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偈集 Ekakanipāta
1 명불상일장노비구니창여시게名不詳一長老比丘尼唱如是偈
Aññatarātherīgāthā 이름을 모르는 어떤 장로니
쾌면장노니快眠長老尼 포편작법의布片作法衣 여기위탐욕汝既萎貪欲 여과중고채如鍋中枯菜
장로니여, 헌 누더기로 옷을 만들어 그것을 입고 편히 잠자라.
너의 애욕은 억제를 당하여 솥 안의 마른 나물 같기 때문이니라.
“Sukhaṃ supāhi therike, katvā coḷena pārutā;
Upasanto hi te rāgo, sukkhaḍākaṃ va kumbhiyan”ti.
Itthaṃ sudaṃ aññatarā therī apaññātā bhikkhunī gāthaṃ abhāsitthāti.
2 여시세존호해탈식차마나如是世尊呼解脫式叉摩那 교이상염차게教以常念此偈
Muttātherīgāthā 붓다께서 해탈 비구니에게
불타佛陀 해탈니解脫尼
여우탈제액如牛脫諸軛 라후포착월羅喉捕捉月 유피득해탈由彼得解脫
내심무부흠內心無負欠 식세신시식食世信施食
게타偈陀2
목달탈리사종액穆妲脫離四種軛 승사명월리라후勝似明月離羅睺
포각번뇌심청정拋卻煩惱心清淨 수인공양심무구受人供養心無咎
비구니여,
네 가지 결박을 벗어나기를 라후라가 저 달을 잡듯이 하라.
그리하여 해탈한 마음으로써 부끄럽지 않게 보시 받아라.
“Mutte muccassu yogehi, cando rāhuggahā iva;
Vippamuttena cittena, anaṇā bhuñja piṇḍakan”ti.
Itthaṃ sudaṃ bhagavā muttaṃ sikkhamānaṃ imāya gāthāya abhiṇhaṃ ovadatīti.
3 성만니成滿尼 Puṇṇātherīgāthā 붓다께서 푼나 비구니에게
분나성만니芬那成滿尼
성취제종법成就諸種法 여십오야월如十五夜月
이차원만지以此圓滿智 타쇄치암괴打碎癡闇塊
偈陀3
배나학도품裴娜學道品 법원여만월法圓如滿月 치암약흑야痴闇若黑夜 대지편조멸大智遍照滅
푼나 비구니여,
모든 법을 원만히 성취하기를 저 보름달과 같이 하여라.
그리하여 그 원만한 지혜로써 어두움의 무더기를 부셔 버려라.
“Puṇṇe pūrassu dhammehi, cando pannaraseriva;
Paripuṇṇāya paññāya, tamokhandhaṃ [tamokkhandhaṃ (sī. syā.)] padālayā”ti.
Itthaṃ sudaṃ puṇṇā therī gāthaṃ abhāsitthāti.
4 제수니帝須尼 Tissātherīgāthā 붓다께서 팃사 비구니에게
제수니帝須尼
수습계정혜修習戒定慧 제액물박여諸軛勿縛汝 이탈일체액已脫一切軛 무루신처세無漏身處世
偈陀4
체사수삼학蒂莎修三學 사복응진석四福應珍惜 무루지정행無漏持淨行 사액상탈리四軛常脫離
팃사 비구니여,
계율, 선정, 지혜를 배워서 닦고 어떤 번뇌에도 무너지지 말라.
그리고 모든 결박을 떠나 번뇌 없는 몸으로 세상을 유행하여라.
“Tisse sikkhassu sikkhāya, mā taṃ yogā upaccaguṃ;
Sabbayogavisaṃyuttā, cara loke anāsavā”ti.
