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韓詩/매월당집梅月堂集

매월당 시집 제4권 3-26

매월당 시집 제43-26

3 우설雨雪 비와 눈

 

26 야설夜雪 밤 눈

 

작모음운흑昨暮陰雲黑 어제 늦게 흐린 구름 컴컴하더니

금소서설차今宵瑞雪遮 오늘밤에 상서로운 눈 퍼붓는다.

복송경애애覆松輕藹藹 솔 덮어 가벼운 것 수북하더니

타죽세소소打竹細蕭蕭 대 때리면 가늘게 우수수한다.

 

전촉성시아剪燭成詩雅 촛불 심지 자르며 아담한 시 이루었고

의상입몽요欹床入夢饒 기울어진 평상도 꿈에 들기는 넉넉하다.

파창비력쇄破窓飛礫碎 깨어진 창엔 나는 조약돌 부서지고

괴벽산주표壞壁散珠飄 파벽[壞壁]엔 흩어진 진주 휘날린다.

 

예월훈렴백翳月薰簾白 가린 달 발의 흰 것 통하고

미풍교장요微風攪帳搖 미풍微風은 휘장을 흔들어댄다.

고병등도단靠屏燈熖短 병풍에 기대면 등잔 불꽃 짧고

삽관수침소插鑵水沈燒 통에 꽂으면 물에 잠겨서도 탄다.

 

일완융화명一碗融和茗 한 그릇 녹여서 차에 섞으면

전래경적요煎來境寂寥 달리는 데 지경이 적요寂寥해진다.

 

 

서설瑞雪 상서祥瑞로운 눈. 복 눈.

설날에 오는 눈을 상징적으로 설밥이라 했다.

 

옛사람들은 정월 초하루에 눈이 내리면 풍년이 들 징조라 하여 길조吉兆로 여겼다.

그래서 이를 한자말로 서설瑞雪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서설은 꼭 설날 내린 눈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설날 포근하게 내리는 눈은 설밥이라고 한다.

서설이 고고하고 깨끗한 느낌이라면 설밥은 친근하고 풍성한 느낌을 주는 말이다.

말이나 글의 분위기에 따라서 골라 쓸 수 있는 말들이다.

 

애애藹藹 애울藹鬱 우거질 애’ (달빛이)희미稀微模樣.

화기가)부드럽고 포근하여 平和로운 氣運이 있는 模樣.

 

성하고 많은 모양. 초목이 우거진 모양.

애애왕다길인藹藹王多吉人 임금님에게 좋은 사람들 애애하시니

유군자명維君子命 군자들에게 명하사

미우서인媚于庶人 백성들을 사랑하게 하시도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권아卷阿>

 

애애화예란藹藹花蘂亂 우거지듯 한 꽃술이 어지럽고

비비봉접다飛飛蜂蝶多 이리저리 나는 벌 나비 많구나.

/<두보杜甫 絶句 6>

 

화기和氣 있는 모양.

향기로운 모양/<초사楚辭 구탄九歎>

 

매창소월梅窓素月 매화 창가에 뜬 달/성삼문成三問(1418-1456)

 

온온인사옥溫溫人似玉 옥처럼 따뜻한 사람 같고

애애화여설藹藹花如雪 꽃잎 우거짐 마치 눈인 듯

상간량불언相看兩不言 마주보며 서로 말 없어도

조이청천월照以靑天月 푸른 하늘엔 달빛 가득

 

선조대왕 어필 <제작 1567-1608>

공정득풍수空庭得楓樹 빈 뜨락에 단풍나무

애애벽령롱藹藹碧玲瓏 무성하게 우거져 영롱한 모습이로다.

청녀시신수靑女試新手 청녀靑女를 시험해보자 하니

반림생눈홍半林生嫩紅 숲에서는 어린 붉은 싹이 자라도다.

 

소소蕭蕭

바람이나 빗소리가 쓸쓸함.

풍소소혜역수한風蕭蕭兮易水寒 바람은 쓸쓸히 불고 역수 차가워라,

장사일거혜불부환壯士一去兮不復還 장사도 이 물처럼 한 번 가면 다시 돌아올 수 없구나.

/<사기史記 자객열전刺客列傳 형가荊軻>

 

황촌고목소기연荒村古木嘯飢鳶 거친 마을 고목에서 주린 솔개가 울고

노적소소박모천蘆荻蕭蕭薄暮天 갈대 바람 쓸쓸히 해는 저문다.

/<정염등와령망관악登瓦嶺望冠岳>

 

말 울음소리.

