寒山詩 242
아견전륜왕我見轉輪王 내가 보니 전륜성왕轉輪聖王은
천자상위요千子常圍繞 많은 자식들에게 늘 둘러싸여 있네.
십선화사천十善化四天 열 가지 선행善行으로 온 세상을 교화敎化하는데
장엄다칠보莊嚴多七寶 일곱 가지 보배가 장엄莊嚴하기 그지없네.
칠보진수신七寶鎭隨身 일곱 가지 보배는 항상 왕을 뒤따르는데
장엄심묘호莊嚴甚妙好 장엄하기가 매우 오묘奧妙하고 아름답네.
일조복보진一朝福報盡 하루아침에 복福으로 갚아 주는 일이 다하면
유약서로조猶若棲蘆鳥 오히려 갈대에 깃들인 새 같으리라.
환작우령충還作牛領蟲 다시 소의 목에 기생寄生하는 벌레가 되기도 하는데
육취수업도六趣受業道 중생이 輪廻하는 여섯 가지 세계에서 業을 받아서라네.
황부제범부況復諸凡夫 하물며 평범한 사람들이야
무상기장보無常豈長保 모든 것이 덧없는데 어찌 오래 지키겠는가.
생사여선화生死如旋火 삶과 죽음은 빙빙 돌리는 횃불 같고
윤회사마도輪迴似麻稻 윤회는 여기저기 널려 있는 삼과 벼 같은 것이네.
불해조각오不解早覺悟 일찍 깨닫지 못하면
위인왕허로爲人枉虛老 사람이 되어도 부질없이 늙어 가리라.
我見轉輪王 내가 알고 있는 바 轉輪聖王은
千子常圍繞 千名의 아들에게 둘러싸여 있고
十善化四天 열 가지 바른 行으로 世上을 救濟하며
莊嚴多七寶 일곱 가지 軍隊로 나라를 다스리네.
七寶鎭隨身 威儀를 나타내는 일곱 가지 寶物은
莊嚴甚妙好 莊嚴하기 대단히 精巧하고 아름답네.
一朝福報盡 그렇더라도 福의 果報 다하고 나면
猶若棲蘆鳥 갈대숲에 사는 새가 되기도 하고
還作牛領蟲 더러는 소똥구리가 되기도 하는데
六趣受業道 그것은 六道 輪廻 業을 받아 그렇네.
況復諸凡夫 하물며 凡夫의 삶이야 오죽하겠는가
無常豈長保 世上이 無常한데 어찌 오래 지키리.
生死如旋火 生死는 일어나는 불꽃과 같고
輪迴似麻稻 輪廻는 삼이나 벼처럼 지나가는 生이네.
不解早覺悟 서둘러 깨달음 이뤄내지 못하면
爲人枉虛老 그대들의 한 生도 헛되게 늙어가리.
전륜성왕은
항상 천명의 아들에 둘러싸여 있네
열 가지 선행으로 세상을 구제하고
일곱 군대로 나라를 다스리네
칠보로 몸을 둘러 위엄을 보이고
신묘한 상호로 장식하였네
하루아침에 복보가 다하면
갈대에 깃들어 사는 새가 되고
다시 소의 목에 붙어사는 벌레가 되어
윤회하며 업의 길을 받네
하물며 범부들이
그 무상함을 어찌 지켜낼 것인가!
나고 죽는 것은 불꽃같고
윤회는 그 회차를 셀 수가 없네
어서 깨닫지 못하고
사람 되어 헛되이 늙어만 가네
▶전륜왕轉輪王
인도 신화에서 통치의 수레바퀴를 굴려
세계를 통일하고 지배하는 이상적인 제왕을 말한다.
불교와 자이나교와 힌두교 모두 상정하는 제왕의 상이다.
인도 역사상에서 마우리아왕조의 아소카왕이 세속의 전륜성왕으로 숭앙 받고 있다.
고타마 싯다르타가 태어났을 때 선인 아시타가 아기의 장래에 대해
전륜성왕이 되거나 붓다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전륜왕轉輪王=전륜성왕轉輪聖王>
<범> cakra-varti–rājan. 전륜성제轉輪聖帝ㆍ전륜왕ㆍ윤왕輪王.
이 왕은 몸에 32相을 갖췄고 즉위할 때 하늘로부터 윤보輪寶를 감득感得하여
그 윤보를 굴려 사방을 항복시키므로 고로 가로되 전륜왕임.
또 공중을 비행하는지라 고로 가로되 비행황제飛行皇帝.
왕은 七寶(輪ㆍ象ㆍ馬ㆍ珠ㆍ女ㆍ居士ㆍ主兵臣)를 안고 있으며
四德(長壽ㆍ無疾病ㆍ容貌出色ㆍ寶藏豐富)을 갖췄음.
증겁增劫에서 인수人壽가 2만 세 이상에 이르러야 곧 출세하고
감겁減劫에서 인수가 무량세로부터 8만 세에 이르어야 이에 출세함.
그 윤보는 금은동철金銀銅鐵의 네 가지가 있으며
그 차제次第와 같이 四三二一의 大洲를 거느림.
