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쿳따까 니까야

法句經 32. 애욕품愛欲品

32. 애욕품愛欲品

애욕의 장/욕망(Tanha Vagga)

걷잡을 수 없이 뻗어나가는 욕망의 흐름을 지혜롭게 다스려 가라는 가르침이다.

 

<사랑의 본질>

애욕품자愛欲品者 애욕품은

천음은애賤婬恩愛 탐욕과 은애恩愛에 빠지는 것은 천한 것인데

세인위차世人爲此 세상 사람들은 이것을 위하여 수없는 재앙과 해로움을

성생재해盛生災害 마다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애욕품이란 세상 사람은 천한 음행淫行과

은애恩愛 때문에 재앙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1

심방재음행心放在婬行 마음을 멋대로 놓아두어 음욕을 행하면

욕애증지조欲愛增枝條 욕망과 애착은 더욱더 가지를 치고

분포생치성分布生熾盛 이리저리 무성하게 뻗어나가니

초약탐과후超躍貪果猴 열매를 찾아 날뛰는 원숭이와 같다.

 

마음을 함부로 음행에 놓아두면 애욕은 그 가지를 더욱 뻗쳐서

사방으로 퍼져 왕성해지는 것 과실을 탐해 날뛰는 원숭이 같다.

 

2

이위애인고以爲愛忍苦 애욕을 위해 괴로움도 견디며

탐욕착세간貪欲著世間 탐욕스럽게 세간에 집착하면

우환일야장憂患日夜長 걱정과 근심은 밤낮으로 자라난다.

연여만초생筵如蔓草生 넝쿨풀이 무성하게 자라듯이(대자리 연筵 자리를 펴다. 덩굴 만蔓)

 

애욕을 참는 괴로움으로 세상일을 탐내어 집착하면

걱정이란 근심이 밤낮으로 자라는 것 마치 넝쿨풀이 넝쿨을 내는 것 같다.

 

3

인위은애혹人爲恩愛惑 사람이 은애恩愛에 미혹되어

불능사종욕不能捨情欲 감각적인 욕망을 버리지 못하면

여시우애다如是憂愛多 근심과 애착은 날로 불어난다.

잔잔영우지潺潺盈于池 잔잔한 물방울이 연못을 채우듯이

 

사람들은 은혜와 사랑에 빠져 능히 정욕을 버리지 못하나니

그리하여 근심과 애정은 많아져 온 몸에 가득히 흘러넘친다.

►졸졸 흐를 잔潺 潺潺 졸졸 흐르는 시냇물 소리가 약하고 가늚

 

4

부소이우비夫所以憂悲 대개 근심하고 슬퍼하는 일

세간고비일世間苦非一 세상에 괴로움 하나만이 아니다.

단위연애유但爲緣愛有 오직 애욕을 인연하여 있는 것이니

이애즉무우離愛則無憂 애욕을 여의면 근심도 없어지리.

 

대개 근심하고 슬퍼하면서 세상의 괴로움은 하나가 아니지만

그것은 애욕이 있기 때문이니 애욕을 떠나면 근심이 없느니라.

 

5

기의안기우己意安棄憂 이미 마음이 편안하고 근심이 사라져

무애하유세無愛何有世 애착이 없으니 어찌 다시 태어나리.

불우불염구不憂不染求 근심하지 않고 물들지 않으

불애언득안不愛焉得安 애착을 갖지 않으니 편안하네.

 

근심을 버리면 마음이 편하나니 애욕이 없었다면 세상 어찌 있으랴.

근심하거나 집착해 구하지 않고 사랑하지 않으면 편안함 없으리까.

 

6

유우이사시有憂以死時 애욕을 지닌 채 죽어가니

위치친속다爲致親屬多 그를 따르는 번뇌 더욱 많다.

섭우지장도涉憂之長塗 근심에 가득 찬 먼 길 건널 때

애고상타위愛苦常墮危 애욕의 괴로움에 언제나 위험에 처하네.

