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語錄/벽암록

벽암록 79칙 頌 評唱

【評 唱】

투자투자投子投子 (설두 송 1,2구절의)“투자여, 투자여!

기륜무조機輪無阻 상황에 적절한 솜씨 걸림이 없다” 했다.

 

투자심상도投子尋常道 투자는 평소에 이렇게 말했다.

이총도투자실두爾總道投子實頭 “그대들은 투자의 가르침은 진실하다 말하지만

홀연하산삼보忽然下山三步 투자산에서 세 걸음 내려가다가

유인문이도有人問爾道 어떤 사람이 너희에게 물어 말하되

 

여하시투자실두처如何是投子實頭處 ‘무엇이 투자의 진실함인가’ 한다면

이작마생지대爾作麼生抵對 너희가 무어라고 말하겠는가?”

 

고인도古人道 옛사람(설두)이 말했다

기륜전처機輪轉處 작자유미作者猶迷

“상황에 적절한 솜씨가 한 번 나오면 작가도 오히려 미혹한다.”고.

 

타기륜他機輪 전록록지轉轆轆地 전무조격全無阻隔

이처럼 투자의 적절한 솜씨를 도르르 굴리면서 완전히 막힘이 없었다.

 

소이설두도所以雪竇道 방일득이放一得二

그러므로 설두는 “한 번 휘둘러 둘을 얻었다”고 하였다.

 

불견승문不見僧問

듣지도 못하였는가. 어떤 스님이 투자에게 물었던 것을.

 

여하시불如何是佛 “무엇이 부처입니까?”

투자운投子云 “불佛 부처지.”

 

우문又問 여하시도如何是道 “무엇이 도입니까?”

투자운投子云 “도道”

 

우문又問 여하시선如何是禪 “무엇이 선禪입니까?”

투자운投子云 “선禪”

 

우문又問 월미원시여하月未圓時如何 “달이 둥글기 전에는 어떠합니까?”

투자운投子云 탄각삼개사개吞卻三箇四箇 “세 개 네 개 삼켜버렸다.”

 

원후여하圓後如何 “온전히 둥근 뒤에는 어떠합니까?”

토각칠개팔개吐卻七箇八箇 “일곱 개 여덟 개를 토해 낸다.”

 

투자접인投子接人 상용차기常用此機 투자는 사람을 제접할 때는 항상 이런 솜씨였다.

답저승答這僧 이 스님에게 답한 것도 똑같이

지시일개시자只是一箇是字 “그렇다”는 말이었을 뿐이나

저승량회피타這僧兩回被打 이 스님은 두 차례나 얻어맞은 것이다.

 

소이설두도所以雪竇道 그러므로 설두는 말했다.

동피동차同彼同此 “저기에서도 이와 같았고 여기에서도 이와 같았다”고

 

사구일시四句一時 송투자료야頌投子了也 이 네 구절로써 투자의 전부를 일시에 송頌한 것이다.

말후송저승도末後頌這僧道 송의 후반부에서 설두는 이 스님을 이렇게 읊었다.

가련무한롱조인可憐無限弄潮人 “가련쿠나, 험난한 파도를 타고 넘나드는 무수한 사람들아”

 

저승감참기탈고도這僧敢攙旗奪鼓道

이 스님은 감히 (투자의) 깃발과 북을 훔치는 것처럼 위험을 무릅쓰고 말했다.

 

화상막독비완명성和尚莫?沸碗鳴聲 “화상은 방귀뀌는 소리하지 말라”

 

우도又道 환화상작일두려득마喚和尚作一頭驢得麼

또한 “화상을 말뚝에 매인 노새라고 불러도 되느냐” 했다.

 

차편시롱조처此便是弄潮處 이것이 바로 험난한 파도를 타고 넘나든 곳이다.

 

저승這僧 주진기량做盡伎倆 스님이 갖은 재주를 다 부렸지만

의전사재투자구중依前死在投子句中 여전히 투자의 언구(是) 속에서 죽어버려

투자편타投子便打 투자는 이 스님을 후려쳤다.

 

차승此僧 편시便是 필경환락조중사畢竟還落潮中死

이 승은 바로 이것 때문에 결국 파도 속에 빠져 죽은 것이다.

 

설두출저승운雪竇出這僧云 설두는 이 스님을 구하기 위해 염송捻頌했다.

 

홀연활忽然活 편여흔도선상便與掀倒禪床 “홀연히 다시 살아나 선상을 번쩍 들어 엎어버렸다면

투자야수도퇴삼천리投子也須倒退三千里 투자도 반드시 뒤로 3천리 밖으로 도망쳤을 것이다.

직득백천도류료활활直得百川倒流鬧𣽅𣽅 마치 많은 시냇물이 거꾸로 콸콸콸 거리며 흐르는 것처럼”

 

비유선상진동非唯禪床震動 이는 선상이 진동했을 뿐 아니라

역내산천급악亦乃山川岌崿 산천이 솟아올랐다 꺼졌을[岌崿] 것이며

천지두암天地陡暗 온 천지도 깜깜 해졌을 것이다.

 

구혹개개여차苟或箇箇如此 만일 참으로 이와 같다면

산승차타퇴고山僧且打退鼓 산승(원오) 또한 退山을 알리는 큰 북을 울렸을 것이다.

 

제인향십마처諸人向什麼處 안신립명安身立命

이때 여러분은 어느 곳에서 안신입명安身立命을 하려는가?

 

 

►지대抵對 지대祗對, 應對. (물음에)대답하다.

‘막을 저, 칠 지抵’

 

►고인도古人道

<명각선사어록明覺禪師語錄>2

상당운上堂云 상당하여 이르되

기륜전처작자유미機輪轉處作者猶迷 기륜이 도는 곳엔 작자도 오히려 迷하나니

천안돈개여군상견千眼頓開與君相見 천안을 돈개하여 그대와 더불어 상견하리라.

 

►설두출저승운雪竇出這僧云 ‘出’ 구출해 내다.

►산천급악山川岌崿 높은 산, 깊은 강물.

►두암陡暗 갑자기 어두워지다. ‘陡‘ 돌연突然, 돈야頓也

 

산천급악山川岌崿 산천이 급악岌崿(높고 가파름)하고

천지두암天地陡暗 천지가 두암陡暗하다.

 

►차且 일단은, 우선은.

►퇴고退鼓 山門을 나갈 때 退山을 알리는 북소리.

/2014-10-02 22:09:53

'語錄 > 벽암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80칙 本則 評唱  (1) 2024.05.18
벽암록 80칙 本則 着語  (0) 2024.05.18
벽암록 79칙 頌 着語  (0) 2024.05.18
벽암록 79칙 本則 評唱  (0) 2024.05.18
벽암록 79칙 本則 着語  (0) 2024.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