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쿳따까 니까야

長老尼偈經 3偈集

3偈集 Tikanipāta

3.1 기타지사마니其他之奢摩尼(살마薩瑪2) Aparāsāmātherīgāthā(39-41)

39 

출가이십오연간出家二十五年間 아심미증득화평我心未曾得和平

심지안식부득지心之安息不得知 아심미능득통어我心未能得統御

 

나는 집을 떠나 25년이 되었지마는

아직 일찍이 마음의 안정을 얻지 못했었다.

 

살마장로니소설게薩瑪長老尼所說偈

偈陀39

출가귀의불出家皈依佛 이유입오년已有廿五年 시이도금일時已到今日 미증득심념未曾得心恬

 

“Paṇṇavīsativassāni, yato pabbajitāya me;

Nābhijānāmi cittassa, samaṃ laddhaṃ kudācanaṃ.

40~41

아억승자교我憶勝者教 심중회불안心中懷不安

 

내가 아직 귀의하기 전에는 마음의 안정을 얻지 못하고

승자勝者(부처님)의 교훈을 기억하고는 많은 불안을 품게 되었다.

 

40-1

수선부득정修禪不得定 심근미득안心根未得安 상기불교계想起佛教誡 참괴유충생慚愧由衷生

 

“Aladdhā cetaso santiṃ, citte avasavattinī;

Tato saṃvegamāpādiṃ, saritvā jinasāsanaṃ.

 

금유고법탈今由苦法脫 갈애과멸진渴愛果滅盡

성취불지도成就佛之道 유갈애고진由渴愛枯盡 금위제칠야今為第七夜

(41)

나는 많은 괴로운 법을 떠나 정진하기를 즐기고부터는 애욕이 모두 다 하게 되어

부처님 교훈을 성취했나니 애욕이 모두 말라 버린 뒤로 오늘은 그 이레째 밤이다.

 

이상제다고已嘗諸多苦 근면단탐념勤勉斷貪念 준종불교계遵從佛教誡 무욕이칠천無欲已七天

 

“Bahūhi dukkhadhammehi, appamādaratāya me;

Taṇhakkhayo anuppatto, kataṃ buddhassa sāsanaṃ;

Ajja me sattamī ratti, yato taṇhā visositā”ti.

 

 

3.2 최상最上1(오달마니烏達摩尼) Uttamātherīgāthā(42-44)

42  

사차우오차四次又五次 아탈정사출我脫精舍出 심부득안식心不得安息 심부득통어心不得統御

 

마음의 안정을 얻지 못하고 마음을 어디에 귀의시킬 수 없어

네 번이나 다섯 번이나 나는 절에서 빠져 나왔다.

 

偈陀42

수선불입정修禪不入定 아심미안전我心未安轉 사묘거복래寺廟去複來 이연유구차已然有九次

 

“Catukkhattuṃ pañcakkhattuṃ, vihārā upanikkhamiṃ;

Aladdhā cetaso santiṃ, citte avasavattinī.

43

아시신앙비구니我是信仰比丘尼 아부피전수교익我赴彼前受教益

피위아세오온법彼為我說五蘊法 십이처여십팔계十二處與十八界

 

내가 우러러 믿던 그 비구니, 내게 가까이 와서

오온, 십이처, 십팔계의 법을 나를 위하여 설법하였다.

 

43-1

니아숭신尼我崇信 전왕작배알前往作拜謁 강술온계처講述蘊界處 대아설불법對我說佛法

 

“Sā bhikkhuniṃ upagacchiṃ, yā me saddhāyikā ahu;

Sā me dhammamadesesi, khandhāyatanadhātuyo.

44

아여수니교我如受尼教 문법아희락聞法我喜樂

침윤칠일간浸潤七日間 일탁반족좌一度盤足坐

타쇄치암괴打碎癡闇塊 팔일아기좌八日我起坐

 

그가 내게 말해 가르친대로 나는 그 법을 듣고 한껏 기뻐하고 즐거워하면서

이레 동안 가부좌하고 앉아 있다가

여드레째에는 어두움의 무더기를 부수고 나는 그제서야 발을 폈다.

 

44-1

청법심환희聽法心歡喜 가부일래복跏趺一來複 제팔천단치第八天斷痴 퇴족방전서腿足方展舒

 

“Tassā dhammaṃ suṇitvāna, yathā maṃ anusāsi sā;

Sattāhaṃ ekapallaṅkena, nisīdiṃ pītisukhasamappitā [nisīdiṃ sukhasamappitā (sī.)];

Aṭṭhamiyā pāde pasāresiṃ, tamokhandhaṃ padāliyā”ti.