 

사랑이 있으면 죽을 때에는 친한 권속들이 많아지나니

근심의 긴 길을 빨리 건너 고통을 사랑하면 위험에 떨어진다.

 

7

위도행자爲道行者 도에 뜻을 두고 수행하는 사람은

불여욕회不與欲會 애욕을 마음속에 일으키지 말라.

선주애본先誅愛本 먼저 애욕의 근본을 끊기를

무소식근無所植根 깊이 심어진 뿌리까지 없애 버리듯이 하라.

물여예위勿如刈葦 갈대를 베어내듯이 뿌리를 남겨두지 말라(갈대 위葦)

영심복생令心復生 마음에 다시 번뇌를 낳을 것이니

 

도를 위하여 수행하는 사람은 언제나 애욕을 피하려하나니

먼저 애욕의 뿌리를 끊고 다시는 뿌리를 심는 일 없어

마치 갈대를 베는 것 같이하여 마음을 다시 나지 않도록 하라.

 

8

여수근심고如樹根深固 나무의 뿌리는 깊고 견고하여

수절유부생雖截猶復生 나무만 베어 버려도 다시 자라나듯이

애의부진제愛意不盡除 애욕을 모두 없애지 않으면

첩당환수고輒當還受苦 언제나 다시 괴로움을 받으리(문득 첩輒)

 

나무뿌리가 깊고 굳세면 비록 끊으나 다시 나는 것처럼

애욕의 마음을 다 끊지 못하면 이내 도로 괴로움을 받으리라.

 

9

원후득이수猨猴得離樹 원숭이가 나무에서 떨어져도

득탈부취수得脫復趣樹 떨어지자마자 다시 나무에 달라붙듯이

중인역여시衆人亦如是 중생도 또한 이와 같아서

출옥부입옥出獄復入獄 지옥에서 나와 다시 지옥으로 들어간다.

 

원숭이가 숲을 벗어났다가 다시 숲으로 가는 것처럼

세상 사람들도 그와 같아서 옥에서 나왔다가 다시 들어가나니

 

10

탐의위상류貪意爲常流 탐욕스런 마음이 언제나 흐르고

습여교만병習與憍慢幷 교만에 빠지고 게으르며

사상의음욕思想猗婬欲 잡된 상념에 젖어든 채 음욕을 따르니(猗 의지하다)

자복무소견自覆無所見 스스로 무너지도록 알지 못한다.

 

탐하는 마음은 항상 흐르는 물결 습기濕氣는 교만과 어울리고

생각은 음욕을 의지하나니 스스로 덮어 보지 못하게 한다.

 

11

일체의류연一切意流衍 모든 의지는 물처럼 흘러넘치고

애결여갈등愛結如葛藤 애욕의 번뇌는 칡넝쿨처럼 자라나니

유혜분별견唯慧分別見 오직 지혜로운 사람만이 분별하여 알고

능단의근원能斷意根原 의지의 근원을 끊을 수 있다.

 

모든 생각은 흘러 번지고 애욕은 칡이나 등 넝쿨 같나니

오직 지혜가 분별해 보아 뜻의 뿌리를 끊어 버린다.

 

12

부종애윤택夫從愛潤澤 애욕을 좇아 흠뻑 젖어들면

사상위자만思想爲滋蔓 잡된 생각은 무성하게 자라나니(불을 자滋 증가하다)

애욕심무저愛欲深無底 애욕은 끝없이 깊어져

노사시용증老死是用增 늙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더해 갈 뿐이네.

 

대개 애욕이 축축히 적셔두어 생각은 그따라 더욱 뻗어 나고

애욕이란 깊어 밑이 없나니 늙음과 죽음은 그로써 불어간다.

 

13

소생지부절所生枝不絶 생겨나는 가지는 끊이질 않는데

단용식탐욕但用食貪欲 다만 음식만 탐하여 먹고

양원익구총養怨益丘塚 원한을 길러 무덤만 늘이며

우인상급급愚人常汲汲 어리석은 사람은 항상 허덕인다네.

