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偈集 Dukanipāta
2.1 미남달美婻達 Abhirūpanandātherīgāthā(19-20)
여시세존교난타식차마나상송차게如是世尊教難陀式叉摩那常誦此偈
19
Abhirūpanandātherīgāthā 붓다께서 난다 비구니에게
난타니難陀尼
포병오차부抱病污且腐 관차합성신觀此合成身
치심어일처置心於一處 이주어정념以住於定念 관차부정상觀此不淨想
偈陀19
남달관차신婻達觀此身 병괴차부란病壞且腐爛 의념당수일意念當守一 심작부정관心作不淨觀
난다아여,
네 가지 요소로 된 이 몸의 병들고 더럽고 썩은 것 보고
고요히 그 마음 선정에 두어 부정관不淨觀을 잘 닦아 익혀라.
“Āturaṃ asuciṃ pūtiṃ, passa nande samussayaṃ;
Asubhāya cittaṃ bhāvehi, ekaggaṃ susamāhitaṃ.
20
관무상觀無想 제교만심除憍慢心
유제교만심由除憍慢心 적정이유방寂靜而遊方
20-1
수습무상관修習無相觀 근제오여만根除傲與慢 오만기근제傲慢既根除 생활자안연生活自安然
그리고 무상념無想念을 닦아 익히고 또 교만한 마음을 버려라.
그 교만을 버림으로써 너는 고요히 유행하리라.
“Animittañca bhāvehi, mānānusayamujjaha;
Tato mānābhisamayā, upasantā carissasī”ti.
2.2 선두니禪頭尼 Jentātherīgāthā(21-22)
21
차등칠보리此等七菩提 성취열반도成就涅槃道
아응총수습我應總修習 여불지소시如佛之所示
偈陀21
불설칠각지佛說七覺支 통달열반도通達涅槃道 불타기명시佛陀既明示 아행준기교我行遵其教
저 열반으로 나아가는 길 일곱 가지 깨달음의 갈래를
나는 부처님의 지시를 따라 그대로 닦아 익히었나니.
“Ye ime satta bojjhaṅgā, maggā nibbānapattiyā;
Bhāvitā te mayā sabbe, yathā buddhena desitā.
22
아기견세존我既見世尊 최후합성신最後合成身
생사윤회단生死輪迴斷 아부재수생我不再受生
22-1
아이견세존我已見世尊 차위최후신此為最後身 륜회이단절輪迴已斷絕 불회유재생不會有再生
나는 이미 부처님을 뵈었으므로 네 가지 요소의 이 몸은 최후이니
생사의 바퀴돌이 모두 부서져 이제는 다시 생을 받지 않으리.
“Diṭṭho hi me so bhagavā, antimoyaṃ samussayo;
Vikkhīṇo jātisaṃsāro, natthi dāni punabbhavo”ti.
Itthaṃ sudaṃ jentā therī gāthāyo abhāsitthāti.
2.3 선탈善脫 Sumaṅgalamātātherīgāthā(23-24)
명불상지일장노비구니名不詳之一長老比丘尼
23
Sumaṅgalamātātherīgāthā 성명을 모르는 어떤 비구니
선탈니善脫尼 선탈니탈저善脫尼脫杵
불위타곡업不為打穀業 아부작산자我夫作傘者
무유참치심無有慚恥心 아부시상공我釜時常空
소만격랍지모장로니소설게蘇曼格拉之母長老尼所說偈
偈陀23
해탈자재니解脫自在尼 파탈용미저擺脫舂米杵
부재과변전不再鍋邊轉 야불수제산也不需制傘
(금득리타가今得離他家) 파탈무치서擺脫無恥婿
해탈한 사람, 나는 잘 벗어났다.
절구 찧는 그 업에서 잘 벗어났다.
주인은 염치없어 우산만큼도 나를 생각하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 솥은 부스럼 같았었다.
