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頌과 着語】
화약란花藥欄 꽃 울타리여!
언유재이言猶在耳 너무도 많이 들어 귀에 딱지가 앉았다.
막만안莫顢頇 어리석은 짓하지 말라.
여마사속如麻似粟 삼대 같고 좁쌀처럼 많다.
야유사자也有些子 (영리한 놈이) 조금은 있었구나.
자령출거自領出去 냉큼 꺼져라!
성재칭혜부재반星在秤兮不在盤 눈금은 저울대에 있지 받침대에 있지 않다.
태갈등太葛藤 말이 많네.
각자향의단하반관各自向衣單下返觀 각각 스스로 자신에 돌이켜보라.
불면설도리不免說道理 이러쿵저러쿵 말하였구나.
편임마便恁麼 이러함이여!
혼륜탄개조渾崙吞箇棗 통째로 대추를 삼켰다.
태무단太無端 전혀 잡다함이 없나니.
자령출거自領出去 냉큼 꺼져라!
작연 灼然 분명하구나.
막착괴타운문호錯怪他雲門好 운문스님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금모사자대가간金毛獅子大家看 황금 털빛 사자를 그대들은 살펴보라.
방출일개반개야시개구자放出一箇半箇也是箇狗子
(그런 사람이) 한 명은커녕 반명이나 될까? (사자는커녕) 개다.
운문야시보주인송적雲門也是普州人送賊
운문스님 또한 보주普州(도적 집단 거주지) 사람이 도적을 전송하는 격이로다.
►성재칭혜부재반星在秤兮不在盤
성재칭간부재칭반星在秤竿不在秤盤
성星이 칭간秤竿(저울대)에 있고 칭반秤盤(저울의 접시)에 있지 않음.
성星 형상지목衡上之目
성星은 저울 위의 눈(目).
►태갈등太葛藤 설명이 너무 지나치다.
►의단衣單=단석單席. 가사와 도첩.
의즉지의발衣卽指衣鉢 단즉서사인명지소홍지편單卽書寫人名之小紅紙片
의衣는 의발을 가리키며 단單은 인명人名을 서사한 작은 홍지紅紙 조각.
안상기전좌위류按象器箋座位類 <상기전象器箋> 좌위류座位類를 안험컨대
승당중僧堂中 승당 중에
각인좌석지벽상개첩유명단各人座席之壁上皆貼有名單
각인의 좌석의 벽 위에 모두 명단이 붙어 있는데
칭지위단위稱之爲單位 이를 일컬어 단위單位라 함.
기상가괘치의발其上可掛置衣鉢
그 위에 가히 의발을 괘치掛置(걸고 안치하다)하는지라
故又以衣單爲座席之代稱
고로 또 의단을 좌석의 대칭代稱으로 삼음.
►대가大家 여러분. 모든 사람. ‘家’ 어조사.
차지대중此指大衆 여기에선 대중을 가리킴.
(달인達人 또는 巨匠이라는 뜻이 아니다)
►보주인송적普州人送賊 보주는 도덕이 많은 곳.
보주인에게 도적을 호송하게 한다는 말은 도적에게 도적을 호송하게 한다는 뜻.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다는 말과 같다.
'語錄 > 벽암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40칙 垂示 (0) | 2024.04.13 |
---|---|
벽암록 39칙 頌 評唱 (0) | 2024.04.13 |
벽암록 39칙 本則 評唱 (1) | 2024.04.13 |
벽암록 39칙 本則과 着語 (0) | 2024.04.13 |
벽암록 39칙 垂示 (0)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