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哲學/中國哲學

공자의 그 밖의 제자들

35 공손룡公孫龍(BC498-?)

 

초楚나라(또는 위衛)사람. 孔子의 제자로 공자보다 53년 연하이고 자는 자석子石이다.

송나라 眞宗 대중상부大中祥符 2년(1009) 지강후枝江侯에 추봉되었다.

 

 

36 염계冉季(BC498-?)

 

노나라 도陶사람으로 성은 염冉이고 이름은 계季, 자는 자산子産이다.

孔門72賢 중 가장 어린 제자로 알려져 있는데

<사기 중니제자열전>에는 공자보다 53세 어렸다고 하였고

<공자가어>에는 63세 어렸다고 한다.

 

일찍이 문상汶上(지금의 산동성 濟寧시 원상현) 지역의 목牧(지방장관)을 지냈고 증씨曾氏와 결혼했다.

아들로 염목冉穆과 염화冉和가 있다.

 

현자로서 공자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당나라 開元 27년인 739년에 ‘제성후諸城侯’에 추봉되었고

명나라 가정嘉靖 9년인 1530년에 ‘先賢冉子’로 명칭이 바뀌었다.

 

 

37 공조구자公祖句玆(?-?) 공조자公祖兹

 

1. 공조 씨의 시조

 

노나라 침구寝丘 사람인 공조구자는 성이 공조公祖 이름이 구자句玆이다.

<공자가어>에는 이름이 자茲, 자가 자지子之라 했다.

 

집안이나 나이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지만 공조라는 성은 멀리 전설시대 황제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공조구자는 공조 성씨의 실질적인 시조이다.

 

공조씨는 황제의 원비元妃 서릉씨西陵氏의 장자 현효(소호씨)의 후예로 전한다.

<史記 三代世表> 서문에 따르면 황제 이후 西周에 이르는 그 가문의 世系는 다음과 같다.

 

황제 → 현효 → 교극 → 제곡 → 후직(주의 시조) → 부줄 → 국 → 공유 → 경절 → 황복 → 차불 →

훼유 → 공비 → 고어 → 아어 → 공조루 → 주태왕(고공단보) → 주왕 계(계력) → 주문왕(희창) → 주무왕(희발)

 

이에 따르면 공조씨는 희씨 성의 주나라 왕실의 3세조가 된다.

문자 기록으로 역사서에 남은 대표적인 인물이 공조구자이다.

 

2. 예법과 음악을 중시하다

 

孔門72賢 중 한 명인 공조구자는 ‘예법과 음악’을 공부의 주요한 목표로 삼았던 인물이다.

이는 송나라 고종을 비롯하여 후대인들이 그의 언행을 높이 평가한 데서도 확인된다.

이런 평가들을 종합해보면 공조구자는 단정한 외모와 정도에 맞는 언어를 구사하면서 자신에게 상당히 엄격했던 것으로 보인다.

 

동한 때 이미 공자의 사당에 함께 배향되었고

당나라 때 기사백期思伯에 봉해졌다.

송나라 때에는 즉묵후即墨侯로 봉해지고

명나라 때에는 先贤公祖子로 추증되었다.

 

 

38 진조秦祖(?-?)

 

진조는 진秦나라 상규上邽(지금의 간쑤성 톈수이天水시) 사람으로 자는 자南이다.

후한 말의 경학자 정현에 따르면 산시陜西 西安府 사람이라고도 한다.

 

孔門72賢 중 한 사람이다.

공자의 제자 중 진나라 출신은 세 사람으로 양사적, 석작촉, 진조였다.

진조는 성이 진秦으로 그의 고향은 黃河와 위수渭水 일대인 진나라 경내에 있었다.

당시 진나라는 중원에서 가장 먼 서쪽에 있던 곳이기에 그가 공자 문하에서 학습할 때 언어와 문자의 장애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그는 육예에 정통하였다.

 

►육예六藝 예禮, 악樂, 사射(활쏘기), 어御(기마술), 서書, 수數

 

그는 현자로 인정을 받아 東漢(후한) 永平 15년(72)에 공자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당나라 開元 27년(739)에 ‘소양백少梁伯’에 추봉되었고

송나라 大中祥符 2년(1009)에 다시 ‘견성후鄄城侯’로 추봉되었다.

명나라 가정嘉靖 9년(1530)에 ‘先賢’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또 진주秦州(지금의 간쑤성 톈수이시 친저우구) 문묘文廟에 진조사秦祖祠가 있다.

 

 

39 안고顔高(BC501?-?) 안산顏產, 안각顏刻

 

1. 생애

 

노나라 조주도曹州陶(지금의 산동성 荷澤시 定陶縣) 사람으로 안산顏產, 안각顏刻으로도 불린다.