소소마명蕭蕭馬鳴 말은 히힝 하며 울고

유유패정悠悠旆旌 깃발은 길게 나부끼도다./<시경詩經 소아小雅 거공車攻>

 

거린린車轔轔 마소소馬蕭蕭 수레소리 덜컹덜컹 말울음 히힝

행인궁전각재요行人弓箭各在腰 출정하는 장정들 저마다 허리에 화살 찼네.

/<두보杜甫 병거행兵車行>

 

어풍루외석양사馭風樓外夕陽斜 어풍루 누각 저쪽으로 석양은 기울어지고

객마소소영로사客馬蕭蕭嶺路賖 나그네의 말은 우는데 고갯길은 멀구나.

/<최형기崔亨基 노중기춘파路中寄春坡>

 

괴벽壞壁 파벽破壁

 

화자유민지회구和子由澠池懷舊/소식蘇軾(1037-1101)

 

인생도처지하사人生到處知何似 인생은 어디를 가나 무엇과 같은지 아는가?

응사비홍답설니應似飛鴻踏雪泥 날아가던 기러기가 눈밭을 밟는 것과 같다네.

니상우연류지조泥上偶然留指爪 눈밭 위에 우연히 발자국을 남겼을 뿐

홍비나부계동서鴻飛那復計東西 기러기가 날아가면 어찌 다시 동서를 알리요?

 

로승이사성신탑老僧已死成新塔 노스님은 이미 죽어 불탑 새로 지어졌고

괴벽무유견구제壞壁無由見舊題 벽은 무너져 옛날 적어 놓은 시 찾을 길 없네.

왕일기구환기부往日崎嶇還記否 지난날 힘들었던 일 아직 기억하는가?

로장인곤건려시路長人困蹇驢嘶 길은 멀고 사람은 지쳤는데 나귀는 절뚝대며 울어 댔었지.

 

향초 훈향초香草. 향내. 교훈敎訓

발 렴()(햇빛 등을 가리는 물건). 주렴珠簾. 주막기(주막의 표지로 세우는 기)

흔들 교흔들다. 어지럽히다. 어지럽다

흔들 요흔들다. 흔들리다. 움직이다

기댈 고기대다. 의지依支하다. 어긋나다

불꽃 도, 불꽃 염불꽃

적요寂寥 적적寂寂하고 쓸쓸함. 적막寂寞.

 

호상즉사湖上卽事 호수에서 즉흥으로 읊다/주대축朱大畜(?-?)

 

상후혼황초霜後渾黃草 서리 온 뒤 온갖 풀들 누렇게 시들고

인희호상도人稀湖上道 호수 가의 길에는 다니는 사람 없네.

요요심사한寥寥心事閒 쓸쓸한 속에서도 내 마음은 한가롭나니

욕공건곤로欲共乾坤老 하늘땅과 함께 늙어가고자 하기 때문이리라.

 

 

●​야설夜雪/정관재靜觀齋 이단상李端相(1628-1669)

 

월은궁성종루지月隱宮城鍾漏遲 달이 숨은 궁궐 성에는 물시계 소리 더디고

만천비설락참차滿天飛雪落參差 하늘 가득 눈이 날리며 들쭉날쭉 떨어지네.

 

 

야설夜雪/백거이白居易(772-846)

 

이아금침랭已訝衾枕冷 이부자리 차가움이 이상하여

부견창호명復見窗戶明 다시 보니 창이 밝네

야심지설중夜深知雪重 밤 깊어지자 눈 많이 내린 줄 아노니

시간절죽성時間折竹聲 대나무 꺾이는 소리 때때로 들리기 때문이네

 

 

●​야설夜雪/東坡 소식蘇軾

 

석천동합죽무풍石泉凍合竹無風 돌 사이 샘물 얼어붙고 대숲엔 바람 없으며

야색침침만경공夜色沈沈萬境空 밤빛은 흐릿하여 온 풍경 보이지 않네.

시향정중한측이試向靜中閑側耳 시험 삼아 조용한 가운데 한가로이 귀를 기울여 보니

격창료란박비충隔窗撩亂撲飛蟲 창 너머에서 요란하게 날벌레 부딪치는 소리 들리네.

'韓詩 > 매월당집梅月堂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월당 시집 제4권 3-28  (2) 2024.01.29
매월당 시집 제4권 3-27  (2) 2024.01.28
매월당 시집 제4권 3-25  (1) 2024.01.28
매월당 시집 제4권 3-24  (1) 2024.01.27
매월당 시집 제4권 3-23  (1) 202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