 

 

3.3 기타지오달마니其他之烏達摩尼(최상最上2) Aparāuttamātherīgāthā(45-47)

45  

칠보리분七菩提分 성열반도成涅槃道 총여불설總如佛說 수습불도修習佛道

 

저 열반으로 나아가는 길인 일곱 가지의 깨달음 갈래를

부처님께서 지시하는 그대로 나는 그것을 닦아 익혔다.

 

偈陀45

도지칠각분道支七覺分 통달열반경通達涅槃境 준종불교회遵從佛教誨 일일아실행一一我實行

 

“Ye ime satta bojjhaṅgā, maggā nibbānapattiyā;

Bhāvitā te mayā sabbe, yathā buddhena desitā.

 

46

임망득차任望得此 공여무상空與無相 위불생여為佛生女 상락열반常樂涅槃

 

공삼매空三昧와 무상삼매無常三昧 등, 원하는 대로 그것을 얻고

나는 저 부처님의 제자로서 항상 열반을 즐거워한다.

 

46-1

공관무상관空觀無相觀 아균거수행我均去修行 불타친생녀佛陀親生女 향왕열반경向往涅槃境

 

“Suññatassānimittassa, lābhinīhaṃ yadicchakaṃ;

Orasā dhītā buddhassa, nibbānābhiratā sadā.

47

천계여인계天界與人界 제욕총단진諸欲總斷盡

생사절윤회生死絕輪迴 금부재수생今不再受生

 

천상에 속하는 모든 욕망과 인간에 속한 모든 욕망 끊기고

생사의 바퀴돌이 없어졌나니 이제 내게는 다시 태어나는 일 없다.

 

47-1

천인제욕념天人諸欲念 이위아멸진已為我滅盡 무생무륜회無生無輪迴 차후부재생此後不再生

 

“Sabbe kāmā samucchinnā, ye dibbā ye ca mānusā;

Vikkhīṇo jātisaṃsāro, natthi dāni punabbhavo”ti.

 

3.4 단다니檀多 Dantikātherīgāthā(48-50)

48 

영취산지상靈鷲山之上 일중위휴식日中為休息

아거하안변我去河岸邊 견상출수욕見象出水浴

 

나는 영취산靈鷲山 꼭대기에서 한낮의 선정에서 나오다가

어떤 코끼리가 언덕 위에서 사나운 물을 건너는 것 보았다.

 

偈陀48

아재령원산我在靈鴛山 강강납과량剛剛納過涼 견상하하욕見象下河浴 우복반안상又複返岸上

 

“Divāvihārā nikkhamma, gijjhakūṭamhi pabbate;

Nāgaṃ ogāhamuttiṇṇaṃ, nadītīramhi addasaṃ.

49

인래취구人來取鉤 욕구상각欲鉤象腳 상신기각象伸其腳 인기기상人騎其上

 

어떤 사람이 갈구리 들고 '발을 내라'고 청해 말하여

그 코끼리가 그대로 발을 내밀자 그 사람은 이내 그 코끼리를 탔다.

 

49-1

순사지상구馴師持象鉤 령상신출퇴令象伸出腿 상순퇴신출象馴腿伸出 답퇴등상배踏腿登上背

 

“Puriso aṅkusamādāya, ‘dehi pādan’ti yācati;

Nāgo pasārayī pādaṃ, puriso nāgamāruhi.

50

불순자순不馴者馴 여인지의如人之意 의차입림依此入林 심주어정心住於定

 

길들지 않은 것이 잘 길들려 사람들에게 복종하는 것 보고

그 때문에 나는 숲 속에 들어가 마음을 선정禪定에 안정시켰다.

 

50-1

대상본난순大象本難馴 여금이복인如今已服人 득계회림중得啟回林中 중사심안돈重使心安頓

 

“Disvā adantaṃ damitaṃ, manussānaṃ vasaṃ gataṃ;

Tato cittaṃ samādhesiṃ, khalu tāya vanaṃ gatā”ti.

 

 

3.5 오비리니烏毘利 Ubbiritherīgāthā(51-53)

51 

오비리烏毘利

여환지와여汝喚智瓦女 여어임중읍汝於林中泣 아금차문여我今且問汝 여자응수지汝自應須知

동명지와자同名智瓦者 팔만사천인八萬四千人 묘소피도비墓所被荼毘 여도피등수汝悼彼等誰

 

'내 딸 지이바여' 하고 부르면서 너는 숲 속에서 울고 있구나.

자신을 알라, 웃비리여.

팔만사천 사람 모두 다 같이 지이바아라 불리우며

이 무덤에서 살리었거니 그 중에서 너는 누구를 곡하느냐.

