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도연명陶淵明

도연명陶淵明 년보年譜

도연명陶淵明 년보年譜

►365년(1세) 동진東晋 애제哀帝 흥녕興寧 3년(前燕이 낙양을 함락 시켰다)

도연명陶淵明 강주江州 심양군潯陽郡 시상현紫桑縣 시상리紫桑里에서 출생. 자字는 원량元亮.

송대宋代에 이름을 잠潛, 자字를 연명淵明이라 했다.

 

조부祖父 도대陶岱은 태수太守를 지냈으나 아버지 때는 집안이 몰락沒落했다.

어머니는 맹가孟嘉의 딸이다.

 

소년시절에 儒家의 교육을 받았다.

본래부터 천성이 閑寂했고 書琴을 좋아했다.

 

►368(4세) 海西公 太和 3년. 후일 程氏에게 시집 간 누이동생이 태어나다.

►369(5세) 太和 4년. 환온桓溫이 전연前燕 토벌討伐 실패하다. 환현桓玄 출생.

환온桓溫이 폐제廢帝를 폐廢하고 簡文帝를 세우다.

 

►372(8세) 簡文帝 咸安 2년. 부친이 세상을 떠나다[384(20세)과 비교]

►373(9세) 환온桓溫이 62세로 죽다.

사안謝安, 왕단지王坦之 등이 孝武帝를 擁立하다.

 

►376(12세) 孝武帝 太元 원년. 庶母가 세상을 떠나다.

►379(15세) 孝武帝 太元 4년. 왕희지王羲之 죽다.

►381(17세) 太元6년. 사촌 경원敬遠이 대략 이 해에 태어나다.

►383(19세) 太元8년 8월.

前秦의 부견符堅이 침략하여 11월 사현謝玄 등에게 비수淝水에서 이를 대파하다.

 

►384(20세) 孝武帝 太元 9년.

부친졸父親卒[8세 때 卒과 다르다] 안연지顔延之 출생.

 

►385(21세) 사안謝安 卒. 謝靈運 출생. 부견符堅 沒. 晋왕실과 士族이 쇠미하고 군벌세력이 득세하다.

►386(22세) 孝武帝 太元11년 <명자命子>

혜원慧遠이 여산廬山에 입산하여 東林寺에 있으면서 백련사白蓮社를 結成한다.

 

►393(29세) 孝武帝 太元18년. <걸식乞食>(?)

벼슬길에 처음 들어서서 강주江州 제주祭酒가 되었으나 이내 사임辭任.

다시 강주江州 주부主簿로 초청되었으나 불응不應했다.

이 무렵 심양 시상의 上京里에서 거주하다.

 

►394(30세) 孝武帝 太元19년 <화곽주부和郭主簿>

전란과戰亂과 재화흉년災禍凶年으로 가계家計가 궁窮했다.

부인이 세상을 떠나다. 이 해 또는 다음 해에 적翟씨와 재혼하다.

아들이 5명이었다.(엄儼, 사俟, 빈份, 일佚, 동佟)

 

►396(32세) 孝武帝 太元21년. 孝武帝 피살.

►398(34세) 안제安帝 융안隆安 2년.

왕공王恭, 은중감殷仲堪, 환현桓玄 등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왕공王恭의 부하 유뢰지劉牢之가 배반하여

조정 측에 가담함으로써 좌절되고 유뢰지劉牢之는 북부군벌을 장악하게 된다.

 

►399(35세) 안제安帝 융안隆安 3년.

환현桓玄이 형주자사가 되다. 강주 자사刺史 환현桓玄의 관리가 되다.

[진군장궁鎭軍將軍 유뢰지劉牢之의 참군參軍으로 영구京口에 부임赴任]

<시작진군참군경곡아작始作鎭軍參軍經曲阿作>

 

10월 천사도도天師道徒 손사孫思 등의 農民蜂起하나 유뢰지劉牢之가 이들을 격퇴.

 

►400(36세) 安帝 隆安 4년.

5얼에 손사孫思가 다시 회계에 침공하자 11월에 유뢰지劉牢之가 이들을 격퇴.

건강建康에 출장을 가다[五月 建康에서 歸鄕]

<경자세오월중종도환조풍어규림庚子歲五月中從都還阻風於規林>

 

►401(37세) 安帝 隆安 5년.

6월에 손사孫思가 건강을 위협하자 유뢰지劉牢之의 부하 유유劉裕가 격퇴.

환현桓玄이 東晉의 3분지 2를 장악했다.

환현桓玄의 막하幕下로 출사出仕, 강릉江陵에 부임赴任. 휴가休暇를 얻어 귀향歸鄕.

7월에 江陵에 귀임歸任했다가 11월에 어머니 맹씨孟氏가 死亡하자 다시 심양潯陽(紫桑)으로 와서 3년간 服喪.

 

<유사천遊斜川><신축세칠월부가환강릉야행도중辛丑歲七月赴假還江陵夜行塗中>

 

►402(38세) 모친 상중親喪中으로 田園에서 은퇴생활.

유유劉裕에게 격퇴된 손사孫思 자살.

3월에 환현桓玄이 反旗를 들고 수도 건강에 입성. 유뢰지劉牢之 자살.

 

►403(39세) 元興 2년.

