至壻門 시견기사기야始見其俟己也
그러므로 여자가 신랑의 문에 이르러서 처음으로 그 자기를 기다림을 보았음이라.
▪
사아어정호이俟我於庭乎而 나를 뜰에서 기다리라니
충이이청호이充耳以靑乎而 귀막이를 청색으로 하고
상지이경형호이尙之以瓊瑩乎而 경영을 더했도다.
부야賦也 부이다.
정庭 재대문지내침문지외在大門之內寢門之外 정은 대문 안, 침문 바깥쪽에 있음이다.
경영瓊瑩 역미석사옥자亦美石似玉者 경영은 또한 아름다운 돌로써 옥과 같은 것이다.
여씨왈呂氏曰 여씨 가로대
차此 혼례婚禮 소위서도부급침문所謂壻道婦及寢門 읍입지시야揖入之時也
이것은 혼례에 이른바 신랑이 신부를 인도하여 침문에 이르러서 읍하고 들어가는 때이라.
▪
사아어당호이俟我於堂乎而 나를 당에서 기다리나니
충이이황호이充耳以黃乎而 귀막이를 누런색으로 하고
상지이경영호이尙之以瓊英乎而 경영을 더했도다.
부야賦也 부이다.
경영瓊英 역미석사옥자亦美石似玉者 경영은 또한 아름다운 돌로 옥과 같은 것이다.
여씨왈呂氏曰 여씨 가로대
승계이후升階而後 지당至堂 차此 혼례婚禮 소위승자서계지시야所謂升自西階之時也
계단을 오른 후 당에 이르니 이는 혼례에 이른바 서쪽 계단으로부터 오르는 때이라.
'漢詩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풍國風 제풍齊風 100. 동방미명東方未明 (0) | 2022.11.15 |
---|---|
국풍國風 제풍齊風 99. 동방지일東方之日 (0) | 2022.11.15 |
국풍國風 제풍齊風 97. 선還 (1) | 2022.11.15 |
국풍國風 제풍齊風 96. 계명雞鳴 (0) | 2022.11.15 |
국풍國風 정풍鄭風 95. 진유溱洧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