자는 자교子驕라 했다.

 

공자가 광匡 땅에서 곤경에 처했을 때 그리고 이후 위衛나라에 갔을 때 그를 수행했다.

위나라에서 위 영공의 부인 남자가 공자와 함께 수레를 타고 시장을 지나가게 되었는데 그때 안고가 수레를 몰았다고 한다.

 

孔門72賢 가운데 한 사람으로 <공자가어>에는 공자보다 50년 연하로 기록되어 있다.

아들로 안이顔異가 있는데 그도 공자의 제자이다.

 

2. 후대의 추앙

 

당나라 開元 27년인 739년에 낭야백琅琊伯으로 추봉되었고

송나라 大中祥符 2년인 1009년에는 뇌택후雷澤侯로 봉해졌다.

명나라 가정嘉請 9년인 1530년에는 先賢顔子로 바뀌어 봉해졌다.

 

 

40 양사적壤駟赤(?-?)

 

진秦나라 상규上邽(지금의 간쑤성 톈수이天水시) 출신이다.

성이 양사壤駟이고 이름은 적赤, 자는 자도子徒 또는 자종子從으로 불린다.

孔門72賢 중 한 사람으로 <詩>와 <書>에 뛰어났다.

 

양사壤駟 성姓의 시조인데 나중에 후손들이 성을 양壤으로 바꾸었다.

석작촉, 진조와 더불어 시호諡號를 농상유학현隴上儒學賢이라 불리며 공자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시호諡號 왕이나 사대부들이 죽은 후에 그들의 공덕을 기려 추증하는 호號이다.

 

당나라 開元 27년인 739년에 북징백北徵伯으로 추봉되었고,

송나라 大中祥符 2년인 1009년에 상규후上邽侯로 추봉되었다.

명나라 가정嘉靖 9년인 1216년에 先賢壤子로 명칭이 바뀌었다.

청나라에서 다시 양사자壤駟子로 고쳐 불렀다.

 

 

41 상택商澤(?-?)

 

孔門72賢으로 노魯나라 사람이고 자는 자수子秀, 자계子季이다.

기록에 따르면 육적六籍 즉 육경을 섭렵하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았다고 한다.

►육경 <詩經><書經><禮記><樂記><易經><春秋>

 

당나라 현종 開元 27년인 739년 수양후睢陽侯에 봉해졌고,

송나라 진종 大中祥符 2년인 1009년에는 추평후鄒平侯에 추봉되었다.

명나라 嘉靖 9년인 1530년에는 先賢商子로 바뀌어 불렸다.

 

문묘에 위패가 모셔져 제사를 받고 있다.

명나라 때 곽자장(1543~1618)이 편찬한 <聖門人物志>에 그의 자태와 학식을 찬양하는 시가 실려 있다.

 

 

42 석작촉石作蜀(BC519?-BC479?)

 

1. 지역 문화와 교육사업에 공헌하다

 

진秦나라 기현冀縣(지금의 간쑤성 天水시 甘谷현) 출신으로 성이 石作이고 이름이 촉蜀이다.

자는 子明이라 했고 호는 卓子이다.

 

어려서부터 원대한 뜻을 품고 만리 길을 마다하지 않고 공자를 찾아와 그의 제자가 되었다.

 

공자로부터 배운 다음 고향으로 돌아가 유학과 西周의 문화를 전파하여 지역 백성들을 교화하고 풍속을 바꾸는 데 힘썼다.

지역의 문화와 교육 사업에 중대한 공헌을 하여 후대 사람들로부터 ‘石夫子’라는 존칭으로 불렸다.

 

孔門72賢 중 한 사람으로 분류하지만 그의 생애에 대한 이야기와 저술 등은 사라지고 남아 있지 않다.

 

당나라 開元 27년인 739년에 후읍백郈邑伯에 봉해졌고,

송나라 진종 大中祥符 2년인 1009년에는 성기후成紀侯에 추봉되었다.

명나라 가정嘉靖 9년인 1530년에는 先賢石子로 호칭이 바뀌었다.

 

2. 관련 유적

 

그의 고향인 톈수이시 간구현은 중국 제일의 현이란 별명이 있는데 이는 석작촉 때문이다.

원래 그의 무덤과 사당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훼손되고 없다.

 

그의 출생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톈수이시 간구현이라는 것까지는 이견이 없으나

구체적인 장소를 두고 石家大山, 十里鋪, 石家窯 세 곳이 각자 석작촉의 고향이라고 주장해왔다.

지금은 대체로 십리포를 출생지로 인정한다.

