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韓詩/매월당집梅月堂集

매월당 시집 제4권 3-17

매월당 시집 제4권 3-17

3 우설雨雪 비와 눈

 

17 설야雪夜 눈 오는 밤

 

분분비설쇄한첨紛紛飛雪洒寒簷 분분하게 나는 눈이 찬 처마에 뿌리는데

월색훈창영세렴月色薰窓映細簾 달빛이 창에 흐릿하게 가는 발에 비친다.

지로화소항자난地爐火燒炕子暖 땅 화로[地爐]에 불타서 구들[炕子]이 따뜻한데

옹금고와의염염擁衾高臥意懕懕 이불 두르고 높이 누워 마음 편안하다.

 

 

►‘마를 항/열릴 항, 마를 강炕’ 마르다. 굽다

►옹금擁衾 이불로 몸을 휩싸 덮음.

 

►염염懕懕 편안한 모양. 병을 앓는 모양

‘편안할 염懕’ 편안便安하다. 넉넉하다. 만족滿足하다

 

초하성중작初夏省中作/교산蛟山 허균許筠(1569-1618)

 

전원무몰기시귀田園蕪沒幾時歸 전원이 묵었는데 언제 돌아가려나?

두백인간관념미頭白人間官念微 흰 머리의 인간 벼슬 생각 적어지네

적막상림춘사진寂寞上林春事盡 적막한 상림원에 봄빛이 다하려 하기에

갱간소우습장미更看疎雨濕薔薇 다시 성긴 비에 젖은 장미 보노라

 

염염주수우래초懕懕晝睡雨來初 몽롱한 낮잠 비가 막 내리는데

일침훈풍전각여一枕薰風殿閣餘 머리 맡의 따뜻한 바람 전각에 남아도네

소리막최상오반小吏莫催嘗午飯 서리여, 점심밥 어서 먹으라 재촉을 마오

몽중방식무창어夢中方食武昌魚 꿈속에 한창 무창 물고기 먹고 있는데.

 

 

●설야雪夜 눈 오는 밤/철선鐵船 혜즙惠楫(1791-1858)禪師

 

일수한등독불경一穗寒燈讀佛經 불꽃하나 펄렁이는 등불아래 불경 읽다

부지야설만공정不知夜雪滿空庭 밤새 눈이 마당가득 내린 것을 난 몰랐네

심산중목도무뢰深山衆木都無籟 깊은 산속 뭇나무들 하나같이 고요한데

시유첨빙타석상時有檐氷墮石床 이따금씩 처마 끝의 고드름만 섬돌 위로 떨어지네

 

 

●설야雪夜/김광균(1914-1993)

 

​어느 머언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에

이 한밤 소리 없이 흩날리느뇨

 

처마 끝에 호롱불 야위어가며

서글픈 옛 자취인 양 흰 눈이 내려

 

하이얀 입김 절로 가슴이 메어

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

 

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내리면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

 

희미한 눈발

이는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이기에

싸늘한 추회追悔 이리 가쁘게 설레이느뇨.

 

한 줄기 빛도 향기도 없이

호올로 차단한 의상을 하고

흰 눈은 내려 내려서 쌓여

내 슬픔 그 위에 고이 서리다.

 

 

●설야雪夜 눈 내리는 밤

/설정雪汀 조문수曺文秀(1590-1647 선조23~인조25)

 

풍설고촌야風雪孤村夜 눈보라 치는 외딴 마을에 밤이 깃드니

시비인불개柴扉人不開 사립문 여는 사람 없어라

수련다병와誰憐多病卧 병들어 누운 이내 몸 누가 가련해하랴

갱겁소한래更㥘小寒來 소한이 오는 게 더욱 두렵구나

 

등암화생훈燈暗花生暈 등불은 어두워져라 불꽃이 가물거리고

로잔화은회爐殘火隱灰 화롯불은 쇠잔해져라 잔불도 재에 숨어드네

흥래지유처興來知有處 이 흥취 어디서 오는지 알겠노니

창외방신매牕外放新梅 창밖에 새로 핀 매화일세/<설정시집雪汀詩集>

'韓詩 > 매월당집梅月堂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월당 시집 제4권 3-19  (1) 2024.01.27
매월당 시집 제4권 3-18  (1) 2024.01.27
매월당 시집 제4권 3-16  (1) 2024.01.26
매월당 시집 제4권 3-15  (0) 2024.01.26
매월당 시집 제4권 3-14  (2)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