5 령일제수니另一帝須尼 Aññatarātissātherīgāthā 다른 팃사 비구니
제수니帝須尼
전주제종법專注諸種法 찰나물공과剎那勿空過
찰나공과자剎那空過者 유타지옥우有墮地獄憂
偈陀5
체사수성법蒂莎修聖法 사복응진석四福應珍惜 착과기연자錯過機緣者 수고입지옥受苦入地獄
팃사 비구니여,
모든 법에 마음을 쏟아서 잠깐이라도 헛되이 지나지 말라.
잠깐이라도 헛되이 지나는 이는 지옥에 떨어져 고통하기 때문이다.
“Tisse yuñjassu dhammehi, khaṇo taṃ mā upaccagā;
Khaṇātītā hi socanti, nirayamhi samappitā”ti.
6 견고니 Dhīrātherīgāthā
제라견고니帝羅堅固尼
수습촉적멸修習觸寂滅 제사상위락制邪想為樂 안온성열반安穩成涅槃
偈陀6
제랍증열반娣拉證涅槃 (단탐급제악斷貪及諸惡) 원리사종액遠離四種軛 종가득극락終可得極樂
지이라아니여, 열반을 얻으라.
나쁜 생각을 제어하면 즐겁나니 더없이 안온한 열반을 성취하라.
“Dhīre nirodhaṃ phusehi [phussehi (sī.)], saññāvūpasamaṃ sukhaṃ;
Ārādhayāhi nibbānaṃ, yogakkhemamanuttaran”ti [yogakkhemaṃ anuttaranti (sī. syā.)].
7 기타견고니其他堅固尼 Vīrātherīgāthā
견고비구니堅固比丘尼 의행依行 견고법堅固法 습연건習練健 제근諸根
격패마왕군擊敗魔王軍 지유최후신持有最後身
偈陀7
유랍수불법維拉修佛法 성도사정근聖道四正勤 전승중마라戰勝眾摩羅 증득최후신證得最後身
모든 감관을 잘 닦은 비구니는 견고한 법에 의해 견고히 되었나니
마왕과 그 권속 함께 부수고 가장 마지막의 그 몸을 가진다.
“Vīrā vīrehi [dhīrā dhīrehi (ka.)] dhammehi, bhikkhunī bhāvitindriyā;
Dhārehi antimaṃ dehaṃ, jetvā māraṃ savāhinin”ti [savāhananti (ka.)].
8 니우尼友 Mittātherīgāthā
밀타密陀(우니友尼)
의신심출가依信心出家 교선우위락交善友為樂
이수제선법履修諸善法 안온성열반安穩成涅槃
偈陀8
밀달건성출가密妲虔誠出家 애대제위선우愛戴諸位善友
행선근수성도行善勤修聖道 아라한열반가구阿羅漢涅槃可求
밋타아니여,
신심信心으로 집을 떠나 벗을 사귀기 즐거워하고
안온한 열반에 이르기 위해 모든 선법을 잘 닦으라.
“Saddhāya pabbajitvāna, mitte mittaratā bhava;
Bhāvehi kusale dhamme, yogakkhemassa pattiyā”ti.
9 현니賢尼 Bhadrātherīgāthā
파도라婆都羅(현니賢尼)
의신심출가依信心出家 이현선위락以賢善為樂
이수제선법履修諸善法 안온성열반安穩成涅槃
偈陀9
발득랍건성출가跋得拉虔誠出家 지정계희애불법持淨戒喜愛佛法
수학도품修學道品 증열반證涅槃 정가단제사액가定可斷除四軛枷
바드라아니여,
신심으로 집을 떠나 선한 법을 즐기고 모든 선법을 닦아 익혀라.
안온한 열반은 위없는 법이니라.
“Saddhāya pabbajitvāna, bhadre bhadraratā bhava;
Bhāvehi kusale dhamme, yogakkhemamanuttaran”ti.
