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비파사나 수행 (123)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반수의경安般守意經 상하권에 대한 대강 해설 안반수의경安般守意經 상하권에 대한 대강 해설 2014-01-20 12:36:45 은 중국 후한 시대의 안세고 스님에 의하여 최초로 한역되어 인도 밖으로 소개되었는데 수많은 불제자들의 저술에 인용되고 있으며 상, 하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경의 내용은 호흡에 정신을 집중하는 방법을 통해서 정신의 안정을 가져오고 더 나아가 깨달음에 이르도록 하기 위한 수행법을 이야기 하고 있다. 이 방법을 원어로는 ‘아나빠나사띠(anapana-sati)’라고 하는데 이것을 한문으로 번역할 때 ‘안반수의安般守意’로 적은 것이다. ‘안반수의’의 수행방법을 살펴보면 호흡에 의식을 집중하는 수행의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아나(ana)’는 들숨이고 ‘아빠나(apana)’는 날숨이며 ‘사띠(sati)’는 의식의 집중이다. .. 안반수의경 안반수의경/승오스님(해인사 승가대 교수) 2014-01-20 12:09:03 깨달음 얻는 호흡 수행법 산란한 마음 쉬고 건강 찾을 수 있어 선수행에 관한 많은 지침서들이 있으나 이 중 처럼 구체적으로 설명한 경전이나 논서論書는 많지 않다. 이 경전의 이름은 모두 갖추어서 부르면 이고 줄여서는 등으로 불리 운다. 상·하 두 권으로 이루어졌다. 이 경전은 후한後漢 시대의 안세고安世高 스님에 의하여 최초로 한역되어 인도 밖으로 소개되었는데 수많은 불제자들의 저술에 인용되고 있다. 경의 앞에 적은 강康의 승회僧會의 서문은 이것이 얼마나 소중한 수행법으로 받아들여졌는가를 짐작케 하고 있다. 이 경전은 매우 복잡한 내용을 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아주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경전이다. 이 경의 내용은 호흡에 정신을 집.. 安般守意經에 대하여 安般守意經에 대하여 2014-01-16 20:16:26 대안반수의경大安般守意經 2권/후한後漢의 안세고安世高 번역. 안반安般은 산스크리트어 āna-apāna의 음사인 안나반나安那般那의 준말. āna는 들숨, apāna는 날숨을 뜻함. 들숨과 날숨을 헤아리거나 거기에 집중하는 수행법에 대해 설한 경/시공 불교사전 안반수의경은 위파사나의 핵심 명상법인 수식법이 설명된 불경이다/위키백과 ●안세고安世高(안청安淸 ?-170추정)/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중국 불교 초기의 역경승譯經僧. 안식국安息國 사람으로 이름은 청淸이고 자가 세고인데 ‘안세고’로 세상에 명성을 떨쳤다. 인도印度 서북부 파사波斯 지방의 왕국 안식국의 왕자로 성씨는 출신지를 따라 정해 안씨가 되었다. 이로 인해 안후安侯 또는 안세고라 불리게 되었다. 어릴..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대념처경을 중심으로) -부록․3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대념처경을 중심으로) 2014-01-08 19:59:09 부록․ 3 도표1․ 89/121가지 마음 세간의 마음 (lokiya-cittāni) 81 욕계의 마음 (kāmācara-cittāni)54 선하지 못한 마음(akusala-cittāni) 12 탐욕에 뿌리박은 마음(lobha-mūla-citta) 8 성냄에 뿌리박은 마음(dosa-mūla-citta) 2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moha-mūla-citta) 2 원인 없는 마음 (ahetuka-cittāni) 18 선한 과보의 마음(kusala-vipāka-citta) 7 불선한 과보의 마음(akusala-vipāka-citta)8 원인 없이 작용만 하는마음(ahetu-kiriyā-citta) 3 욕계의 깨끗한 마음 (kām..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대념처경을 중심으로) -부록 2 初轉法輪經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대념처경을 중심으로) 2014-01-08 19:41:35 부록 2 초전법륜경初轉法輪經 Dhammacakkappvattana Sutta 이와 같이 나는 들었습니다. 어느 때 세존께서 바라나시 근처의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 계셨습니다. 그때 세존께서는 다섯 비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비구들이여, 출가자가 의지해서는 안 되는 두 가지 극단이 있다. 무엇이 두 가지인가? 그것은 저열하고 통속적이고 범속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감각적 욕망에 대한 탐닉에 몰두하는 것이며 또 하나는 괴롭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자기 학대에 몰두 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여래는 이러한 두 가지 극단을 따르지 않고 중도를 완전하게 깨달았으니 이 중도는 눈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대념처경을 중심으로) -부록․大念處經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대념처경을 중심으로) 2014-01-08 19:39:10 부록․1 대념처경大念處經 Maha satipatthana Sutta 알아차림을 확립하는 큰 경 서언 이와 같이 나는 들었습니다. 한때 부처님께서는 꾸루스 지방의 깜마사담마라는 마을에 머무셨습니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습니다. 비구들은 ‘네, 세존이시여’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유일한 길이다. 중생을 정화하고, 슬픔과 비탄을 극복하게 하고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올바른 길에 도달하게 하고,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길이다. 이것은 바로 네 가지 알아차림의 확립이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5장 25. 사성제四聖諦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9:32:29 제5장 법념처法念處 25. 사성제四聖諦 1. 사성제四聖諦 사성제는 빨리어로 아리야사짜ariya-sacca입니다. 아리야ariya는 성스럽다는 뜻이며 사짜sacca는 진리, 진실, 제諦라는 뜻으로 ‘있는 그대로의 진리’입니다. 네 가지 성스런 진리란 괴로움의 진리, 괴로움의 일어남의 진리,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도 닦음의 진리입니다. 사성제의 성聖자는 첫째 네 가지 진리는 매우 성스러운 진리라는 뜻에서 둘째 성자聖者에 의해 발견된 진리라는 뜻에서 셋째 성자가 되어야 바르게 아는 진리라는 뜻에서 성聖자가 들어갑니다. 그래서 사성제는 수다원 이상의 성자들만이 알 수 있는 진리입니다. 우리는 사성제에 대해 어느 정도 알지만 그것..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5장 24.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9:24:29 제5장 법념처法念處 24.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 1.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는 법입니다 법념처의 네 번째 그룹은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인 칠각지七覺支입니다. 깨달음의 요소를 빨리어로 보장가Bojjhṅgā라고 합니다. 불교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소멸한 깨달음을 목표로 합니다. 수행자는 이런 깨달음을 향하여 가는 길에 반드시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경험합니다. 그러나 수행자에게 칠각지는 오직 알아차릴 대상일 뿐 이것을 자신이 수행한 결과물이라고 붙잡으면 더 이상 발전이 없습니다. 그래서 오랜 노력 끝에 경험하는 칠각지조차도 알아차릴 대상인 법으로 객관화해서 알아차리고 놓아야합니다. 이것이 칠각지라는 법에 대한 알아차림을 확립하는 것입..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