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寒山詩

寒山詩 309

寒山詩 309

한산심寒山深 한산寒山은 깊어서

칭아심稱我心 내 마음에 드네.

순백석純白石 티 없이 맑고 깨끗한 돌만 있을 뿐

물황금勿黃金 황금黃金은 없네.

 

천성향泉聲響 샘물 소리가 울려

무백금撫伯琴 백아伯牙의 거문고를 타네.

유자기有子期 종자기鍾子期가 있다면

변차음辨此音 이 소리를 알아들을 텐데 ···

 

 

한산이 깊어서

내 맘에 딱 맞네.

나는 흰 돌 좋아할 뿐

누런 황금 욕심 없네.

 

산 속 물들이 내는 소리

백아의 거문고를 두드리면

나는 한산의 종자기 되어

자연의 음률을 알아듣네.

 

►칭稱 걸맞다. 부합하다. 적합하다.

►백금伯琴 백아금伯牙琴.

►자기子期 종자기鍾子期. 백아금伯牙琴을 탄 사람.

 

►무백금撫伯琴 유자기有子期 변차음辨此音

‘무撫’ 치다. 두드리다.

‘백금伯琴’ 백아금伯牙琴 곧 유백아兪伯牙가 거문고를 타는 것을 가리킨다.

 

‘자기子期’ 종자기鍾子期

곧 유백아가 타는 거문고 소리를 알아듣는 유일한 사람이었다.

두 사람의 이런 음악적 관계를 통해 ‘지음知音’이라는 말이

속마음까지도 알아주는 벗을 뜻하게 되었다.

 

백아伯牙가 거문고를 타니 종자기鍾子期가 그 소리를 들었다.

거문고를 타서 그 뜻을 태산에 두자 종자기가 말했다.

“훌륭하도다, 거문고 타는 솜씨여! 우뚝 솟아오르니 태산과 같구나.”

 

잠시 후 흐르는 물에 뜻을 두자 종자기가 또 말했다.

“훌륭하도다, 거문고 타는 솜씨여! 수세水勢의 거센 모양이 흐르는 물과 같구나.”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거문고를 부수고 줄을 끊은 후

죽을 때까지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여씨춘추·본미>

'漢詩 > 寒山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山詩 311  (0) 2024.07.31
寒山詩 310  (0) 2024.07.31
寒山詩 308  (0) 2024.07.31
寒山詩 307  (0) 2024.07.30
寒山詩 306  (1)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