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비파사나 수행

(123)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4장 14. 마음을 알아차리는 방법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59:28 제4장 심념처心念處 14. 마음을 알아차리는 방법 우리가 일상에서 하는 모든 행위는 그 순간의 마음이 이끌어갑니다. 그래서 마음을 알아차린다는 것은 어떤 불선업도 제어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선업을 심어가는 과정입니다. 이제까지는 마음을 보는 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이었고 지금부터는 실제로 수행과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마음을 보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봅니다. 마음을 알아차리는 것은 상황에 따라서 네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있는 마음 알아차리기 ‘지금 무슨 마음인가?’하고 현재 자신의 마음상태를 직접 느껴보는 것입니다. 현재 일을 하는 자신의 마음상태를 있는 그대로 아는 것입니다. 지금 내 마음이 바른가, 바르지 못한가. 탐심이 있는가. 미워하..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4장 13. 심념처 수행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53:52 제4장 심념처心念處 13. 심념처 수행 1, 심념처의 중요성 위빠사나 수행이란 현재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물질적 정신적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려 몸과 마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과 조건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을 직접 통찰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위빠사나 수행의 알아차릴 대상은 현재의 몸과 마음이며 실제 수행에서는 신수심법이라는 네 곳이 알아차릴 대상입니다. 심념처는 현재의 몸, 느낌, 마음, 법 중에서 '현재의 마음'을 알아차릴 대상으로 하는 수행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위빠사나 수행 센터마다 특징이 있습니다. 마하시에서는 주로 몸을 대상으로 하는 신념처 수행을 고엔카에서는 주로 느낌을 대상으로 하는 수념처 수행을 쉐우민 ..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3장 12. 십이연기에 대한 이해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43:44 제3장 수념처受念處 12. 십이연기에 대한 이해 부처님께서는 12연기를 통해서 우리가 어디서 왔으며 지금 왜 여기에 존재하는지 그리고 어디를 향해 가는지를 설명하셨습니다. 12연기는 우리들의 생각처럼 '나'라는 실체가 있어 과거 현재 미래를 만드는 것이 아니고 과거를 원인으로 해서 현재라는 결과물이 생겼으며 현재 새로 짓는 원인에 의해 미래의 어떤 결과를 만든다는 것입니다. 즉 세상은 원인과 결과라는 조건으로 흘러가는 것뿐이며 그것이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또 이런 조건의 흐름 속에서 살아야한다는 것 자체가 괴로움인데 그것을 알지 못하는 범부들은 영원한 행복을 추구하며 행복하기 위해서 한 행위가 새로운 괴로움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모릅니다. ..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3장 11. 십이연기와 수념처 수행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40:03 제3장 수념처受念處 11. 십이연기와 수념처 수행 1. 십이연기와 수념처 1) 부처님께서는 중생들이 계속 태어나고 죽고를 반복하는 윤회의 원리를 12연기로 밝혀놓으셨습니다. 12연기 도표를 보면 무명無明 ↠ 행 行 ⇔ 식識 ↠ 명색名色 ↠ 육입六入 ↠ 접촉[觸] ↠ 느낌[受] ⇔ 갈애[愛]-↠ 집착[取]↠ 업의 생성[有] ⇔ 생生 ↠ 노사老死가 계속 돌고 돕니다. 과거의 무명과 행이 원인이 되어 현재의 식, 명색, 육입, 접촉, 느낌이라는 결과가 있고 현재의 오온이 나의 것이라는 사견에 의해 다시 갈애, 집착, 업의 생성이라는 새로운 선업이나 선하지 못한 업을 행하고 이 행위가 다시 원인이 되어 새로운 생과 노사로 이어집니다. 12연기의 핵심은 ..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3장 10. 느낌을 알아차리는 수행방법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38:45 제3장 수념처受念處 10. 느낌을 알아차리는 수행방법 범부는 매순간 좋은 느낌을 추구하며 사는데 수념처 수행자는 매순간 경험하는 느낌을 법으로 알아차려 느낌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것을 봅니다. 수행자가 알아차릴 수 있는 느낌을 크게 나누면 미세한 느낌과 거친 느낌이 있습니다. 1. 미세한 느낌 미세한 느낌은 우선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마음을 정확하게 기울였을 때 알 수 있는 느낌입니다. 먼저 몸의 모양에 마음을 기울여 알아차리고 알아차림이 이어지면 점차 모양에서 실재하는 느낌이 일어나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때 몸의 한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 알아차릴 수도 있고 몸 전체의 느낌을 알아차릴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좌선을 시작할 때 우선 자신이 앉아..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3장 9.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의 확립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36:40 제3장 수념처受念處 9.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의 확립 우리가 ‘나’라고 알고 있는 '나'는 부르기 위한 명칭이며 '나'의 실재는 다섯 가지 무더기인 오온입니다. 지금 이 순간 나의 실상實相은 색수상행식의 무더기가 조건에 의해 일어나고 사라지는 단지 물질과 정신입니다. 그 중 색色은 물질이고 수상행식受想行識은 정신입니다. 다시 정신은 식이라는 마음과 수상행이라는 마음의 작용으로 나눕니다. 수受는 대상과 촉할 때 일어나는 느낌으로 감성적이고 정서적 측면의 마음의 작용이며 상想은 여섯 감각기관이 촉하는 대상을 인식하고 이름을 붙이는 지각작용으로 이성적이고 지적인 측면의 마음의 작용이며, 행行은 마음의 작용 중 수受와 상想을 제외한 여러 가지 심리현상으..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3장 8. 오온五蘊.의 무아無我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35:14 제3장 수념처受念處 8. 오온五蘊.의 무아無我 1. 위빠사나 수행의 지도地圖 1) 위빠사나 수행은 자신의 몸과 마음, 즉 오온을 있는 그대로 바르게 이해하는 작업입니다. 사실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괴로움은 오온을 있는 그대로 알지 못하고 오온을 '나' '나의 것' '나의 자아'라고 알고 오온을 집착하는 것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수행자가 오온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2) 위빠사나 수행은 항상 현재 자신의 몸과 마음을 직접 알아차려서 몸과 마음의 고유한 특성과 조건적 특성과 보편적 특성을 경험하면서 오온을 있는 그대로 보는 안목을 기릅니다. 이 몸과 마음은 단지 다섯 무더기인 색온色蘊과 수온受蘊과 상온想蘊과 행온行蘊과 식온識蘊의 모임..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제3장 7. 육문六門과 육경六境의 상호작용 사념처 수행과 위빠사나 2014-01-08 18:33:40 제3장 수념처受念處 7. 육문六門과 육경六境의 상호작용 위빠사나 수행은 알아차림이라는 깨끗한 마음의 작용으로 현재 자신의 몸과 마음을 있는 그대로 아는 수행입니다. 아침에 일어나면서부터 저녁에 잠들기 전까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아차려보십시오. 우리의 하루를 살펴보면 매 순간마다 눈 귀 코 혀 몸이라는 감각기관이 외부의 대상인 형상이나 소리 냄새 맛 감촉들과 만납니다. 그러면 내부에서 마음의 작용인 느낌과 생각과 의도가 일어나 대상을 받아들이고 즉시 생각과 말과 행동으로 어떤 행위를 하며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일련의 진행 과정은 수명이 매우 짧은 찰나라는 것입니다. 매순간 대상과 촉하면서 대상을 받아들이고 반응하는 것을 찰나의 간격으로 하..