10 적정니寂靜尼 Upasamātherīgāthā
오파사마烏婆娑摩(적정니寂靜尼)
어사왕영역於死王領域 탈난도폭류脫難渡瀑流
병패마왕군併敗魔王軍 지득최후신持得最後身
偈陀10
륜회한류하기험輪迴漢流何其險 번뇌지마재기간煩惱之魔在其間
전승번마급권속戰勝煩魔及眷屬 최후신성달피안最後身成達彼岸
우파사마아니여,
저 넘기 어려운 죽음의 왕의 영토를 넘고 저 사나운 물결을 건너
마왕과 그 권속을 함께 부수고 가장 마지막의 그 몸을 가져라.
“Upasame tare oghaṃ, maccudheyyaṃ suduttaraṃ;
Dhārehi antimaṃ dehaṃ, jetvā māraṃ savāhanan”ti.
11 해탈니解脫尼 Muttātherīgāthā
선교아선탈善巧我善脫 탈거삼곡물脫去三曲物
구저여곡부臼杵與曲夫 시위삼종곡是為三種曲
탈제생여로脫除生與老 제거생유본除去生有本
偈陀11
아종득해탈我終得解脫 파탈구화저擺脫臼和杵 파탈타배부擺脫駝背夫
삼만종해제三彎終解除 무생역무사無生亦無死 생욕이멸제生欲已滅除
세 가지 굽은 것을 벗어남에 있어서 나는 용히 벗어났고 잘 면했다.
세 가지란 절구와 공이와 그리고 주인이다.
나는 생사 벗어나 생존욕이 없어졌다.
(이 비구니는 원래 절구 찧기로 살아간 듯하고 그 주인은 꼽추였던 것 같다)
“Sumuttā sādhumuttāmhi, tīhi khujjehi muttiyā;
Udukkhalena musalena, patinā khujjakena ca;
Muttāmhi jātimaraṇā, bhavanetti samūhatā”ti.
12 달마지인나達摩地因那(법시니法施尼) Dhammadinnātherīgāthā
욕달최상과欲達最上果 기지극사(열반)심起志極事(涅槃)心
피심불계욕彼心不繫欲 피칭상유인被稱上流人
偈陀12
무욕불환진無欲不還塵 열반심향왕涅槃心向往 심중무구염心中無垢染 격류용향상激流勇向上
최상의 결과 위해 원을 세운 사람은 마침내 마음으로 열반에 닿으리니
어떤 욕심에도 결박 되지 않은 사람 그는 상류반上流般의 사람이라 불리 운다.
“Chandajātā avasāyī, manasā ca phuṭā [phuṭṭhā (syā.), phuṭhā (sī. aṭṭha.)] siyā;
Kāmesu appaṭibaddhacittā [appaṭibandhacittā (ka.)],
uddhaṃsotāti vuccatī”ti [uddhaṃsotā vimuccatīti (sī. pī.)].
13 비사구니毘舍佉尼 Visākhātherīgāthā
역행무회力行無悔 행불지교行佛之教
질속세각疾速洗腳 좌어일방坐於一方
偈陀13
준종하교인무회遵從何教人無悔 불타교법응봉행佛陀教法應奉行
속장쌍족세청결速將雙足洗清潔 좌재일방용공근坐在一旁用功勤
행한 뒤에 뉘우침 없는 부처님의 교훈 행하라.
빨리 발을 씻고 그 한쪽에 앉으라.
“Karotha buddhasāsanaṃ, yaṃ katvā nānutappati;
Khippaṃ pādāni dhovitvā, ekamante nisīdathā”ti.
14 수마나須摩那(선의니善意尼) Sumanātherīgāthā 붓다께서 스마나 비구니에게
견십팔계고見十八界苦 물이재수생勿以再受生
단여생유욕斷汝生有欲 적정이유행寂靜而遊行
偈陀14
관륙근지고觀六根知苦 불구유재생不求有再生 단멸욕생념斷滅欲生念 구득심녕정求得心寧靜
모든 세계의 고통인 것을 보고 生을 다시 네 몸에 돌아오지 말게 하라.