 

간구현은 공자의 수제자들 중에서 가장 먼 지역에서 공자를 찾아간 석작촉을 기리기 위해

비석과 조각상을 세우고 탄신 기념식을 거행하는 등 각종 행사를 거행하고 있다.

 

 

43 임부제任不齊(BC545-BC468)

 

1. 시와 예에 정통했던 학자

 

동주東周 영왕 27년인 기원전 545년 3월에 태어났다.

자는 선選 또는 자선子選이다.

 

孔門72賢 가운데 한 사람으로 육예에 능했다.

시와 예에 재능이 있었을 뿐 아니라 즐기는 데 정통했다.

 

공자 사후에 삼년상을 치르고 고향인 도향桃鄕(지금의 山東성 濟寧시 任城區)으로 돌아갔다.

초나라 왕이 그가 현명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상경으로 초빙하고 싶어 했으나 거절했다.

 

집에서 시를 지어 전하고 경전을 즐겼으며 공자의 말을 서술하여 <일어逸語> 3편을 지었다.

동주 원왕 8년인 기원전 468년 9월에 사망했다.

고향인 도향에 묻혔고 묘는 제녕성齊寧城 북쪽의 방갈포房葛鋪에 있다.

 

저서로 <임자유서任子遺書> 12편(삼재三才 위학爲學 충효忠孝 언행言行

치도治道 진현(進賢 형상刑賞 예교禮敎 악훈樂訓 연거燕居 문답問答상·하편)이 있다.

 

2. 후대의 추앙

 

기록에 따르면 임부제는 시간을 매우 아꼈다.

송 고종은 그를 칭송하면서 학문을 탐구하며 시간을 소중히 여기고 노력하면 진보한다고 했다.

 

당 현종은 開元 27년인 739년에 그를 임성백任城伯으로 추봉했고

송 진종도 대중상부大中祥符 2년인 1009년에 당양후當陽侯로 추봉했다.

명나라 때는 그를 先賢任子로 고쳐 불렀다.

 

 

44 공량유公良儒(?-?) 양유襄儒

 

1. 진나라 귀족의 자제 출신

 

진陳나라 사람으로 성은 규媯, 씨는 공량씨公良氏이며, 이름은 유孺, 양유襄儒라고도 불린다.

자는 子正 또는 子幼이고 孔門72賢 중 한 명이다.

 

진나라 公族(귀족)의 자제로서 키가 크고 용기와 힘이 남달랐다고 한다.

 

벼슬은 송나라 진종 大中祥符 2년인 1009년에 모평후牟平侯에 추봉되었다.

 

공량유에 관한 기록은 <논어>를 비롯하여 <사기 공자세가>와 <중니제자열전> <공자가어> 등이 있다.

그의 초상화가 타이베이 고궁박물관에 한 폭 남아서 전한다.

 

2. 관련 일화

 

그에 대한 일화로 포蒲(지금의 山西성 융지永济현) 지역을 지나다 겪은 일이 있다.

그 당시 상황을 <논어>를 중심으로 재구성하면 아래와 같다.

 

공자가 열국列國을 주유할 때 항상 집안의 수레 다섯 대를 끌고 따랐다.

공자가 진나라를 떠나 포 땅을 지나갈 때 마침 공숙씨公叔氏가 포를 거점으로 위衛나라를 배반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포 사람들이 공자 일행이 가는 길을 가로막았다.

수레 다섯 대를 이끌고 공자를 수행하고 있었던 공량유가 공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지난번에 선생님을 따라 광匡에 갔을 때도 이런 수난을 겪었습니다.(송나라 환퇴의 난을 가리킴)

지금 다시 이런 곤욕을 치르고 있으니 이는 천명인 듯합니다.

저는 선생님과 함께 다시 고난을 겪기보다는 용감히 싸우다 죽겠습니다.”

 

공량유가 격렬히 맞서자 포 사람들이 두려워하며 공자에게 말했다.

“위나라로 가지 않는다면 보내주겠소.”

 

공자는 포 사람들에게 위나라로 가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고 길을 나섰다.

그러나 공자는 약속을 어기고 위나라로 갔다.

 

그러자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물었다.

“약속을 어기십니까?”

 

공자가 말하였다.

“강요로 맺어진 약속은 신도 인정하시지 않을 것이다.”

 

►환퇴의 난

환퇴桓魋는 춘추시대 송나라의 大夫인데 공자가 송나라에 가서 제자들과 큰 나무 아래에서 예를 익히고 있었는데 평소에 공자에게 앙심을 품고 있던 환퇴가 공자를 죽이려고 그 나무를 뽑았다고 한다.