(이 비구니는 원래 가난하여 절구 찧기로 업을 삼아 살아갔다.
그 주인은 우산을 만드는 업으로 살아갔다)
“Sumuttikā sumuttikā [sumuttike sumuttike (sī.), sumuttike sumuttikā (syā. ka.)],
sādhumuttikāmhi musalassa;
Ahiriko me chattakaṃ vāpi, ukkhalikā me deḍḍubhaṃ vāti.
24
아단탐진시我斷貪瞋時 아행래수하我行來樹下
아언실쾌락我言實快樂 안식정선사安息靜禪思
24-1
진근단진瞋根斷盡 기기사유음嘰嘰似有音 행지수음하行至樹蔭下 선정락무은禪定樂無垠
탐욕과 분노를 끊어 버리고 나는 저 나무 밑에 들어가
'아아, 즐겁구나'하면서 마음 유쾌히 선정에 든다.
“Rāgañca ahaṃ dosañca, cicciṭi cicciṭīti vihanāmi;
Sā rukkhamūlamupagamma, aho sukhanti sukhato jhāyāmī”ti.
2.4 아달가시阿達迦尸(반가시니半迦尸尼) Aḍḍhakāsitherīgāthā(25-26)
25
아지매신전我之賣身錢 기고가등급其高價等及
가시전국민迦尸全國民 득도여차가得到如此價 유가중무가有價中無價
偈陀25
가시국세일천금迦屍國稅日千金 아지수입원상사我之收入原相似
촌민감가부기반村民減價付其半 인이칭아반가시因而稱我半迦屍
내가 얻은 이익은 카시국의 세입歲入만큼 되었다.
그 도시 사람들은 내게 값을 붙여 값없는 내게 값을 정했다.
(이 비구니는 원래 카아시이국의 유녀遊女였다)
“Yāva kāsijanapado, suṅko me tatthako ahu;
Taṃ katvā negamo agghaṃ, aḍḍhenagghaṃ ṭhapesi maṃ.
26
아어색상我於色相 기염오정起厭惡情 염오리욕厭惡離欲
불갱생사不更生死 불경윤회不經輪迴 증삼종명證三種明 성취불교成就佛教
26-1
차후부재중용안此後不再重容顏 심회의랭무탐련心灰意冷無貪戀
영리륜회부재생永離輪迴不再生 이득삼명준불언已得三明遵佛言
그때부터 나는 色에 대하여 싫어하는 생각나서 음욕을 떠나고
다시는 생사에 헤매지 않으려고 세 가지 신통 얻고 불교를 성취했다.
“Atha nibbindahaṃ rūpe, nibbindañca virajjahaṃ;
Mā puna jātisaṃsāraṃ, sandhāveyyaṃ punappunaṃ;
Tisso vijjā sacchikatā, kataṃ buddhassa sāsanan”ti.
2.5 지타支陀(심니心尼) Cittātherīgāthā(27-28)
27
아신병차수我身病且瘦 체력지미약體力至微弱 탁장아등산托杖我登山
아무리 내가 여위고 병들고 몸이 쇠약하더라도 지팡이에 의지해 산에 오른다.
偈陀27
수약우다병瘦弱又多病 출입의장행出入依杖行 종연루여차縱然累如此 잉상령원봉仍上靈鴛峰
“Kiñcāpi khomhi kisikā, gilānā bāḷhadubbalā;
Daṇḍamolubbha gacchāmi, pabbataṃ abhirūhiya.
28
탈하승가리脫下僧伽梨 철발복어지鐵缽伏於地 지신의반석支身依磐石 득쇄치암괴得碎癡闇塊
거기서 가사를 벗고 바루를 엎어 두고 어두움의 무더기를 부수면서 바윗돌 위에 몸을 쉰다.