그리하여 생존의 애욕을 끊고 고요히 이 세상을 유행하여라.
“Dhātuyo dukkhato disvā, mā jātiṃ punarāgami;
Bhave chandaṃ virājetvā, upasantā carissasī”ti.
15 울다라니鬱多羅尼 Uttarātherīgāthā
섭신병섭어攝身並攝語 갱우수섭심更又須攝心
발제갈애근拔除渴愛根 청량득안정清涼得安靖
偈陀15
지계조신구持戒調身口 수정갱조심修定更調心 단제수면근斷除隨眠根 청량입적정清涼入寂靜
내 몸의 업을 없애고 말의 업과 뜻의 업을 모두 없애고
애욕을 뿌리 채로 완전히 뽑아 맑고 시원하고 고요하게 되었다.
“Kāyena saṃvutā āsiṃ, vācāya uda cetasā;
Samūlaṃ taṇhamabbuyha, sītibhūtāmhi nibbutā”ti.
16 노연출가지선의니老年出家之善意尼
Vuḍḍhapabbajitasumanātherīgāthā 붓다께서 늙은 스마나 비구니에게
로모니老牟尼
여쾌면汝快眠 보편법의착布片法衣著
여지탐욕식汝之貪欲熄 청량득안정清涼得安靖
偈陀16
로니老尼
신피분소의身披糞掃衣 안면자재하협의安眠自在何愜意
탐욕일단청제정貪欲一旦清除淨 즉입청량무생지即入清涼無生地
입고 편히 잠자라.
너는 그 애욕을 잘 억제하여 청량하고 寂靜한 몸이기 때문이다.
“Sukhaṃ tvaṃ vuḍḍhike sehi, katvā coḷena pārūtā;
Upasanto hi te rāgo, sītibhūtāsi nibbutā”ti.
17 달마니達摩尼 Dhammātherīgāthā
역쇠탁장타발행力衰托杖拖缽行 사지전율도지상四肢戰慄倒地上
현차육신유환난見此肉身有患難 이시아심득해탈爾時我心得解脫
偈陀l7
체쇠주장탁발거體衰拄杖托缽去 량퇴전두도어지兩腿顫抖倒於地
관견신구위여사觀見身軀危如斯 심리번뇌원진구心離煩惱遠塵垢
나는 힘없이 지팡이 짚고 걸식하며 다니다가 사지가 떨려 땅 바닥에 쓰러졌다.
이 몸뚱이에 이런 고난 있음을 보고 거기서 내 마음 해탈 얻었다.
“Piṇḍapātaṃ caritvāna, daṇḍamolubbha dubbalā;
Vedhamānehi gattehi, tattheva nipatiṃ chamā;
Disvā ādīnavaṃ kāye, atha cittaṃ vimucci me”ti.
18 승가니僧伽尼 Saṅghātherīgāthā
사가아출가捨家我出家 사아여축유捨兒與畜類
탐욕여진에貪欲與瞋恚 무명총단사無明總斷捨
공발갈애근共拔渴愛根 적정득안정寂靜得安靖
偈陀18
출가별애자出家別愛子 우축역사기牛畜亦舍棄
단제탐여진斷除貪與瞋 정도멸치우正道滅痴愚
진욕련근발塵欲連根拔 녕정증원적寧靜證圓寂
집을 버리고 나와 득도함으로써 사랑하는 아들과 가축들을 버리고
탐욕과 분노와 무명을 버리고
애욕을 그 뿌리 채로 뽑아 나는 아주 고요한 열반 얻었다.
“Hitvā ghare pabbajitvā [pabbajitā (sī. aṭṭha.)], hitvā puttaṃ pasuṃ piyaṃ;
Hitvā rāgañca dosañca, avijjañca virājiya;
Samūlaṃ taṇhamabbuyha, upasantāmhi nibbutā”ti.
(하나의 偈에 2가지가 있는 것은 텍스트가 2가지란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