환퇴가 왜 공자에게 앙심을 품었는가에 대해서는 <예기禮記>에 나오는 이야기로 짐작할 수 있다.

 

환퇴는 자기가 죽은 후에 쓰기 위해 화려한 석관을 만들고 있었는데 3년이 지나도록 완성하지 못할 정도로 화려했다.

이 이야기를 들은 공자가 “그렇게 사치하고 낭비할 바에야 그냥 죽어 빨리 썩어버리는 게 더 낫지 않는가?” 라고 환퇴에게 독설을 날리고

이 말을 들은 환퇴는 공자에게 앙심을 품게 되고 송나라에서 점점 공자의 세력이 커지는 것에 위협을 느껴 공자를 제거하기로 마음먹고 일을 꾸민다.

 

 

45 후처後處(?-?)

 

후처는 춘추시대 말기 제齊나라 사람으로 성은 후後이고 이름은 처處이며 자는 자리子里이다.

<공자가어>에서는 성명이 석처石處, 자는 리지里之라고 기재되었다.

 

孔門72賢 중 한 사람의 현자로서 공자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당나라 開元 27년(739)에 ‘영구백營丘伯’에 추봉되었고

송나라 大中祥符 2년(1009)에 다시 ‘교동후胶東侯’로 추봉되었다.

明나라 가정嘉靖 9년(1530)에 ‘先賢後子’로 명칭이 바뀌었다.

 

 

46 진염秦冉(?-?)

 

채蔡나라 사람으로 자는 개開이다.

孔門72賢 중 한 사람이다.

 

송나라 眞宗 大中祥符 2년(1009) 신식후新息侯에 추봉되었다.

 

 

47 공하수公夏首(?-?)

 

노魯나라 사람. 성은 공하公夏고 이름은 首며 자는 승乘이다.

孔門72賢 중 한 명으로 <孔子家語>에는 이름이 공하수公夏守, 자는 자승子乘으로 나온다.

 

송나라 眞宗 大中祥符 2년(1009) 거평후鉅平侯에 추봉되었다.

그의 초상화가 타이베이 고궁박물원에 소장되어 있다.

 

 

48 해용잠奚容蒧(?-?)

 

위衛나라 사람으로 孔門72賢 중 한 명이다.

성은 해奚이고 이름은 용잠容蒧이며 자는 자석子晳 또는 자해子楷, 자철子哲이다.

 

송나라 眞宗 大中祥符 2년(1009) 제양후濟陽侯에 추봉되었다.

 

 

49 공견정公肩定(公堅定 ?-?)

 

노나라 출신인데 진晉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성이 公이고 이름이 견정肩定. 자는 子中이고 孔門72賢 중 한 명이다.

 

송나라 진종 大中祥符 2년(1009)에 양보후梁父侯에 추봉되었고

明나라 세종 가정嘉靖 때는 先賢公子라 불리었다.

 

 

<그밖의 제자들>

안조顔祖는 자가 양襄이다.

교선鄡單은 字가 자가子家이다.

구정강句井疆. 한보흑罕父黑은 자가 자색子索이다.

진상秦商은 자가 자비子丕이다.

신당申黨은 자가 周이다.

 

안지복顔之僕은 자가 숙叔이다.

영기榮旂는 자가 자기子祈이다.

현성懸成은 자가 자기子祺이다.

좌인영左人郢은 자가 行이다.

연급燕伋은 자가 사思이다.

 

정국鄭國은 자가 자도子徒이다.

진비秦非는 자가 자지子之이다.

시지상施之常은 자가 자항子恒이다.

안쾌顔噲는 자가 자성子聲이다.

보숙승步叔乘은 자가 자거子車이다.

 

원항적原亢籍. 악해樂欬는 자가 자성子聲이다.

염결廉絜은 자가 용庸이다.

숙중회叔仲會는 자가 자기子期이다.

안하顔何는 자가 염冉이다.

적흑狄黑은 자가 석晳이다.

 

방손邦巽은 자가 자렴子斂이다.

공충孔忠. 공서여여公西輿如는 자가 자상子上이다.

공서겸公西葴은 자가 자상子上이다.

 

 

<사마천의 논평>

태사공은 이렇게 말한다.

 

“학자들은 70여 문도들에 대해 많은 말을 하지만 칭찬이 실제보다 지나치거나 비방이 진실을 손상시키기도 한다.

모두 전체 모습을 보지 않아서이다.

제자들의 사적을 말하자면 공씨의 고문(논어 등)이 비교적 가까울 것이다.

나는 제자의 이름과 성 그리고 관련된 글들을

<논어>에서 취하고 제자들의 문답을 함께 순서대로 엮되 의심나는 것은 남겨 두었다.”/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