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詩經

국풍國風 위풍魏風 111. 십무지간十畝之間

국풍國風 위풍魏風

111. 십무지간十畝之間 천 평의 땅

 

십무지한혜十畝之閒兮 천 평의 땅 사이에는

상자한한혜桑者閑閑兮 뽕 따는 이들이 한가로이 지내는데

행여자환혜行與子還兮 그대와 더불어 돌아가려나.

 

십무지외혜十畝之外兮 천 평의 땅 근처에는

상자예예혜桑者泄泄兮 뽕 따는 이들이 부지런히 움직이는데

행여자서혜行與子逝兮 그대와 더불어 그리로 가려나

 

 

십묘의 사이에는 뽕잎 따는 사람이 여유롭다네.

이제 그대와 함께 돌아가려네.

 

십묘 밭 이웃 땅에 뽕잎 따는 사람 여유롭다네.

이제 그대와 함께 가려 하네.

 

 

●<모시전毛詩傳><모시전毛詩箋><모시정의毛詩正義>

<모전毛傳>은 한漢나라의 모형毛亨(?-?)이 자하子夏에게서 순황荀況을 거쳐 그에게 전해진 <시경詩經>을 대상으로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는데 後漢에 와서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등이 당시까지 전래한 여러 자료를 중심으로 자세한 소疏를 덧붙여 총정리 하여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하여 오늘날의 <시경>이 되었다.

 

 

【毛詩 序】

십무지간十畝之間 자시야刺時也 언기국삭소言其國削小 민무소거언民無所居焉

<십무지간>은 시절을 풍자한 詩이며 그 나라가 침략을 당해 깎이고 작아져서 백성들이 거주할 곳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십무지한혜十畝之閒兮 천 평의 땅 사이에는

상자한한혜桑者閑閑兮 뽕 따는 이들이 한가로이 지내는데

【毛亨 傳】

한한연閑閑然 남녀무별男女無別 왕래지모往來之貌

한가로운 것처럼 남녀가 구별 없이 왕래하는 모양이다.

 

【鄭玄 箋】 전운箋云 전箋에 이르기를

 

고자일부백무古者一夫百畝 금십무지간今十畝之間 옛날에는 장정 한 사람에 백묘百畝인데 지금 십묘의 사이를

왕래자한한연往來者閑閑然 삭소지심削小之甚 오간다는 것은 매우 한가로운 것처럼 줄어서 심하게 적음이다.

 

►행여자환혜行與子還兮 그대와 더불어 돌아가려나.

【毛亨 傳】 혹행래자或行來者 혹래환자或來還者 혹 가고 오는 것은 혹 돌아오는 것이다.

【音義】 환還 본역작선本亦作旋 (돌아올 환)還은 본래 또 (돌 선)旋으로 쓰였다。

 

►십무지외혜十畝之外兮 천 평의 땅 근처에는

상자예예혜桑者泄泄兮 뽕 따는 이들이 부지런히 움직이는데

【毛亨 傳】 예예泄泄 다인지모多人之貌 예예泄泄는 사람이 많은 모양이다.

【音義】 예泄 이세반以世反 (흩어질 예)泄는 의와 세의 반절음이다(샐 설/흩어질 예泄)

 

►행여자서혜行與子逝兮 그대와 더불어 그리로 가려나

【鄭玄 箋】 전운箋云 서逝 체야逮也 전箋에 이르기를 (갈 서)逝는 쫓음이다.

 

 

●시경집전詩經集傳

십무지한혜十畝之閒兮 십 묘의 사이여

상자한한혜桑者閑閑兮 뽕나무가 한가롭고 한가로우니

행여자환혜行與子還兮 장차 그대와 함께 그곳으로 돌아가리라.

 

부야賦也 부이다.

 

십무지간十畝之間 교외소수장포지지야郊外所受場圃之地也

십 묘 사이는 들 바깥 남새밭을 받은 바의 땅이다.

 

한한閑閑 왕래자자득지모往來者自得之貌 한한은 왕래하는 자가 스스로 얻은(여유를 가진) 모양.

행行 유장야猶將也 환還 유귀야猶歸也 행은 장차와 같고 선은 돌아감과 같다.

(行 장차. 바야흐로. 먼저, 무엇보다도)

 

정난국위政亂國危 현자賢者 정치는 어지럽고 나라는 위태하여 어진 자가

 

불락사어기조不樂仕於其朝 이사여기우而思與其友 귀어농포歸於農圃

그 조정에서 벼슬함을 즐거워하지 않고 그 벗과 더불어 농포에 돌아감을 생각함이라.

 

고故 기사여차其詞如此 그러므로 그 시어가 이와 같은 것이다.

 

​▪

십무지외혜十畝之外兮 십 묘의 바깥이여

상자예예혜桑者泄泄兮 뽕나무가 한가롭고 한가로우니

행여자서혜行與子逝兮 장차 그대와 함께 그곳으로 가리라.

 

부야賦也 부이다.

십무지외十畝之外 린포야鄰圃也 십 묘의 밖에 포전이 이웃함이다.

예예泄泄 유한한야猶閑閑也 ​예예는 한한과 같음이라.

서逝 왕야往也 서는 감이다.

경주 황성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