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語錄/벽암록

벽암록 44칙 本則과 着語

벽암록碧巖錄 44칙 화산해타고禾山解打鼓

【本則과 着語】

거舉 거론하다.

 

화산수어운禾山垂語云 화산禾山스님이 법어를 하였다.

습학위지문習學謂之聞 “익히고 배우는 것을 들음[聞]이라 하고

절학위지린絕學謂之鄰 더 배울 것이 없는 것을 (도에) 가까움[鄰]이라 한다.”

 

천하납승도불출天下衲僧跳不出 천하의 납승들이 벗어나지 못한다.

무공철추無孔鐵鎚 구멍 없는 쇠망치로다.

일개철궐자一箇鐵橛子 무쇠말뚝이군.

 

과차이자過此二者 시위진과是為真過 이 두 가지를 초월해야 만이 참된 초월이라고 한다.

정문상구일척안작십마頂門上具一隻眼作什麼 정수리에 외알 눈을 달고서 무엇 하려고?

 

승출문僧出問 어떤 스님이 나와서 물었다.

여하시진과如何是真過 “어떤 것이 참된 초월입니까?

 

도십마道什麼 무슨 말을 하느냐?

일필구하一筆勾下 ×표를 그어버렸다.

유일개철궐자有一箇鐵橛子 한 개의 무쇠말뚝이 있다.

 

산운山云 해타고解打鼓 “(나는) 북을 칠 줄 알지.”

철궐鐵橛 철질려鐵蒺藜 쇠말뚝, 쇠가시다.

확확確確 튼튼하구나.

 

우문又問 여하시진제如何是真諦 “무엇이 참다운 이치[眞諦]입니까?”

도십마道什麼 무슨 말을 하느냐?

량중공안兩重公案 두 겹으로 된 공안이다.

우유일개철궐자又有一箇鐵橛子 또 하나의 무쇠말뚝이 있다.

 

산운山云 해타고解打鼓 “(나는) 북을 칠 줄 알지.”

철궐鐵橛 철질려鐵蒺藜 쇠말뚝, 쇠가시다.

확확確確 튼튼하구나.

 

우문又問

즉심즉불즉불문即心即佛即不問 “마음이 바로 부처라는 것은 묻지 않겠습니다.

여하시비심비불如何是非心非佛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도십마道什麼 무슨 말을 하느냐?

저개구급퇴這箇坵圾堆 삼단부동三段不同 구坵扱堆의 글자의 모양이 서로 다르군.

우일개철질려자又一箇鐵蒺藜子 또 하나의 무쇠말뚝이다.

 

산운山云 해타고解打鼓 “(나는) 북을 칠 줄 알지.”

철궐鐵橛 철질려鐵蒺藜 쇠말뚝, 쇠가시다.

확확確確 튼튼하구나.

 

우문又問 향상인래시여하접向上人來時如何接

“향상인向上人이 찾아오면 어떻게 하시렵니까?”

 

도십마道什麼 무슨 말을 하느냐?

조타제사표악수래야遭他第四杓惡水來也 네 바가지씩이나 더러운 물을 뒤집어썼구나.

우유일개철궐자又有一箇鐵橛子 또 한 개의 무쇠 말뚝이 있다.

 

산운山云 해타고解打鼓 “(나는) 북을 칠 줄 알지.”

철궐鐵橛 철질려鐵蒺藜 쇠말뚝, 쇠가시다.

확확確確 튼튼하다.

차도락재십마처且道落在什麼處 말해보라. 요지가 무어냐?

조도서천모귀동토朝到西天暮歸東土 아침에 서천에 갔다가 저녁에 東土로 되돌아왔다.

 

 

►화산禾山 화산무은禾山無殷(884-960)

오대승五代僧 복주인福州人(今屬福建) 성오씨姓吳氏

 

칠세의설봉진각대사출가七歲依雪峰眞覺大師出家 년만수계年滿受戒

7세에 설봉진각대사에게 의지해 출가했고 나이가 차자 수계했다.

 

유방저균양알구봉도건遊方抵筠陽謁九峰道虔 봉허입실峰許入室

유방하다가 균양筠陽에 다다라 구봉도건을 예알하자 구봉이 입실을 허가했다.