 

생긴 가지는 끊임없이 다만 탐욕을 먹고 사나니

원한을 길러 무덤만 더하면서 어리석은 사람은 언제나 허덕인다.

 

14

수옥유구섭雖獄有鉤鍱 감옥에 갇혀 쇠고랑이 채워진다 해도

해인불위뢰慧人不謂牢 지혜로운 사람은 이것을 견고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우견처자식愚見妻子息 어리석은 사람이 아내와 자식에게

염저애심뢰染著愛甚牢 애착을 지니는 것이 더욱 벗어나기 힘든 견고함이기에

 

감옥에 갈구리와 사슬이 있다 해도 지혜로운 사람은 튼튼하다 하지 않고

어리석은 사람이 아내와 자식을 보고 집착하는 사랑이 참으로 튼튼한 것이다.

 

15

혜설애위옥慧說愛爲獄 지혜로운 사람은 애욕이야말로 깊고 견고하여

심고난득출深固難得出 빠져나오기 어려운 감옥이라고 말한다.

시고당단기是故當斷棄 그러므로 마땅히 끊어 버리고

불시욕능안不視欲能安 욕망을 보지 않으면 편안하리라.

 

사랑이란 튼튼하고 깊은 감옥으로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지혜로운 사람은 말한다.

그러므로 그것을 끊어 버려야 하네. 탐욕을 가져 보지 않으면 편안할 수 있느니라.

 

16

견색심미혹見色心迷惑 형체에 마음이 미혹되어

불유관무상不惟觀無常 영원한 것 없음을 관찰하지 못하고

우이위미선愚以爲美善 어리석은 사람은 이것을 아름답고 좋은 것이라고 하니

안지기비진安知其非眞 어찌 그것이 참된 것이 아님을 알리오.

 

어리석은 사람은 빛깔을 보고 마음으로 미혹하여 덧없다 보지 않고

아름답고 좋은 것이라 생각하나니 진실이 아닌 것을 어떻게 그가 알랴.

 

17

이음락자리以淫樂自裏 애욕의 즐거움으로

비여잠작견譬如蠶作繭 고치를 짓는 누에처럼 제 몸을 감싸네(고치 견繭 누에고치)

지자능단기智者能斷棄 지혜로운 사람은 이것을 끊고

불혜제중고不盻除衆苦 돌아보지 않아 모든 고통을 없애네(흘겨볼 혜盻)

 

음행의 즐거움으로 스스로 싸는 것 마치 누에가 고치를 짓는 것 같네.

지혜로운 사람은 그것을 끊어 버리고 눈 주어 보지 않아 온갖 괴로움 없다.

 

18

심념방일자心念放逸者 마음이 방탕한 사람은

견음이위정見淫以爲淨 음욕을 깨끗하다 여긴다.

은애의성증恩愛意盛增 애욕에 물든 마음은 무성하게 자라나

종시조옥뢰從是造獄牢 결국에는 제 몸을 견고한 감옥으로 만든다.

 

마음으로 방일을 생각하는 사람은 음행을 보고 깨끗하다 하지만

은애恩愛의 뜻은 더욱 왕성해 그로써 제 감옥을 만드느니라.

 

19

각의멸음자覺意滅淫者 뜻을 깨닫고 음욕을 없앤 사람은

상념욕부정常念欲不淨 항상 욕망이 깨끗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니

종시출사옥從是出邪獄 그로써 그릇된 감옥에서 벗어나

능단노사환能斷老死患 늙고 죽는 근심을 끊을 수 있다.

 

제 뜻을 깨닫고 음욕을 멸하려는 사람 애욕을 더러운 것이라 언제나 생각하나니

그로써 삿된 소견의 감옥을 벗어나 늙음과 죽음의 근심을 끊느니라.

