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韓詩/매월당집梅月堂集

매월당 시집 제4권 3-35

매월당 시집 제4권 3-35

3 우설雨雪 비와 눈

 

35 음청陰晴 흐렸다 갰다 한다

 

종일음청주폐문終日陰晴晝閉門 종일 흐렸다 갰다 하여서 낮에 문을 닫았는데

원봉소우세혼혼遠峯疎雨細昏昏 먼 봉우리 가랑비에 어둑어둑하다.

화연초색격림벽和煙草色隔林碧 연기 섞인 풀빛 수풀 너머에서 푸르고

수석간성당침훤漱石澗聲當枕喧 돌에 부딪는 시내 소리 베개에 닿아 시끄럽다.

 

하지불감위표은何地不堪爲豹隱 어느 땅에 표범처럼 숨어 견디지 못하리

유산심처즉도원有山深處即陶園 산 깊은 곳 있으면 그것이 도원陶園이라네.

소당인정분향좌小堂人靜焚香坐 작은 당堂에 사람 고요한데 향 피우고 앉아서

득구청음사령원得句清吟似嶺猿 시귀詩句 얻어 맑게 읊는 것 고개의 원숭이 같다.

 

►음청陰晴 청음晴陰, 청음淸陰. 흐린 날과 갠 날. 흐림과 막음.

►혼혼昏昏 어두운 模樣. 어리석은 모양. 마음이 흐린 모양.

감차호경무연주堪嗟好景無緣住 이런 좋은 경치에 오래 머물 인연 없어

종일혼혼위구망終日昏昏爲口忙 온 종일 혼혼하게 먹고 살기 바쁘다니

/<김돈시金敦時 등명사燈明寺>

 

►수석漱石 수석침류漱石枕流

‘돌로 양치질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 삼는다’는 뜻으로

말을 잘못해 놓고 그럴 듯하게 꾸며대는 것 또는 이기려고 하는 고집固執이 셈.

 

►도원陶園 진晉의 處士 도잠陶潛의 전원田園

 

거거지향로去去指鄕路 한발 한발 고향 길을 향하며

유유출국문悠悠出國門 유유히 성문을 나서노라

 

리장륜백전離膓輪百轉 떠나는 심정 진정할 길 없어

정루우쌍번征淚雨雙翻 슬픈 눈물 두 뺨에 비 오듯

록수연유중綠樹煙猶重 푸른 나무엔 내 서리고

창애일점돈蒼崖日漸暾 푸른 언덕엔 해가 돋누나

 

환인앵설교喚人鶯舌巧 사람을 부르느라 꾀꼬리 노래 부르고

송객조성훤送客鳥聲喧 손을 전송하느라 새들 지저귄다

원별란심서遠別亂心緖 멀리 이별하니 마음 심란하고

조행여수흔早行餘睡痕 일찍 길 떠나니 잠이 덜 깼구나

 

귀참불가완歸驂不可緩 돌아가는 말 늦출 수 없으니

황초만도원荒草滿陶園 우거진 풀 도원에 가득하네

/동국이상국전집 제6권 89 이규보李奎報(1168-1241)

'韓詩 > 매월당집梅月堂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월당 시집 제4권 4-2  (1) 2024.01.30
매월당 시집 제4권 4-1  (1) 2024.01.30
매월당 시집 제4권 3-34  (1) 2024.01.29
매월당 시집 제4권 3-33  (2) 2024.01.29
매월당 시집 제4권 3-32  (1) 202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