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비파사나 수행

(123)
염처경念處經에 나타난 수행법 염처경念處經에 나타난 수행법/김재성 고려대장경연구소 2014-01-21 00:54:55 Ⅰ. 들어가는 말 초기경전에서 보이는 수행법은 다양하지만 이러한 수행법은 근본적으로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목적을 위해 제시되어 있다. 초전법륜에서 中道로서 제시된 八正道를 위시로 해서 37보리분법은 이러한 수행법의 여러 가지 조합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계정혜의 三學으로 간략하게 제시되는 불교수행 체계에서 念(sati) 또는 念處(satipa.t.thaana) 수행은 선정과 지혜와 깊은 관계가 있음을 경전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본고는 에 나타난 수행법을 전체적으로 개괄하면서 염처 수행이 불교수행체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염 또는 염처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간단히 살펴보..
마음지킴(sati)의 차제적 성격에 관한 일고찰 마음지킴(sati)의 차제적 성격에 관한 일고찰/임승택 2014-01-21 00:52:27 1. 시작하는 말 '마음지킴(念 sati)'이라는 용어는 북방 전통의 대승불교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는 우리에게 일견 생소한 느낌마저 준다. 그러나 초기불교에서 실천·수행에 관련한 대표적인 용어 하나를 꼽으라면 당연히 이 술어를 들 수 있다. 팔정도의 'sammasati(正念)'라든가 호흡 관법으로서의 'anapana sati(安般守意)' 그리고 '몸'과 '느낌' 따위를 매개로 하는 실천법으로서 'cattaro satipatthana(四念處)' 따위에는 한결같이 이 용어가 등장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들 모두는 '마음지킴'의 수행체계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일찍부터 이 '마음지킴'의 개념에 주목하였던 바 [박사학..
사띠(念 sati) 개념의 현대적 해석 양상에 대한 재검토 사띠(念 sati) 개념의 현대적 해석 양상에 대한 재검토 /임승택 경북대 철학과 2014-01-21 00:50:42 Ⅰ 시작하는 말 붓다(Buddha)는 탐욕이라든가 아집과 같은 번뇌에 사로잡힌 상태를 정신적 질환의 일종으로 간주하였다.¹ 따라서 그의 가르침은 마음의 병을 다스리기 위한 치료적 성격을 띤다. 사띠(念 sati)는 바로 그것을 실행하기 위해 고안된 불교 명상의 핵심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1) 붓다는 번뇌가 제거된 아라한을 제외한 모든 인간들을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환자로 보았다. 다음의 경구가 그것을 나타낸다. “비구들이여, 신체적 질병에서 1년, 2년, 3년··· 10년, 20년··· 100년 동안 자유롭다고 인정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비구들이여, 아라한을 제외하고..
마음지킴(sati)의 위상과 용례에 대한 재검토 마음지킴(sati)의 위상과 용례에 대한 재검토 /임승택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2014-01-21 00:49:28 I. 시작하는 말 초기불교의 수행론에 관련한 최근의 학술적 논의에서 가장 크게 부각된 논점 중에 하나를 꼽으라면 ‘마음지킴’ 즉 ‘sati(念)’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여러 연구자들이 이 용어의 의미와 쓰임 그리고 우리말 번역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을 가지고서 몇 년에 걸친 논의를 해왔다.¹ [1) ‘sati’에 관련한 내용을 담고 있는 그간의 논문들로는 拙稿 동국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0 인도철학 제11집 2001 보조사상 제16집 2001 한국불교학결집대회 제1집 하권 2002 등과 더불어 조준호 한국선학 제2집 2000 조준호 보조사상 제16집 2001 인경스님 보조사상 제16집..
大念處經의 주석서에 대한 이해 大念處經의 주석서에 대한 이해/미산 스님 2014-01-21 00:45:29 미산스님은 1972년 백양사로 출가한 이래 수행과 교학에 전념해왔다.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선학과를 졸업한 후 스리랑카와 인도에서 불전언어인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문헌을 연구하여 인도 뿌나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동양학부에서 “남방불교 찰나설의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하바드대학교 세계종교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최근의 연구 관심분야는 초기불교의 수행론과 禪 심리학이며 현재 고불총림 백양사 참사람 수행원 원장을 맡아 수행문화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1. 머리말 붓다가 이 세상에 正法을 전한 이래로 각 불교 전통의 선지식들은 정법의 상속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해왔다. 불교사를 통해서 ..
사띠(sati)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고찰 사띠(sati)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고찰 /임승택 동국대 인도철학과 /2014-01-21 I. 시작하는 말 ‘八正道’에 ‘正念’이라는 지분이 있다. 정념의 원어는 sammāsati이다. 여기에서 sammā는 ‘적절한’ ‘올바른’의 뜻이며 sati는 ‘념’으로 번역되는 그것이다. 이 ‘정념’이라는 번역술어는 거의 모든 한문경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고는 바로 여기에서 ‘념’으로 번역되는 ‘sati’의 의미와 쓰임에 관해 논의에 초점을 맞춘다. 念이라는 한자어는 ‘생각하다’ ‘외우다’ ‘읊다’라고 하는 기본적인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정념’이라는 한역술어 역시 ‘바른 생각’으로 풀이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동국대학교 역경원에서 번역한 한글대장경의 경우 사무구유捨無求遊 “모든 것을 버리고 구함이 ..
대념처경을 중심으로 본 초기불교수행법/미산 대념처경을 중심으로 본 초기불교수행법/미산 2014-01-21 00:44:02 초기불교를 다시본다 1. 머리말 요즈음 들어 수행에 대한 관심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 한국불교에만 이런 열풍이 불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추세로 특히 서양불교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한마디로 ‘수행불교’라 할 수 있다. 왜 많은 사람들이 수행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걸까? 아마도 종교의 수행을 통해 행복과 평화, 현대사회의 생존경쟁에서 지친 身心의 안정을 찾기 위함일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인간은 행복하고 자유로운 삶을 원한다. 하지만 인간들의 삶의 현장은 온갖 고통과 번민, 갈등과 모순으로 가득 차 있다. 삶의 과정은 이러한 고통과 불행에서 벗어나 즐거움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모든 행위는 고..
念處經 ⑫ 자아란 억지로 만들어진 허공의 꽃 念處經 ⑫ 자아란 억지로 만들어진 허공의 꽃 고통의 소멸을 ‘열반’이라 한다. 고통의 원인인 갈애가 소멸되었기에 고통이 소멸되었다고 한다. 초기경전인 니카야에서는 열반을 ‘탐욕의 소멸, 성남의 소멸, 어리석음의 소멸’이라고 말한다. 에서는 ‘놓아버림’ ‘집착 없음’ 이라고 말한다. 진리는 부정의 방식에 의해서 표현된다. 만약 진리를 무엇이라고 언설로서 표현을 하면 그것은 어긋난다. 진리는 성취되는 것이 아니다. 이미 내 안에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는 애착으로부터 해탈은 결코 쉽지가 않다. ►진리는 이미 내 안에 존재 여기 잠깐 앉아서 명상을 해보라. 의식의 표면에 수많은 영상이 떠오르고 사라져 간다. 떠오르는 이미지들은 점점 홍수처럼 불어나서 마침내 폭풍처럼 내적 평화와 지혜를 휩쓸고 간다. 어떻게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