28-1
가사치일방袈裟置一旁 발역구일변缽亦扣一邊
좌재석산상坐在石山上 단제치우암斷除痴愚闇
수지파아집修持破我執 제사부재현諸使不再現
“Saṅghāṭiṃ nikkhipitvāna, pattakañca nikujjiya;
Sele khambhesimattānaṃ, tamokhandhaṃ padāliyā”ti.
2.6 맥제가麥提迦(자니慈尼) Mettikātherīgāthā(29-30)
29
연매아력약年邁我力弱 종연신통고縱然身痛苦 빙장등산행憑杖登山行
내 아무리 몸이 괴롭고 힘이 약하고 그리고 나이 많았더라도 지팡이에 의지해 산에 오른다.
偈陀29
체쇠청춘서體衰青春逝 환병다고통患病多苦痛 행로의수장行路依手杖 파상령로봉爬上靈鷺峰
“Kiñcāpi khomhi dukkhitā, dubbalā gatayobbanā;
Daṇḍamolubbha gacchāmi, pabbataṃ abhirūhiya.
30
탈하승가리脫下僧伽梨 철발복어지鐵缽伏於地 좌어반석상坐於磐石上
아심득해탈我心得解脫 득달삼종명得達三種明 성취불지교成就佛之教
거기서 가사를 벗고 바리를 엎어 두고 바위 위에 앉아
내 마음 해탈했나니 세 가지 신통 얻고 가르침을 성취했다.
30-1
가사치일방袈裟置一旁 발역구일변缽亦扣一邊
좌재석산상坐在石山上 정진단제루精進斷諸漏
이영득삼명已贏得三明 불교이실현佛教已實現
“Nikkhipitvāna saṅghāṭiṃ, pattakañca nikujjiya;
Nisinnā camhi selamhi, atha cittaṃ vimucci me;
Tisso vijjā anuppattā, kataṃ buddhassa sāsanan”ti.
2.7 밀타密陀(우니友尼) Mittātherīgāthā(31-32)
31
백분우흑분白分又黑分 십사십오일十四十五日
팔일신변월八日神變月 구족팔지분具足八支分
근수포살행謹守布薩行 원생천중간願生天眾間
백흑분白黑分의 14일, 15일, 또 8일과 그리고 또 변개분變改分에 있어서
해와 달과 별들을 찬탄하면서 八支를 두루 갖춘 포살계布薩戒를 지켰다.
偈陀31
매월십사화십오每月十四和十五 초칠초팔화십삼初七初八和十三
재계청정근수지齋戒清淨勤修持 지대일후가생천只待日後可生天
“Cātuddasiṃ pañcadasiṃ, yā ca pakkhassa aṭṭhamī;
Pāṭihāriyapakkhañca, aṭṭhaṅgasusamāgataṃ.
32
체두착승의剃頭著僧衣 일일지일식一日只一食
불원생천중不願生天眾 이제흉고민已除胸苦悶
그리하여 나는 지금 한 끼를 먹고 머리를 새로 깎고 승가리를 둘렀나니
해와 달과 별들을 원하지 않고 가슴 속에는 두려움을 없애었다.
32-1
금일일식일재今一日食一齋 체락모발착가사剃落毛發著袈裟
심중포각번뇌부心中拋卻煩惱負 불생천당이불파不生天堂已不怕
“Uposathaṃ upāgacchiṃ, devakāyābhinandinī;
Sājja ekena bhattena, muṇḍā saṅghāṭipārutā;
Devakāyaṃ na patthehaṃ, vineyya hadaye daran”ti.
2.8 아파야마타니阿巴耶瑪陀(무외모無畏母)尼 Abhayamātutherīgāthā(33-34)
33
Abhayamātutherīgāthā 아바야 비구니와 그 모친
아모我母
유족과이상由足裹以上 유두정이하由頭頂以下
독관차일신篤觀此一身 부정차오취不淨且污臭
어머니,
밑으로 발뒤꿈치에서 뒤로 머리털 끝에 이르기까지
더럽고 냄새 나는 이 몸을 관찰하라.