 

초주길주初住吉州(今江西吉安)화산대지원禾山大智院

처음은 길주吉州(지금의 강서 길안) 화산禾山 대지원大智院에 住했고

 

력주양주상광원歷住揚州祥光院 강서취암원江西翠巖院

양주 상광원ㆍ강서ㆍ취암원을 역주歷住했음.

 

상람원부허기실上藍院復虛其室 상람원에서 다시 그 室을 비우고

남당후주명사래왕천화南唐後主命師來往闡化 호징원선사號澄源禪師

南唐後主가 스님에게 명하여 내왕하여 천화闡化하게 하고 호를 징원선사라 했다.

 

건륭원년경신建隆元年庚申3月2日示寂 시법성선사諡法性禪師

건륭建隆 원년 경신 3월 2일에 시적 했음. 시호가 법성선사

/전등록傳燈錄17 석씨통감釋氏通鑑12

 

구봉선사는 인가 후 떠나는 화산에게 게송을 주었다.

장보류보의부수將寶類寶意不殊 보배를 가지고 보배에 견주니 뜻이 다르지 않고

유리선관유리주琉璃線貫琉璃珠 유리 줄로 유리구슬을 꿴다.

내외쌍통무이경內外雙通無異逕 안팎이 다 통해 있어 다른 길이 없나니

울아가원계일주鬱我家園桂一株 우리 집 정원의 한그루인 계수나무를 울창하게 해다오.

 

►습학習學 배워서 익힘. 아직 듣고 배울 것이 남아 있는 차원[有學位]

►절학絕學 폐절廢絕된 학문學問. 학문이나 知識을 必要로 하지 않는 경지境地.

學問을 超越한 境地. 더 이상 듣고 배울 것이 없는 차원[無學位]

 

►린隣 깨달음 직전에 도달한 것.

►일개철궐자一箇鐵橛子 한 개의 쇠막대기

 

‘철궐자鐵橛子’ 철봉鐵棒.

남의 生死에 관계되는 약점을 잡고 사람을 마음대로 다루는 것.

 

유고인지공안喩古人之公案 무용역하취지처야無容易下嘴之處也

고인의 공안은 용이하게 주둥이를 내릴 곳이 없음에 비유함.

 

우지무가내하지사又指無可奈何之事

또 가히 어찌하지 못하는 일을 가리킴/<무진등론無盡燈論>上

 

►진과眞過 묘각과만妙覺果滿

습학習學과 절학絕學을 초월한 경지.

 

승조僧肇 <보장론寶藏論> 관조공유품觀照空有品

부학도자유삼夫學道者有三 대저 도를 배우는 데는 세 가지가 있다.

기일위지진其一謂之眞 첫째는 진이고

기이위지린其二謂之隣 둘째는 린이며

기삼위지문其三謂之聞 셋째는 문이다.

과차이자過此二者 시위진是爲眞 (문과 린의) 두 가지보다 나은 것이 바로 진이다

 

►일필구하一筆勾下 일필로 선을 좍 그어 말살하다.

구句 속작구俗作勾

구句 속자俗字는 구勾로 지음.

 

표시산제혹절취도거表示刪除或截取塗去

산제刪除 혹 절취截取ㆍ도거塗去를 표시함.

 

정자통正字通 속위제거왈구俗謂除去曰勾

<정자통> 세속에서 제거除去를 가로되 구勾라 한다.

 

一筆句下 즉이일필도거이하卽以一筆塗去而下

일필구하는 곧 일필로 지워서 내림임.

 

►해타고解打鼓 북을 잘 친다(두드린다)

‘解’ ~할 수 있다. ‘북 한 번 잘 치는 군’

‘打鼓’ 시간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북.

 

►철질려鐵蒺藜

끝이 송곳처럼 뾰족한 네 개의 발을 가진 쇠못.

도둑이나 적敵을 막기 위하여 흩어 두었다.

 

►확確 단단하다. 확실하다.

►진제眞諦 성체제일의聖諦第一義

열반涅槃, 진여眞如, 실상實相, 중도中道 따위의 진리眞理를 이른다.

 

►구급퇴坵圾堆 쓰레기 더미. 잡동사니

'語錄 > 벽암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44칙 頌과 着語  (0) 2024.04.26
벽암록 44칙 本則 評唱  (2) 2024.04.26
벽암록 43칙 頌 評唱  (2) 2024.04.18
벽암록 43칙 頌과 着語  (1) 2024.04.18
벽암록 43칙 本則 評唱  (2) 2024.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