 

20-1

이욕망자폐以欲網自蔽 욕망의 그물로 스스로를 가리우고

이애개자복以愛蓋自覆 애욕의 덮개로 스스로를 뒤덮으며

자자박어옥自恣縛於獄 멋대로 행동하다 감옥에 갇히니

여어입구구如魚入笱口 물고기가 통발에 갇힌 것 같네.

 

탐욕의 그물로 스스로 가리고 애정의 덮개로 스스로 덮으며

스스로의 방일로 감옥에 얽매나니 마치 고기가 통발 주둥이로 들어가는 것 같네.

 

20-2

위도사소사爲老死所伺 늙고 죽음에 얽매여 벗어나지 못하니(엿볼 사伺)

약독구모유若犢求母乳 송아지가 어미젖을 찾는 것 같네.

이욕멸애적離欲滅愛迹 욕망을 여의고 애욕의 자취를 없애면

출망무소폐出網無所蔽 그물에서 벗어나 가리우지 않으리라.

 

늙음과 죽음이 엿보는 것을 송아지가 어미젖을 찾는 것 같나니

욕심을 떠나고 애정의 자취 없애면 그물을 벗어나 얽매임 없으리라.

 

21

진도제옥박盡道除獄縛 모든 도를 두루 섭럽하여 애욕의 속박에서 벗어나고

일체차피해一切此彼解 모든 도리를 처음부터 끝까지 분명히 아는 사람은

이득도변행已得度邊行 이미 마지막 몸을 받아 생사를 건널 사람일지니

시위대지사是爲大智士 그를 위대한 지혜를 지닌 사람이라 한다.

 

도를 힘써 감옥의 결박을 끊고 이것저것 모두를 다 풀어 버리고

치우친 행을 이미 건너간 사람 그를 큰 지혜의 선비라 하네.

 

22

물친원법인勿親遠法人 법을 멀리하는 사람을 가까이 하지 말고

역물위애염亦勿爲愛染 또한 법에 집착하여 더럽혀지지 말라.

부단삼세자不斷三世者 삼세에 태어남을 끊지 못한 사람은

회부타변행會復墮邊行 다시 불법을 들을 수 없는 곳에 태어나리라.

 

법을 멀리한 사람 친하지 말고 그리고 애정에 물들지 말라.

세 세상을 끊지 못하는 사람 반드시 치우친 행에 떨어지리라.

 

23

약각일체법若覺一切法 모든 것을 깨달아

능불착제법能不著諸法 모든 것에 집착하지 않고

일체애의해一切愛意解 모든 애욕에 대해 마음이 자유로운 사람

시위통성의是爲通聖意 그를 성인의 뜻에 통달한 사람이라 한다.

 

만일 모든 법의 진실을 깨달아 그 모든 법에 집착하지 않으면

일체 애욕의 마음이 풀리리니 그는 거룩한 뜻을 통달한 사람이다.

 

24

중시경시승衆施經施勝 모든 보시 가운데 경經의 보시가 제일이고

중미도미승衆味道味勝 모든 맛 가운데 도의 맛이 제일이며

중락법락승衆樂法樂勝 모든 즐거움 가운데 법의 즐거움이 제일이니

애진승중고愛盡勝衆苦 애욕을 뿌리 뽑아 모든 괴로움을 이겨내리.

 

온갖 보시 사운데 경전 보시 훌륭하고 온갖 맛 가운데 도의 맛이 훌륭하며

온갖 즐거움 가운데 법의 즐거움 훌륭하나니 애욕이 다하면 온갖 괴로움 이기려니

 

25

우이탐자박愚以貪自縛 어리석은 사람은 탐욕으로 제 몸을 묶어

불구도피안不求度彼岸 저 언덕으로 건너가려 하지 않네.

탐위애욕고貪爲敗處故 탐욕이란 모든 것을 손상시키니

해인역자해害人亦自害 남을 해치고 또 스스로를 해친다.

 

어리석은 사람은 탐욕으로 자신을 묶어 저 언덕에 건너감을 구하지 않네.