(지이바라는 딸을 잃고 숲속의 무덤에서 슬피 우는 그 어머니를 보고 첫째 게송으로 부처님이 훈계하셨다.

둘째와 세째 게송은 그 어머니(웃비리 비구)의 답이다)

 

偈陀51

오비리곡환길왜녀烏比娌哭喚吉娃女 여당수선지자수汝當首先知自隨

차묘화장팔만사此墓火葬八萬四 개명길왜곡아수皆名吉娃哭阿誰

 

“Amma jīvāti vanamhi kandasi, attānaṃ adhigaccha ubbiri;

Cullāsītisahassāni [cūḷāsītisahassāni (sī.)], sabbā jīvasanāmikā;

Etamhāḷāhane daḍḍhā, tāsaṃ kamanusocasi.

52

아심침우려我心沉憂慮 위제여아우為除女兒憂

발제난현전拔除難見箭 저립아흉중貯立我胸中

 

내 딸 때문에 근심에 잠긴 내 근심을 제거하기 위하여

서서 보기 어려운 내 가슴에 박힌 그 화살을 빼어 주셨네.

52-1

비통호사자찰심悲痛好似刺紮心 차자무형각사진此刺無形卻似真

여금첨자이발제如今尖刺已拔除 심명부재비통생心明不再悲痛生

 

“Abbahī [abbutī (syā.), abbuḷhaṃ (ka.)] vata me sallaṃ,

duddasaṃ hadayassitaṃ [hadayanissitaṃ (sī. syā.)];

Yaṃ me sokaparetāya, dhītusokaṃ byapānudi.

53

아금발취전我今拔取箭 무욕신안정無欲身安靖

아향모니존我向牟尼尊 귀의불법승歸依佛法僧

 

내 오늘 그 화살 뽑히어 애욕을 떠나 고요한 몸 되었나니

부처님과 법과 그리고 승가 그리고 성자들에게 귀의하옵네.

 

53-1

금천첨자이발제今天尖刺已拔除 탐욕이단득열반貪欲已斷得涅槃

성심귀의불법승誠心皈依佛法僧 (영무뇌번무비통永無惱煩無悲痛)

 

“Sājja abbūḷhasallāhaṃ, nicchātā parinibbutā;

Buddhaṃ dhammañca saṅghañca, upemi saraṇaṃ munin”ti.

 

 

3.6 백정니白淨 Sukkātherīgāthā(54-56)

54 

왕사성중인王舍城中人 하위필비상何為必悲傷

여식밀지지如食蜜止之 피문백정니彼聞白淨尼

선세불지교宣說佛之教 하이무인청何以無人聽

 

부처님의 교훈을 설명하는 숫카 비구니를 섬기지 않는

이 라자가하 성의 백성들은 무엇 하는가?

마치 꿀을 먹는 것처럼 방심하구나.

 

偈陀54

소잡강불법蘇卡講佛法 취재왕사성就在王舍城 불래청법자不來聽法者 무이어취생無異於醉生

 

“Kiṃme katā rājagahe manussā, madhuṃ pītāva [madhupītāva (sī.)] acchare;

Ye sukkaṃ na upāsanti, desentiṃ buddhasāsanaṃ.

55

유지혜지인有智慧之人 조난득감로阻難得甘露

흡여로행인恰如路行人 욕득운지수欲得雲之水

 

지혜 있는 사람은 이 끊이지 않고 솟아 나오는 감로수를 마시려고 생각하는 것,

길손이 구름을 바라듯이 한다.

 

55-1

법감여제호法甘如醍醐 지자불가기智者不可棄 유여행로인猶如行路人 봉음감로제捧飲甘露劑

 

“Tañca appaṭivānīyaṃ, asecanakamojavaṃ;

Pivanti maññe sappaññā, valāhakamivaddhagū.

56

피세백정법彼說白淨法 이욕득안정離欲得安定

병패마왕군併敗魔王軍 지득최후신持得最後身

 

너 숫카 비구니는 깨끗한 법에 의해 온갖 탐욕을 떠나 선정에 머무르고

마왕을 그 권속과 함께 부수고 마지막의 그 몸을 가져라.

 

56-1

소잡득선법蘇卡得善法 전승중마라戰勝眾摩羅 차위최후신此為最後身 이득아라한과已得阿羅漢果

 

“Sukkā sukkehi dhammehi, vītarāgā samāhitā;

Dhāreti antimaṃ dehaṃ, jetvā māraṃ savāhanan”ti.

 

 

3.7 세라니世羅尼(암巖) Selātherīgāthā(57-59) 마왕과 세라 비구니의 문답

57  

불출리세不出離世 독처하익獨處何益 도향욕락徒享欲樂 물지후회勿至後悔

 

번뇌를 떠나는 법 세상에 없다.