偈陀33
아모세사량阿母細思量 인신하기장人身何其髒 혼신예취기渾身穢臭氣 종정관지상從頂貫趾上
“Uddhaṃ pādatalā amma, adho ve kesamatthakā;
Paccavekkhassumaṃ kāyaṃ, asuciṃ pūtigandhikaṃ.
34
여사이과일如斯以過日 제거제탐욕除去諸貪欲
단제제열뇌斷除諸熱惱 청량득안정清涼得安靖
이렇게 살아가는 사람에게는 모든 탐애의 뿌리 끊기고
뜨거운 번뇌가 끊기었거니 나는 지금 청량한 열반에 들어갔다.
34-1
의아수행법依兒修行法 단탐관무상斷貪觀無常 멸욕제번뇌滅欲除煩惱 입적지청량入寂地清涼
“Evaṃ viharamānāya, sabbo rāgo samūhato;
Pariḷāho samucchinno, sītibhūtāmhi nibbutā”ti.
2.9 아파야阿婆耶(무외無畏)장노니長老尼 Abhayātherīgāthā(35-36)
35
무외니無畏尼
범부집차신凡夫執此身 취약불견실脆弱不堅實
정지여정념正知與正念 아장포차신我將拋此身
무외니여,
범부들의 애착하는 이 몸은 끝내 무너져 없어지는 것이다.
내게는 바른 지혜 바른 생각 있거니 나는 지금 이 몸을 버려야 한다.
偈陀35
속인고련신俗人苦戀身 부지신약취不知身弱脆 의연포차신毅然拋此身 명차아유혜明此我有慧
“Abhaye bhiduro kāyo, yattha satā puthujjanā;
Nikkhipissāmimaṃ dehaṃ, sampajānā satīmatī.
36
아심열정근我心悅精勤 유다고법탈由多苦法脫
갈애과멸진渴愛果滅盡 성취불지교成就佛之教
나는 많은 괴로운 법을 벗어나 정진하기를 즐긴 뒤로 부터는
모든 애욕이 다 없어지고 부처님의 교훈을 성취하였다.
36-1
이명제고제已明諸苦諦 정진불방일精進不放逸 불교아실행佛教我實行 열반무탐욕涅盤無貪欲
“Bahūhi dukkhadhammehi, appamādaratāya me;
Taṇhakkhayo anuppatto, kataṃ buddhassa sāsanan”ti.
2.10 사마니奢摩尼(살마薩瑪1) Sāmātherīgāthā(37-38)
37
사차우오차四次又五次 아탈정사출我脫精舍出
심부득안식心不得安息 심부득통어心不得統御
네 번 다섯 번, 나는 승가에서 빠져 나왔다.
나는 마음의 안정을 얻지 못해 마음을 어디로 돌릴지를 몰랐다.
偈陀37
과거심미복過去心未伏 심중무녕일心中無寧日 사묘거복래寺廟去複來 이연유구차已然有九次
“Catukkhattuṃ pañcakkhattuṃ, vihārā upanikkhamiṃ;
Aladdhā cetaso santiṃ, citte avasavattinī;
Tassā me aṭṭhamī ratti, yato taṇhā samūhatā.
38
아어제팔야我於第八夜 제진제갈애除盡諸渴愛
희열위정근喜悅為精勤 유다고법탈由多苦法脫
갈애과멸진渴愛果滅盡 성취불지교成就佛之教
여드레째 밤이 되어 내 애욕 끊어져
나는 많은 괴로운 법에서 떠나 정진하기를 즐긴 뒤로부터
애욕이 없어지고 가르침을 성취했다.
38-1
제팔야멸탐第八夜滅貪 제고이료연諸苦已了然 실행불지교實行佛之教 정진득열반精進得涅盤
“Bahūhi dukkhadhammehi, appamādaratāya me;
Taṇhakkhayo anuppatto, kataṃ buddhassa sāsanan”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