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韓詩/매월당집梅月堂集

매월당 시집 제5권 10-6

매월당 시집 제510-6

10 화초花草

6 미국美菊 아름다운 국화 2

 

1

중방연처독무화衆芳姸處獨無華 많은 꽃 고울 적엔 홀로 피지 않다가

만목최시시토파萬木摧時始吐葩 온갖 나무 꺾일 때 비로소 꽃을 토해내네

일종정회인불식一種情懷人不識 한 가지 심정을 아무도 알지 못하고

소매령락혜분나小梅零落蕙紛拏 작은 매화 시들고 난초는 뒤얽혀 붙잡았네

 

►토파吐葩 꽃이 피다. 꽃 모양의 도안, 장식. ‘꽃 파葩’

►정회情懷 생각하는 정과 회포懷抱.

►‘풀 이름 혜蕙’ 혜초蕙草(콩과의 두해살이풀) 혜란蕙蘭(난초의 하나) 향기香氣롭다

►분나紛拏 어수선하고 소란騷亂스러움.

 

많은 꽃들 아름다운 곳에 홀로 화려하지 않고

많은 나무들 꺾일 때에 비로소 꽃을 드러내네.

한 번 심어 정취를 품어도 아는 사람들 없지만

작은 매화 떨어지니 혜초 어지러이 뒤섞이네.

 

2

화퇴청향야가인花褪淸香也可人 꽃은 바랐어도 맑은 향기 사람을 즐겁게 하고

추풍로후갱정신秋風老後更精神 가을바람 매서운 후에 정신 들게 하네

락영감입삼려찬落英堪入三閭餐 떨어진 꽃은 굴원의 저녁밥에 들일만하고

적막한자불차춘寂寞寒姿不借春 적막하게 차가운 자태 봄을 빌리지 않네

 

►삼려찬三閭餐 삼려찬국三閭餐菊 초楚의 삼려대부三閭大夫 굴원屈原을 이른다.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아침에는 목란木蘭 위의 이슬을 마시고 저녁에는 국화꽃을 먹는다.”고 했다.

 

꽃은 바래도 맑은 향기를 사람에게 허락하고

가을바람에 쇠약한 뒤에도 정신은 계속되네.

떨어진 꽃부리는 굴원의 식사로 들일 수 있고

고요하니 쓸쓸한 풍취로도 봄을 빌리지 않네.

'韓詩 > 매월당집梅月堂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월당 시집 제5권 10-8  (0) 2025.03.12
매월당 시집 제5권 10-7  (0) 2025.03.12
매월당 시집 제5권 10-5  (0) 2025.03.12
매월당 시집 제5권 10-4  (0) 2025.03.12
매월당 시집 제5권 10-3  (0)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