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비파사나 수행

(123)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수행에 관한 용어와 개념의 검토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수행에 관한 용어와 개념의 검토 -止觀을 중심으로¹ -/조준호(동국대 불교학과) 2014-01-21 00:59:32 [¹ 본 논문의 완성을 위해 논평해준 고려대장경 연구소의 김재성에 감사를 드린다. 본 고의 주장에 있어 몇 가지 반론을 제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빠알리 경전의 전거를 들어 더 나은 설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지적을 감안하여 분명한 설명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하지만 김재성을 포함한 다른 연구가들과 그 동안의 논의를 통해 도달한 결론은 지․관 이해에 있어 근본적인 차이는 어느 문헌을 중심으로 어떻게 보느냐하는 문제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다분히 다른 연구가들이 후대의 논서나 주석서를 통한 초기경전의 지․관 이해인 반면 본인은 초기경전 안에서..
불교 명상의 근본 개념 사띠(念)/사띠는 ‘수동적 주의집중’ 불교 명상의 근본 개념 사띠(念)/사띠는 ‘수동적 주의집중’ 조준호/ 불교대학 강사 2014-01-21 00:57:44 사띠(sati)의 중요성은 모든 불교 수행의 핵심에 놓여 있다라는 말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위빠사나 수행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용어이다. 그렇기에 이 말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바로 진리인식의 방법인 위빠사나의 성격을 가늠 할 수 있다. 그런데 사띠는 기본적으로 ‘기억’을 의미하는 말이다. 경전에서 사띠는 선정 수행 시와 일상생활 속에서 말하는 과거의 회상 차원의 기억이라는 두 측면이 있다. 여기서 문제 삼는 것은 선정 수행 시 ‘기억’의 문제이다. 다시 말해 일상생활 속에 ‘잊었던 것을 기억해내거나’ ‘향수에 젖어 과거를 회상하는 것’ 또는 ‘암기하였던 것을 기억해 내는 것’과 같..
불교 명상의 근본 개념 사띠(念)/사띠의 의미와 적용 불교 명상의 근본 개념 사띠(念)/사띠의 의미와 적용 /김재성(선학과 강사, 경전연구소 소장) 2014-01-21 00:56:35 한문으로 염(念)으로 번역되는 팔리어 사띠(sati)는 등의 고층의 경전에서부터 자주 등장하며 니까야 내에서는 사띠(sati) 또는 사또(sato), 사띠만트(satimant)이라는 용어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四念處와 六隨念(cha-anussati) 또는 十隨念(dasa-anussati)이라는 용어로 자주 사용되는 수행관련 용어이다. 먼저 사띠에 대한 어원적인 해석은 니카야에서는 보이지 않고 주석 문헌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sati에 대한 정의와 주석문헌 특유의 네 가지 측면에서의 해석은 에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사람들이 기억함으로(sarant..
염처경念處經에 나타난 수행법 염처경念處經에 나타난 수행법/김재성 고려대장경연구소 2014-01-21 00:54:55 Ⅰ. 들어가는 말 초기경전에서 보이는 수행법은 다양하지만 이러한 수행법은 근본적으로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목적을 위해 제시되어 있다. 초전법륜에서 中道로서 제시된 八正道를 위시로 해서 37보리분법은 이러한 수행법의 여러 가지 조합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계정혜의 三學으로 간략하게 제시되는 불교수행 체계에서 염念(sati) 또는 염처念處(satipa.t.thaana) 수행은 선정과 지혜와 깊은 관계가 있음을 경전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본고는 염처경念處經¹에 나타난 수행법을 전체적으로 개괄하면서 염처 수행이 불교수행체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¹ 본 고에서 사용하는 염처경에는 중부의..
마음지킴(sati)의 차제적 성격에 관한 일고찰 마음지킴(sati)의 차제적 성격에 관한 일고찰/임승택 2014-01-21 00:52:27 1. 시작하는 말 '마음지킴(念 sati)'이라는 용어는 북방 전통의 대승불교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는 우리에게 일견 생소한 느낌마저 준다. 그러나 초기불교에서 실천·수행에 관련한 대표적인 용어 하나를 꼽으라면 당연히 이 술어를 들 수 있다. 팔정도의 'sammasati(正念)'라든가, 호흡 관법으로서의 'anapana sati(安般守意)' 그리고 '몸'과 '느낌' 따위를 매개로 하는 실천법으로서 'cattaro satipatthana(四念處)' 따위에는 한결같이 이 용어가 등장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들 모두는 '마음지킴'의 수행체계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일찍부터 이 '마음지킴'의 개념에 주목하였던 바 [박사..
사띠(念 sati) 개념의 현대적 해석 양상에 대한 재검토 사띠(念 sati) 개념의 현대적 해석 양상에 대한 재검토/임승택 (경북대 철학과) 2014-01-21 00:50:42 Ⅰ. 시작하는 말 붓다(Buddha)는 탐욕이라든가 아집과 같은 번뇌에 사로잡힌 상태를 정신적 질환의 일종으로 간주하였다.¹ [¹ 붓다는 번뇌가 제거된 아라한을 제외한 모든 인간들을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환자로 보았다. 다음의 경구가 그것을 나타낸다 “비구들이여, 신체적 질병에서 1년, 2년, 3년··· 10년, 20년100년··· 동안 자유롭다고 인정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비구들이여, 아라한을 제외하고는 단 한 순간도 정신적 질병에서 자유롭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이 세상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AN. II. 143쪽; 최훈동 (2006). 32쪽 재인용] 따라서 그의 가..
마음지킴(sati)의 위상과 용례에 대한 재검토 마음지킴(sati)의 위상과 용례에 대한 재검토/임승택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2014-01-21 00:49:28 I. 시작하는 말 초기불교의 수행론에 관련한 최근의 학술적 논의에서 가장 크게 부각된 논점 중에 하나를 꼽으라면 ‘마음지킴’ 즉 ‘sati(念)’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여러 연구자들이 이 용어의 의미와 쓰임 그리고 우리말 번역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을 가지고서 몇 년에 걸친 논의를 해왔다.¹ [¹ ‘sati’에 관련한 내용을 담고 있는 그간의 논문들로는 拙稿 동국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0; 인도철학제11집, 2001; 보조사상 제16집, 2001; 한국불교학결집대회 제1집 하권, 2002 등과 더불어 조준호 한국선학 제2집, 2000; 조준호 보조사상 제16집, 2001; 인경스님 보..
사띠(sati)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고찰 사띠(sati)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고찰/임승택 동국대 인도철학과 2014-01-21 00:48:13 I. 시작하는 말 ‘八正道’에 ‘正念’이라는 지분이 있다. 정념의 원어는 sammāsati이다. 여기에서 sammā는 ‘적절한’, ‘올바른’의 뜻이며 sati는 ‘념’으로 번역되는 그것이다. 이 ‘정념’이라는 번역술어는 거의 모든 한문경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고는 바로 여기에서 ‘념’으로 번역되는 ‘sati’의 의미와 쓰임에 관해 논의에 초점을 맞춘다. 念이라는 한자어는 ‘생각하다’ ‘외우다’ ‘읊다’라고 하는 기본적인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정념’이라는 한역술어 역시 ‘바른 생각’으로 풀이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동국대학교 역경원에서 번역한 한글대장경의 경우 “사무구유捨無求遊 정념정지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