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2장 6. 좌선, 경행, 와선, 일상의 알아차림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23:41 제2장 신념처身念處 6. 좌선, 경행, 와선, 일상의 알아차림 위빠사나 수행은 실제로 좌선, 경행, 와선, 일상의 알아차림이 있습니다. 이때 어떤 수행이든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우선 현재의 마음을 알아차립니다. 이것은 수행자의 마음에 바라는 마음이나 성냄이 없는 상태에서 알아차림을 시작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리고 좌선에서는 눈꺼풀, 입술, 손, 엉덩이의 느낌을 알아차리고 경행에서는 서있는 몸의 자세를 머리부터 발바닥까지 죽 알아차리며 내려갑니다. 이것은 몸의 긴장을 푸는 과정으로 신념처 수행의 시작입니다. 이렇게 몸과 마음의 긴장을 풀고 아무 것도 바라는 것 없이 편안한 마음으로 지금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이든지 알아차리겠다는 마음으로 수행을 시작..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2장 5. 사대 요소의 특성, 기능, 나타남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16:23 제2장 신념처身念處 5. 사대 요소의 특성, 기능, 나타남 ►지대地大의 요소 특성은 단단하다. 부드럽다. 기능은 존재의 바탕이 된다. 나타남은 받아들인다. 몸에서는 머리카락, 몸의 털, 손발톱, 이빨, 피부, 살, 힘줄, 뼈, 골수, 신장, 심장, 간장, 늑막, 비장, 폐, 창자, 위장, 부소화물, 대변, 뇌이며 이들 20가지는 다른 요소보다 지대의 요소가 많습니다. ►수대水大의 요소 수대의 특성은 무거움. 가벼움. 유동성, 응집성이며 기능은 강력해진다. 나타남은 서로 붙잡아서 존재하게 하는 것입니다. 몸에서는 담즙. 가래. 고름. 피. 땀. 비계. 눈물. 임파액. 침. 콧물. 관절액. 오줌이며 이들 12가지는 다른 요소보다 수대의 요소가 많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