세속을 멀리 떠나 무엇을 하려 하는가.

모든 욕망의 쾌락을 누려라.

뒷날에 뉘우치는 일 없게 하라.

 

偈陀57

세본무열반世本無涅槃 청정하소위清淨何所為

속속심환락速速尋歡樂 면득일후회免得日後悔(마라어摩羅語)

 

“Natthi nissaraṇaṃ loke, kiṃ vivekena kāhasi;

Bhuñjāhi kāmaratiyo, māhu pacchānutāpinī”

58

제욕여도주諸欲如刀柱 제온단두대諸蘊斷頭台

여호위욕락汝呼為欲樂 금불위아희今不為我喜

 

탐욕과 모든 요소의 결박과 집착은 몽둥이와 창에 비유하나니

그런 것을 너는 즐거움이라 하지만 그것을 나는 즐겁다 아니한다.

 

58-1

애욕사독전愛欲似毒箭 오온사침판五蘊似砧板 여소설환락汝所說歡樂 여아이무관與我已無關

 

“Sattisūlūpamā kāmā, khandhāsaṃ adhikuṭṭanā;

Yaṃ tvaṃ ‘kāmaratiṃ’ brūsi, ‘aratī’ dāni sā mama.

59

희열수처배喜悅隨處排 타쇄치암괴打碎癡闇塊

파순波旬 여시여당지如是汝當知

악자惡者 여위아소패汝為我所敗

 

환락은 어디에도 다 끊어졌고 어두움의 요소는 다 부셔졌다.

마라 빠삐만이여, 그런 줄 알라.

마왕이여, 너는 내게 졌구나.

(첫째 게송은 마왕의 말이요, 둘째, 셋째는 세에라아 비구니의 말이다)

 

59-1

단제일체탐斷除一切貪 단제치우암斷除痴愚闇 악마여당지惡魔汝當知 여이피아참汝已被我斬

 

“Sabbattha vihatā nandī [nandi (sī. syā.)], tamokhandho padālito;

Evaṃ jānāhi pāpima, nihato tvamasi antakā”ti.

 

 

3.8 소마니蘇摩 Somātherīgāthā(60-62) 마왕과 소마 비구니의 문답

60 

세간유제선世間唯諸仙 통득난해리通得難解理

부지이지량婦智二指量 불능달차이不能達此理

 

모든 신선들만이 갈 수가 있고 범부로서는 들어가기 어렵나니

지혜가 적은 여자의 몸으로는 도저히 이곳에 이를 수 없다.

 

偈陀60

불타제성현佛陀諸聖賢 수증성아라한修證成阿羅漢

기타평용배其他平庸輩 구득이곤난求得已困難

녀류이지지女流二指智 절연불가반絕然不可攀

 

“Yaṃ taṃ isīhi pattabbaṃ, ṭhānaṃ durabhisambhavaṃ;

Na taṃ dvaṅgulapaññāya, sakkā pappotumitthiyā”

61

내심득안주內心得安住 지혜현전시智慧現前時

선관조법자善觀照法者 부녀우하관婦女又何關

 

만일 바르게 법을 보는 사람으로 그 마음이 선정에 잘 머물러 있고

그 지혜가 그 앞에 나타날 때면 여자의 몸이 무엇이 장애 되랴.

 

61-1

아심능수일我心能守一 지순아라한향智循阿羅漢向 불법심령회佛法心領會 녀성유하방女性有何妨

 

“Itthibhāvo no kiṃ kayirā, cittamhi susamāhite;

Ñāṇamhi vattamānamhi, sammā dhammaṃ vipassato.

62

희열수처배喜悅隨處排 타쇄치암괴打碎癡闇塊

파순波旬 여시여당지如是汝當知

악자惡者 여위아소패汝為我所敗

 

환락은 어디에고 다 끊어졌고 어두움의 요소는 부셔졌나니

마라 빠삐만이여, 그런 줄 알라.

악마여, 너는 내게 졌구나.

 

62-1

단제일체탐斷除一切貪 단제치우암斷除痴愚闇 마라여당지摩羅汝當知 여이피아참汝已被我斬

 

“Sabbattha vihatā nandī, tamokhandho padālito;

Evaṃ jānāhi pāpima, nihato tvamasi antakā”ti.

' > 쿳따까 니까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老尼偈經 5偈集  (1) 2024.11.22
長老尼偈經 4偈集  (0) 2024.11.22
長老尼偈經 2偈集  (1) 2024.11.22
長老尼偈經 1偈集  (0) 2024.11.22
경전의 번역에 관한 생각  (0) 2024.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