탐욕이란 망하는 법이기 때문에 남을 해치고 또 자신을 해치느니

 

26

애욕의위전愛欲意爲田 애욕에 가득 찬 마음을 밭으로 삼으면

음원치위종淫怨癡爲種 탐욕과 원망과 어리석음의 씨를 뿌리게 된다.

고시도세자故施度世者 세상을 구제하는 사람에게 보시하면

득복무유량得福無有量 얻는 복이 다함이 없다.

 

사랑하는 탐욕의 마음은 밭이 되고 음욕, 성냄, 어리석음은 종자가 된다.

그러므로 세상을 건넌 이에게 보시하면 그 얻는 복은 한량이 없느니라.

 

27

반소이화다伴少而貨多 길동무는 적고 재물이 많으면

상인출척구商人怵惕懼 장사꾼은 두려움에 떨게 된다(두려워할 출怵)

기욕적해명嗜欲賊害命 탐욕의 도적은 목숨을 해치니

고혜불탐욕故慧不貪欲 지혜로운 사람은 탐욕을 버린다.

 

길동무는 적은데 가진 재물 많으면 장사꾼은 근심하고 두려워하네.

탐욕의 도적은 목숨을 해치나니 그러므로 지혜로운 사람은 탐하는 마음 없다.

 

28

심가즉위욕心可則爲欲 마음이 욕망을 따르도록 버려두면

하필독오욕何必獨五欲 어찌 반드시 오욕五欲만 따르겠는가.

속가절오욕速可絶五欲 빨리 오욕을 끊을 수 있다면

시내위용사是乃爲勇士 그를 용맹스러운 사람이라 한다.

 

마음에 좋다 하는 것 다 욕심이거니 어찌 반드시 다섯 욕심뿐이랴.

다섯 욕심 떠나서 빨리 끊으면 그야 말로 바로 용사이니라.

 

29

무욕무유외無欲無有畏 욕심이 없고 두려움도 없으며

염담무우환恬惔無憂患 고요하고 편안하여 근심이 없으면

욕제사결해欲除使結解 욕망을 없애고 번뇌가 사라진 것이니

시위장출연是爲長出淵 그는 생사의 연못에서 영원히 벗어난 사람이다.

 

욕심이 없으면 두려움 없고 마음이 결백하면 근심 걱정 없나니

욕심을 버리어 맺어부림[結使]을 풀면 그는 영원히 깊은 못을 벗어나리.

►편안할 염恬 ►탈 담惔 타다, 불이 타다, 편안하다

 

30

욕아지여본欲我知汝本 욕심아, 나는 너의 근본을 안다.

의이사상생意以思想生 욕심은 생각에서 생기는 것이니

아불사상여我不思想汝 만일 내가 너를 생각하지 않으면

즉여이불유則汝而不有 너는 이내 존재하지 못하리라.

 

욕심아, 내 너의 근본을 안다. 뜻은 사모思慕에서 생기는 것이어니

내 너를 사모하지 않으면 너는 이내 없어지리라

 

31

벌수홀휴伐樹忽休 나무를 베다가 잠시 쉬어도

수생제악樹生諸惡 나무에서 온갖 악이 자라난다.

단수진주斷樹盡株 나무를 베어 뿌리까지 다해야

비구멸도比丘滅度 비구들이여 해탈하리라.

 

나무 베기를 잊어버리고 쉬면 나무는 곧 온갖 악을 내리니

나무를 베되 밑둥까지 다 베면 비구는 이내 열반을 얻으리라.

 

32

부불벌수夫不伐樹 탐욕의 나무를 완전히 베어내지 않고

소다여친少多餘親 조금이라도 사랑하는 마음이 남아 있다면

심계어차心繫於此 마음은 그것에 얽매이게 되니

여독구모如犢求母 어미젖을 찾는 송아지와 같다.

 

대개 나무를 모두 베지 않으면 다소의 친한 것 남아 있어서

마음이 그것에 얽매이리니 송아지가 그 어미를 찾는 것 같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