<계묘세시춘회고전사癸卯歲始春懷古田舍><계묘세십이월중작여종제경원癸卯歲十二月中作與從弟敬遠><권농勸農>

 

12월 3일. 환현桓玄이 晉을 찬탈하고 제위에 올라 나라 이름을 楚라 하고 진晉 安帝를 심양에 유폐 시켰다.

 

►404년(40세) 元興 3년 2월.

유유劉裕가 환현桓玄을 치고 3월에는 建康을 점령하고 5월에는 환현桓玄을 죽이다.

2월에 유유劉裕 등이 군대를 일으켜 환현을 토벌하다.

이 해 봄에서 여름 사이 <停雲><時運><영목榮木><련우독음連雨獨飮><和胡西曹示顧賊曹><의고擬古>를 짓다.

 

6월 京口로 가서 진군장군鎭軍將軍 유유의 참군이 되다.

[건위장군建威將軍 류경선劉敬宣이가 江州刺史로 심양潯陽에 오자 그의 참군參軍이 되었다]

<始作鎭軍參軍經曲阿作 처음으로 진군장군의 참군이 되어 곡아를 지나며 짓다.>

 

►405(41세) 의희義俒 원년 3월. 안제安帝가 復位하여 건강建康에 돌아오다.

이때 류경선劉敬宣의 참군參軍으로 建康으로 使行. 이때 <乙巳歲三月爲建威參軍使都經錢溪>을 지었다.

 

歸鄕하고 隱退했다가 가을(8월?)에 彭澤令이 되었으나

정씨에게 시집간 妹가 무창에서 죽자 11월에 辭任하고 귀향했다.

 

<還舊居><歸去來辭><飮酒二十首><歸鳥><歸園田居><五柳先生傳>

 

►406(42세) 의희義熙 2년. <歸去來兮辭><歸園田居><歸鳥><命子>

►407(43세) 의희義熙 3년 5월. <祭程氏妹文>

►408(44세) 의희義熙 4년 6월. 집에 불이나 선중船中에서 잠시 살았다. 9월경 南村으로 이사.

<讀山海經><戊申歲六月中過火><移居>

 

►409(45세) 의희義熙 5년. <和劉紫桑><酬劉紫桑><己酉歲九月九日>

►410(46세) 의희義熙 6년. 유유劉裕가 北伐하야 南燕을 滅하다.

<庚戌歲九月中於西田穫早稻>

 

►411(47세) 南村으로 이사[408(44세)와 다르다]

<移居><祭從弟敬遠文><與殷晋安別><雜詩>

 

►412(48세) <與殷晉安別>

►413(49세) 저작랑著作郞으로 부름을 받았으나 나가지 않았다.

<五月旦作和戴主簿><形影神(50세 전후로 추정)>

 

►415(51세) <與子儼等疏>

►416(52세) 의희義熙 13년. 유유劉裕가 北伐. 낙양을 함락시키다.

안연지顔延之가 강주자사 유류劉柳의 後軍工曹가 되어 심양에서 살면서 자주 왕래하다.

<示周續之祖企謝景夷三郞><丙辰歲八月中於下潠田舍穫>

 

►417(53세) <증양장사贈羊長史>

►418(54세) 저작좌랑著作佐郞으로 부름을 받았으나 나가지 않았다.

유유劉裕가 安帝를 죽이고 공제恭帝를 세우다.

<怨詩楚調龐主簿鄧治中><歲暮和張常侍><桃花源記?>

 

►419(55세) 저작랑著作郞으로 불리었으나 辭退[위 내용과 다르다]

►420(56세) 송宋 무제武帝 영초英初 원년 6월.

유유劉裕가 진晉 공제恭帝를 유폐幽閉 하고 帝位를 찬탈하고 국호를 송宋이라 하다.

<續史述九章>(추정)

 

►421(57세) 영초英初 2년. 공제恭帝가 유유劉裕에게 죽임을 당하다.

<遊斜川>[이것도 401(37세)와 다르다] <詠三郞><述酒><詠荊軻><於王撫軍座送客>

 

►422(58세) 유유劉裕가 67세로 죽다.

►423(59세) <정령停靈(추정)>

►424(60세) 문제文帝 원가元嘉 원년.

5월에 서이지徐羡之 등이 少帝를 廢하고 문제文帝를 세우다. 6월에 少帝를 죽이다.

<답방참군答龐參軍> 안연지顔延之와 再會.

 

►426(62세) 원가元嘉 3년. 가난과 질병으로 고생하다.

강주자사江州刺史 단도제檀道濟가 찾아와서 출사권유를 권하며 쌀과 고기를 주었으나 거절하고 받지 않다.

<유회이작有會而作 느낀바가 있어 짓다.>

 

►427(63세) 원가元嘉 4년 11월. 병으로 심양潯陽 시상紫桑에서 서거逝去.

이에 앞서 <만가시輓歌詩 나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자제문自祭文 나의 제문>을 짓다

안연지顔延之가 <도징사지뢰陶徴士之誄>를 짓다.

'漢詩 > 도연명陶淵明' 카테고리의 다른 글

4言詩 1 정운停雲  (0) 2025.02.09
<도연명집陶淵明集> 목차  (0) 2025.02.09
도연명의 삶  (1) 2025.02.09
<도연명집陶淵明集>과 판본  (0) 2025.02.09
도연명陶淵明의 詩와 思想  (0)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