곧 금륜왕은 4洲가 되며 은륜왕은 東西南의 3洲가 되며
동륜왕은 東南 2洲가 되며 철륜왕은 남염부제南閻浮提의 1洲가 됨
/장아함경3. 구사론12. 지도론4. 서역기1
<광등록廣燈錄>11 임제의현臨濟義玄
너희가 말하되 32상과 80종호가 이 부처라 한다면
전륜성왕轉輪聖王도 응당 이 여래라야 하리라.
명확히 알지니 이는 환화幻化이다.
<혜림음의慧琳音義>9 차가월라遮迦越羅
정언작가라벌랄저알라도正言斫迦羅伐辢底遏邏闍(매울 랄(날)辢)
차역운전륜왕야此譯云轉輪王也
바른 말로는 작가라벌랄지알라사니
여기에선 번역해 이르되 전륜왕이다.
<증도가주證道歌註(언기彦琪)>
한산운寒山云 한산이 이르되
아견전륜왕我見轉輪王 내가 전륜왕轉輪王을 보니
천자상위요千子常圍遶 천자千子가 늘 위요하고
십선화사천十善化四天 십선十善으로 사천하를 교화하고
장엄다칠보莊嚴多七寶 많은 칠보로 장엄했다
칠보진수신七寶鎭隨身 칠보가 늘 수신隨身하여
장엄심묘호莊嚴甚妙好 장엄이 심히 묘호妙好하지만
일조복보진一朝福報盡 일조에 복보福報가 다하면
유약서로조猶若栖蘆鳥 마치 갈대에 깃든 새와 같다
환작우령충還作牛領蟲 도리어 우령충牛領蟲이 되어
륙취수업도六趣受業道 6趣에서 業道를 받나니
황부제범부況復諸凡夫 하물며 다시 모든 범부가
무상기장보無常豈長保 무상無常을 어찌 길이 보장하랴.
►장엄莊嚴 장식裝飾하다. 아름답게 꾸미다. 엄숙하게 장식된 모양.
►위요圍繞 둘러싸다. 에워싸다.
►십선十善 10惡 즉 열 가지 악에 대한 선한 행위를 말한다.
십악十惡은 살생殺生(살아 있는 목숨을 해치는 것),
투도偸盜(주지 않은 것을 갖는 것), 사음邪淫(적절하지 못한 음행),
망어妄語(거짓말), 양어兩語(이간질), 악구惡口(욕설),
기어綺語(쓸데없는 말), 탐욕貪慾(욕심), 진에瞋恚(분노), 사견邪見(바르지 못한 견해)
►진수신鎭隨身 늘 몸을 따라다니다.
‘진압할 진, 메울 전鎭’ 언제나. 늘, 항상. 오래.
►복보진福報盡
선업善業을 지으면 당연히 복의 과보를 얻어 즐거움을 받으나
어느 날 아침 복의 과보가 소진되면 즐거움의 과보도 잃게 된다.
►서로조棲蘆鳥 갈대밭에 깃들어 사는 새.
처해 있는 환경이 군색하고 궁한 모양.
►사천四天
욕계 6천 중의 첫 네 가지 하늘로 사왕천, 33천, 야마천, 도솔천을 가리킴
►칠보七寶
불교 경전에서 말하는 칠보에는 몇 가지가 있으나 <아미타경>에서는
금, 은, 청옥, 수정, 진주, 마노, 호박을 들고 있다.
한산이 말한 칠보는 전륜왕의 세상을 다스리는 7가지 필요한 것으로
윤보輪寶(전차대), 상보象寶(코끼리군대), 마보馬寶(기병대),
주보珠寶(밤길을 밝히는 마니주 등의 보물), 여보女寶(왕의 아들을 낳아줄 비빈),
거사보居士寶(인민), 주병신보主兵臣寶(대신) 등이다.
►우령충牛領蟲 소의 목 부분에 기생하는 벌레. 소똥구리
‘옷깃 령(영)/거느릴 령(영) 領’ 목.
소의 목은 멍에를 씌우는 곳이라 상처가 많이 나기 때문에 벌레가 생기기 쉽다.
소의 목에 붙어사는 벌레들은 멍에가 씌워질 때 압살 당하는 일이 많다.
그래서 ‘牛領蟲’은 악의 과보의 일종이다.
►육취六趣 육도六道.
일체 중생이 선악의 업인業因에 의해 필연적으로 이르는 6가지의 미계迷界.
곧 지옥, 아귀餓鬼,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天上.
►업도業道 고락의 과보를 느끼게 하는 선악의 업. 몸, 입, 뜻으로 짓는다.
►범부凡夫 불법을 믿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호칭.
►무상無常 이 시에서는 ‘생사가 변천하다’는 뜻.
►선화旋火 선화륜旋火輪. 불의 고리[바퀴].
밤에 횃불을 들고 빙글빙글 돌리면 허공에 불의 고리[바퀴]처럼 보인다.
즉 모든 것이 실체가 없는 환상과 같은 것으로 영구적인 아닌 가정적인 것이라는 뜻.
이 시에서는 삶과 죽음을 반복하는 일이 끊이지 않음을 비유했다.
“처음과 끝이 서로 생기고, 나고 사라짐이 서로 연속되어, 삶과 죽음 죽음과 삶,
나고 죽고 죽는 것이, 마치 횃불을 돌릴 때 생기는 고리처럼 끊임이 없다.”/<능엄경>
►마도麻稻 수량이 지극히 많아서 계산이 불가능함을 비유한 말.
►‘굽을 왕枉’ 헛되이. 부질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