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양전梁鱣(BC522?-?)
1. 공자 문하에서 가장 오래 유학한 제자
춘추말기 제나라 千乘(지금의 山東성 濟南) 사람으로 자는 숙어叔魚이다.
孔門72賢 중 한 사람으로 공자보다 29세 어렸다.
공자 문하에서 가장 오랫동안 유학했고 만년에 노나라 곡부曲阜(지금의 산동성 濟寧)로 이주했다.
그는 나이 30세가 될 때까지 아들이 없어서 아내를 내쫓으려고 했는데
상구商瞿가 만류하면서 좀 늦게라도 얻을 수 있으니 기다리라고 충고했다.
과연 2년 후에 아들을 얻었다.
2. 후대의 추앙
당나라 開元 27년인 739년에 ‘양백梁伯’으로 추증되었고
송나라 대중상부大中祥符 2년인 1009년에 다시 ‘千乘侯’로 추증되고
명나라 가정嘉靖 9년인 1530년에 ‘先賢梁子’로 명칭이 바꿨다.
31 안행顔幸(BC503?-?)
노魯나라 사람으로 일명 신辛이라고도 하며 자는 자류子柳고 孔門72賢 중 한 사람이다.
<예기 단궁하檀弓下>에 나오는 안류顔柳다.
송나라 진종眞宗 대중상부大中祥符 2년(1009) 양곡후陽谷侯에 추봉되었다.
32 염유冉儒(BC501?-?)
노나라 도陶(지금의 산동성 菏澤시 定陶) 사람으로 성은 염冉이고 이름은 유儒이다.
염유冉孺라고도 하며 자는 자노子鲁, 자증子曾이다.
孔門72賢 중 한 사람이며 아버지는 역시 공자의 제자인 염구이며 차남으로 태어났다.
<사기 중니제자열전>에는 공자보다 50세 어렸다고 한다.
배우기에 민첩했고 부지런히 질문했다.
현자로서 공자의 사당에 배향되었고 당나라 開元 27년인 739년에 ‘고백郜伯’에 추봉되었고
송나라 대중상부大中祥符 2년인 1009년에 다시 ‘임기후臨沂侯’로 추봉되었다.
명나라 가정嘉靖 9년인 1530년에 ‘先賢’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아들로 염희冉熙가 있고 염희는 염사석冉四錫을 낳았고
염사석은 염제원冉際遠을 낳았는데 염제원은 진시황의 분서갱유 때에 죽었다.
33 조휼曹恤(BC501-?)
조휼은 춘추시대 말기 노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순子循이다.
周나라의 후예인 그는 주 무왕이 동생 진탁振鐸을 조曹나라에 봉한 뒤로
그 후예들이 國姓을 조曹라 하면서 그도 조씨가 되었다.
<사기 중니제자열전>에 의하면 조휼은 공자가 50세 되는 해인 노나라 定公 9년(BC501)에 태어났다.
상채현上蔡縣 주호진洙湖鎮 출신으로 孔門72賢 중 한 사람이다.
사마천은 그를 “바른 도리를 좋아하였으며 의리가 강했다.”라고 평하였다.
성품이 말수가 적고 책과 음악을 좋아했다.
부귀하게 살았으나 재물에 인색하지 않아 백성들로부터 ‘조백曹伯’이라 불리며 존숭 받았다.
만년에 사직하고 河南성과 湖北성 경계의 洪河 강변에서 기거하였는데 ‘조채曹寨’라는 지명이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유명한 <홍루몽>의 저자 조설근이 그의 후예이다.
당나라 때 조백曹伯에 봉해졌으며
송나라 때는 상채후上蔡侯로 추봉되었다.
34 백건伯虔(BC501-?)
백건은 노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석子析 또는 자석子晳이다.
孔門72賢 중 한 사람으로 <사기>에는 공자보다 50살 아래로 나오고 <공자가어>에는 60살 아래로 나온다.
초나라 대부였던 두백비斗伯比의 후손으로 배우기를 좋아했으며 유자의 기풍과 행동으로 이름을 남겼다.
훗날 당 현종 開元 27년인 739년에 추백으로 봉해졌고
송 진종 대중상부大中祥符 2년인 1009년에는 목양후沐陽侯에 봉해졌으며
명 세종 가정嘉靖 9년인 1530년에는 先賢伯子로 바뀌었다.
'哲學 > 中國哲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의 생애와 사상 (0) | 2023.06.24 |
---|---|
공자의 그 밖의 제자들 (0) | 2023.06.23 |
공자의 제자들 27 유약有若 28 공서적公西赤 29 무마시巫馬施 (0) | 2023.06.22 |
공자의 제자들 24 공백료公伯寮 25 사마경司馬耕 26 번수樊須 (0) | 2023.06.22 |
공자의 제자들 23 칠조개漆雕開 (0) | 202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