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비파사나 수행

(123)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2장 6. 좌선, 경행, 와선, 일상의 알아차림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23:41 제2장 신념처身念處 6. 좌선, 경행, 와선, 일상의 알아차림 위빠사나 수행은 실제로 좌선, 경행, 와선, 일상의 알아차림이 있습니다. 이때 어떤 수행이든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우선 현재의 마음을 알아차립니다. 이것은 수행자의 마음에 바라는 마음이나 성냄이 없는 상태에서 알아차림을 시작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리고 좌선에서는 눈꺼풀, 입술, 손, 엉덩이의 느낌을 알아차리고 경행에서는 서있는 몸의 자세를 머리부터 발바닥까지 죽 알아차리며 내려갑니다. 이것은 몸의 긴장을 푸는 과정으로 신념처 수행의 시작입니다. 이렇게 몸과 마음의 긴장을 풀고 아무 것도 바라는 것 없이 편안한 마음으로 지금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이든지 알아차리겠다는 마음으로 수행을 시작..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2장 6. 신념처 수행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18:50 제2장 신념처身念處 6. 신념처 수행 1. 신념처 수행의 이익 수행자가 몸에 대한 알아차림을 확립하는 신념처 수행을 하면 어떤 이익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마음을 현재에 머물게 합니다. 마음이 몸에서 일어나는 물질적 현상을 알아차리면 마음은 과거 미래가 아닌 현재에 있는 것입니다. 수행은 실재를 대상으로 합니다. 과거나 미래는 실재하는 것이 아니며 과거나 미래는 항상 후회와 들뜸을 가져옵니다. 그러나 마음을 몸에 붙여 현재를 알아차리면 그 순간 마음은 깨어있는 상태가 되어 바른 생각과 말과 행위가 뒤따릅니다. 2) 마음을 순화합니다. 마음은 자꾸 밖으로 나가는 습성이 있는데 마음이 밖으로 나갔다 들어올 때는 반드시 선악, 미추, 호 불호,..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2장 5. 사대 요소의 특성, 기능, 나타남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16:23 제2장 신념처身念處 5. 사대 요소의 특성, 기능, 나타남 ►지대地大의 요소 특성은 단단하다. 부드럽다. 기능은 존재의 바탕이 된다. 나타남은 받아들인다. 몸에서는 머리카락, 몸의 털, 손발톱, 이빨, 피부, 살, 힘줄, 뼈, 골수, 신장, 심장, 간장, 늑막, 비장, 폐, 창자, 위장, 부소화물, 대변, 뇌이며 이들 20가지는 다른 요소보다 지대의 요소가 많습니다. ►수대水大의 요소 수대의 특성은 무거움. 가벼움. 유동성, 응집성이며 기능은 강력해진다. 나타남은 서로 붙잡아서 존재하게 하는 것입니다. 몸에서는 담즙. 가래. 고름. 피. 땀. 비계. 눈물. 임파액. 침. 콧물. 관절액. 오줌이며 이들 12가지는 다른 요소보다 수대의 요소가 많습니..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2장 4. 사대四大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14:53 제2장 신념처身念處 4. 사대四大 1. 위빠사나 수행에 대한 요약 지금 까지 우리가 공부한 것을 정리해보면 첫 번째는 위빠사나 수행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것이며 이 알아차림은 매 순간 일어나는 탐진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며 또한 알아차림으로 몸과 마음의 무상, 고, 무아의 법을 보고 집착이 줄어들어 궁극에는 탐진치가 소멸한 깨달음을 얻어서 생사윤회로부터 해탈한다는 것을 설명했습니다. 두 번째는 위빠사나 수행의 핵심인 알아차림에 대한 공부를 했습니다. 먼저 알아차림을 하는 수행자의 바른 마음 자세로서 그 무엇도 바라지 않고 없애려하지 않고 지금 나타난 모든 대상을 수용하는 마음자세일 때 가장 순도 높은 알아차림을 할 수 있다는 것과 그 다..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1장 3. 관념과 실재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12:08 3. 관념과 실재 1. 관념觀念과 실재實在 지금까지 위빠사나 수행은 현재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물질적 정신적 현상을 아무런 선입견 없이 아주 객관적으로 마치 남의 일처럼 또 관객이 영화 보듯이 대상에 개입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수행이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러나 현재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아차리는 데도 관념과 실재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관념은 몸과 마음을 형상, 모양, 이름 등으로 관념화한 것이며 실재는 몸과 마음에서 지금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관념은 선정수행의 대상이 되고 실재하는 느낌은 위빠사나 수행의 대상이 됩니다. 둘 다 알아차릴 수 있는 법이기는 하지만 위빠사나 수행에서는 실재..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1장 2. 알아차림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1장 2. 알아차림 2014-01-08 18:09:51 2. 알아차림 1. 알아차림의 의미 불교는 괴로움을 소멸하는 것에 대한 가르침이며 그 방법은 팔정도를 실천하는 것이며 팔정도는 알아차림이라는 마음의 작용을 내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그러므로 불교 수행의 핵심은 알아차림입니다. sati라는 말은 vipassanā처럼 빨리어입니다. 이 단어는 기억과 알아차림이라는 뜻입니다. 보통 기억이라고 하면 지나간 과거를 기억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현재 이 순간에 대한 기억, 즉 마음이 깨어있는 상태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띠를 알아차림, 마음챙김, 주시 등으로 혼용하고 있지만 한국 명상원에서는 알아차림으로 통일하여 사용합니다. 즉 현재를 알아차리는 것, 정신을 바짝 차리..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1장 1. 위빠사나 수행의 정의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08:12 제1장 위빠사나 수행에 대한 이해 1. 위빠사나 수행의 정의 위빠사나 수행은 부처님의 가르침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들이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불교는 괴로움이 있다는 것과 어떻게 하면 그 괴로움을 소멸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르침뿐입니다. 그럼 우리가 만나는 괴로움은 그 원인이 무엇일까요? 부처님께서는 모든 괴로움의 원인을 무명과 갈애라고 하셨습니다. 무명은 몸과 마음이 무상하고 괴로움이고 실체가 없는 것인데도 몸과 마음은 영원히 존재하며 행복한 것이고 나의 것이라고 아는 것입니다. 이런 견해는 몸과 마음을 내 것으로 집착하게 합니다. 즉 몸과 마음의 실상을 모르는 어리석음이 몸과 마음에 대한 갈애와 집착을 일..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대념처경을 중심으로)/귀경게․삼귀의․오계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대념처경을 중심으로)/귀경게․삼귀의․오계 2014-01-08 18:03:43 귀경게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 Sambuddhassa 존귀하신 분, 공양 받을 만한 분,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하신 부처님께 경배 드립니다. 삼귀의三歸依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붓당 사라낭 가차미 Buddhaṃ saraṇaṃ gacchā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담망 사라낭 가차미 Dhammaṃ saraṇaṃ gacchāmi. 승가에 귀의합니다. 상강 사라낭 가차미 Saṅghaṃ saraṇaṃ gacchāmi. 두 번째도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두띠얌삐 붓당 사라낭 가차미 Dutiyampi Buddhaṃ saraṇaṃ gac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